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www.youtube.com/watch?v=sFfsZwRfFqg&t=138s
https://www.youtube.com/watch?v=-_No-Z2wVRk&t=667s







석가여래를 주존으로, 미륵(彌勒)과 갈라(竭羅)보살

석가여래를 주존으로, 미륵(彌勒)과 갈라(竭羅)보살 + 16나한
https://www.youtube.com/watch?v=_xrnb0CC7p4&t=14s

https://www.youtube.com/watch?v=15tKjws9Oek
https://www.youtube.com/watch?v=FfKurxCXxME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8842
선운사영산전목조삼존불상(禪雲寺靈山殿木造三尊佛像)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8호. 선운사 영산전 조성 시의 「시주록(施主錄)」에 “도광(道光) 원년에 기존의 2층 각황전(覺皇殿)이 무너지자 1층으로 고쳐 짓고, 석가여래를 주존으로, 미륵(彌勒)과
encykorea.aks.ac.kr
「시주록(施主錄)」에 “도광(道光) 원년에 기존의 2층 각황전(覺皇殿)이 무너지자 1층으로 고쳐 짓고, 석가여래를 주존으로, 미륵(彌勒)과 갈라(竭羅)보살을 보처로 안치하고, 이를 영산전이라 이름하였다.”고 하여, 이 삼존불은 법화경에 나오는 미륵보살과 제화갈라 보살이 협시한 석가여래삼존불로 1821년(순조 21)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선운사영산전목조삼존불상(禪雲寺靈山殿木造三尊佛像))]


서산마애불 (제화갈라보살, 석가모니불, 미륵보살)

16 나한(羅漢).
16 나한(羅漢)상. 나한(羅漢)은 아나한 즉 아라한(阿羅漢)을 말 하는데 그냥 "아"자를 빼고 줄여서 "라한" 즉 나한(羅漢)이라고 합니다. 산스크리트어로는 아르하트 즉 Arhat 입니다. 사찰에 따라서
omnislog.com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운사를 물들인 꽃무릇밭을 나오다 (0) | 2021.09.21 |
---|---|
선운사 지장보전/ 김지장(金地藏), 送童子下山 (0) | 2021.09.20 |
선운사, 도솔암 내원궁 지장보살좌상 (0) | 2021.09.20 |
선운사 도솔암 나한전 (0) | 2021.09.18 |
선운사 도솔암 극락보전 (0) | 2021.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