https://www.youtube.com/watch?v=0ntn3Q28BD4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가자 가자 피안으로 가자. 피안으로 완전히 건너 가, 개달음에 뿌리를 내리자.)
*위 주문(呪文)의 산스크리트어 원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본토말 : 가떼 가떼 빠라가떼 빠라상가떼 보디 스와하
가테 가테 파라가테 파라상가테 보디 스와하 <=== 억양을 부드럽게 했을 때
{한자 음역)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揭諦揭諦 波羅揭諦 波羅僧揭諦, 菩提 娑婆訶)
출처 : 불교신문(http://www.ibulgyo.com)
한국어 :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범어 한역 재음역)
영 어 : Gate Gate paragate parasamgate bodhi svaha
Gate Gate 가자. 가자.
paragate 피안으로 건너가자.
parasamgate 피안으로 완전히 건너가자.
bodhi svaha 깨달음에 뿌리를 내리게 하소서.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21172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티스토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9535
문수보살(文殊菩薩)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우리 나라에서는 이 보살에 대한 신앙이 삼국시대 이래 널리 전승되었다. 문수는 문수사리(文殊師利) 또는 문수시리(文殊尸利)의 준말로, 범어 원어는 만주슈리(Manjushri)이다. ‘만주’는 달다[
encykorea.aks.ac.kr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3602
보현보살(普賢菩薩)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아래와 같이 출처를 표시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encykorea.aks.ac.kr), 한국학중앙연구원
encykorea.aks.ac.kr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4346
지장보살(地藏菩薩)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도리천(忉利天)에서 석가여래의 부촉을 받고 매일 아침 선정(禪定)에 들어 중생의 근기를 관찰하며, 석가여래가 입멸한 뒤부터 미륵불이 출현할 때까지 천상에서 지옥까지의 일체중생을 교화하
encykorea.aks.ac.kr
석가여래가 입멸한 뒤부터 미륵불이 출현할 때까지 천상에서 지옥까지의 일체중생을 교화하는 대자대비의 보살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EA%B4%80%EC%84%B8%EC%9D%8C%EB%B3%B4%EC%82%B4
관세음보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관세음보살 1025년경 중국(북송)에서 제작된 관세음보살 목상 산스크리트어 अवलोकितेश्वर 아왈로키테슈와라 중국어 聖觀音 일본어 聖観音 (しょ
ko.wikipedia.org
석가모니의 입적 이후 미륵이 출현할 때까지 중생들을 고통으로부터 지켜주는 대자대비(大慈大悲)의 보살
미륵보살
대세지보살
보현보살
namu.wiki/w/%EB%B3%B4%EC%82%B4
보살 - 나무위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
namu.wiki
3. 종류
- 관세음보살
- 문수보살
- 지장보살
- 미륵보살 : 미륵불이라 하여 부처로 보기도 한다. 왜냐하면 석가모니 사후 56억 7천만년 후에 성불한 채로 나타나 중생을 구제하도록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 대세지보살 : 지혜의 빛으로 중생의 어리석음을 구제하는 보살이다. 관세음보살과 함께 아미타부처를 보좌한다.
- 보현보살 : 자비와 이치를 상징하는 보살로 중생의 목숨을 길게 하고 교화하는 보살이다. 지혜에 있어 문수보살이 으뜸이라면 행함에 있어서는 보현보살을 으뜸으로 친다.
- 일광보살 : 태양처럼 빛나는 지혜와 덕을 갖추어 중생을 구제하는 보살이다. 월광보살과 함께 치성광여래불을 보좌한다.
- 월광보살 : 달처럼 맑은 덕성을 갖추어 중생을 교화하는 보살이다.
- 허공장보살 : 끝없는 지혜와 덕을 중생에게 전해 주는 보살이다.
역행보살: 불교에서 사실상 보살에 가깝게 취급하고 있지만 위의 보살의 개념과는 전혀 다른 불교 용어. 자세한것은 항목 참조.
가장 대표적으로 거론되는 보살들이며 이 외에도 힌두교의 비슈누가 나라연보살로 호칭되기도 하고 북극성 혹은 북두칠성을 신격화한 묘견보살[13]같은 자연물이 신격화된 보살도 있다. 또한 경전에서 한두번 스쳐지나가듯 언급하는 보살들도 있어 불교에 등장하는 보살의 종류를 다 알고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
www.youtube.com/watch?v=JBbFNSiDRFU&t=283s
www.youtube.com/watch?v=NCBVFWLXdiQ
www.youtube.com/watch?v=33xr9pnrhH0
'불교 불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재영, 붓다운동으로서의 초기불교 시대/ 한중 불교 전래도 (0) | 2021.04.25 |
---|---|
출가보살 문수보살과 재가보살 유마거사& 미륵보살 (0) | 2021.04.25 |
사찰의 수많은 붓다와 보살/ 四方佛, 過去七佛, 三世三千佛 (0) | 2021.04.21 |
대중경전 ; 대반야경, 화엄경, 법화경, 열반경 (0) | 2021.04.18 |
붓다, 깨달음을 얻은 자 (0) | 2021.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