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Jyx9oAoq54E
https://www.youtube.com/watch?v=KQnQYA2pq88
雙魚紋(쌍어문) 해설
https://namu.wiki/w/%EC%8C%8D%EC%96%B4
https://www.posri.re.kr/files/file_pdf/53/210/1129/53_210_1129_file_pdf_1101-09_03_Culture.pdf
https://www.youtube.com/watch?v=Oh9h-WWEzIk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4250
아라가야(阿羅加耶)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삼국유사』 5가야조에는 아라가야 또는 아야가라(阿耶加羅),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아시라국(阿尸良國) 또는 아나가야(阿那加耶), 고구려 광개토왕릉비와 『일본서기』에는 안라(安羅)라
encykorea.aks.ac.kr
https://www.youtube.com/watch?v=ZKlrSQCdArc
https://www.youtube.com/watch?v=fpeIlToBVxM
http://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1264944
일본 속 가야문화 (3) 가야, 일본으로 건너가다
최근 가야사 연구가 큰 관심을 받고 있지만 가야는 자체적으로 기록한 문헌이 남아 있지 않아 멸망 시기와 원인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그러나 ...
www.knnews.co.kr
http://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1265855
일본 속 가야문화 (5) 일본 속 가야 유적지
우리 조상들은 이미 선사시대부터 일본지역에 진출해 정치·문화에 큰 영향을 줬다. 특히 일본열도 문화를 한 차원 높은 단계로 끌...
www.knnews.co.kr
https://www.youtube.com/watch?v=o46xnjIp7C8
https://www.youtube.com/watch?v=o8KwBjQkkR0
https://www.youtube.com/watch?v=38yshfQt-hY
https://kydong77.tistory.com/21119
여수오동도 룡굴/ 서정주, 선운사 동구·水路夫人은 얼마나 이뻤는가?
선운사 동구(洞口) ㅡ 서정주 선운사 골째기로 선운사 동백꽃을 보러 갔더니 동백꽃은 아직 일러 피지 않했고 막걸리집 여자의 육자배기 가락에 작년 것만 상기도 남었습니다. 그것도 목이 쉬어
kydong77.tistory.com
水路夫人은 얼마나 이뻤는가?
-徐 廷 柱
그네가 봄날에 나그네길을 가고 있노라면,
천지의 수컷들을 모조리 뇌새(惱殺)하는
그 미(美)의 서기(瑞氣)는
하늘 한복판 깊숙이까지 뻗쳐,
거기서 노는 젊은 신선들은 물론,
솔 그늘에 바둑 두던 늙은 신선까지가
그 인력(引力)에 끌려 땅위로 불거져 나와
끌고 온 검은 소나 뭐니
다 어디다 놓아 두어 뻐리고
철쭉꽃이나 한 가지 꺾어 들고 덤비며
청을 다해 노래 노래 부르고 있었네.
또 그네가 만일
바닷가의 어느 정자에서
도시락이나 먹고 앉었을라치면,
쇠붙이를 빨아들이는 자석 같은 그 미의 인력은
천 길 바다 속까지 뚫고 가 뻗쳐,
징글 징글한 용왕이란 놈까지가
큰 쇠기둥 끌려 나오듯
해면으로 이끌려 나와
이판사판 그네를 들쳐업고
물 속으로 깊이 깊이 깊이
잠겨버리기라도 해야만 했었네.
그리하여
그네를 잃은 모든 산야의 남정네들은
저마다 큰 몽둥이를 하나씩 들고 나와서
바다에 잠긴 그 아름다움 기어코 다시 뺏어내려고
해안선이란 해안선은 모조리 난타(亂打)해 대며
갖은 폭력의 데모를 다 벌이고 있었네.
― 《삼국유사》제2권, ‘수로부인’ 조.
* 학이 울고 간 날들의 시/미당 서정주 시집(서정주, 소설문학사, 1982)의 135~137쪽에 수록됨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8250
서정주, 水路夫人은 얼마나 이뻤는가?
水路夫人은 얼마나 이뻤는가? -徐 廷 柱 그네가 봄날에 나그네길을 가고 있노라면, 천지의 수컷들을 모조리 뇌새(惱殺)하는 그 미(美)의 서기(瑞氣)는 하늘 한복판 깊숙이까지 뻗쳐, 거기서 노는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19174
인도 타밀어와 한국어의 유사 어휘수 1,300여개
https://www.youtube.com/watch?v=VBpRNSHealg https://kydong77.tistory.com/7999 바다에서 허황후 오시다/ 가락국기 † 김해 망월석탑 보주태후허씨릉 가락국기 駕洛國記 [은자주]가락국은 나라 이름부터 문화..
kydong77.tistory.com
'문화예술 역사 > 역사 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vs중국, 한국의 선택은? (0) | 2021.12.15 |
---|---|
찰스 다윈(Charles Robert Darwin, 1809 - 1882년), 진화론 (0) | 2021.12.11 |
雲谷書院, 역사적 명사들의 붓글씨 편액들/ 玉山서원과 獨樂堂 溪亭 (0) | 2021.09.17 |
신라 조각승 양지의 작품과 예술세계 (0) | 2021.09.06 |
전고령가야왕릉(傳古寧伽倻王陵)/ 行李, 고리·짐 (0) | 2021.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