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ijqYGFg0ENg 

 

 

https://www.youtube.com/watch?v=rVHNyT172J4 

 

 

https://kydong77.tistory.com/20844

 

秋史 金正喜, 歲寒圖와 그 발문& 예산 추사고택

집앞에 소나무 2그루[초의(노송)와 이상적] , 집뒤에도 잣나무 2그루 우측 상단의 題辭에는 "歲寒圖 藕船是賞 阮堂"이라 적었다. 제사를 번역하면, "세한도를 우선 이상적은 감상하시게. 완당 김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18087

 

추사 김정희 선생 유배지/서귀포

금란지교 (金蘭之交) 지란지교 (芝蘭之交) 추사 김정희(1786-1856) 초의 의순(1786-1866) 집앞에 소나무 2그루[초의(노송)와 이상적] , 집뒤에도 잣나무 2그루 우측 상단의 題辭에는 "歲寒圖 藕船是賞 阮

kydong77.tistory.com

 

http://www.daeheungsa.co.kr/home/sub2/sub1_3.asp

 

고승대덕-초의선사

초의선사(1786~1866)는 무안 출신으로 속가에서 성은 장씨였고 법명은 의순(意恂)이며 초의(草衣)는 호이다. 대흥사의 13대 종사의 한 사람인 대선사로 간신히 명맥만 유지하던 우리나라 다도를

www.daeheungsa.co.kr

초의선사(1786~1866)는 무안 출신으로 속가에서 성은 장씨였고 법명은 의순(意恂)이며 초의(草衣)는 호이다.

대흥사의 13대 종사의 한 사람인 대선사로 간신히 명맥만 유지하던 우리나라 다도를 중흥시켜 다성(茶聖)으로 불린다.
강가에서 놀다가 물에 빠진 것을 지나가던 스님이 건져 준 일이 인연이 되어 6세 때 나주 운흥사에서 출가했다. 그 후 각지로 다니며 운수행각 하다가 대흥사 10대 강사인 완호윤우(琓虎尹佑)스님의 법을 받고 초의라는 법호를 얻었다.

초의선사는 불문에 몸담고 있었으나 그 테두리에 그치지 않고 유학, 도교 등 당대의 여러 지식을 섭렵하며 다산 정약용이나 추사 김정희자하 신위 같은 학자나 사대부들과 폭넓게 사귀었고 범패와 서예, 시, 문장에도 능했다.

그는 조용한 곳을 찾아 가부좌를 틀고 앉는 것만이 선이 아니었으며 현실의 일상생활과 선이 따로 떨어진 것이 아니었다.
그는 차(茶)와 선(禪)을 하나로 보아 「동다송」에서 ‘다선일미(茶禪一味)’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http://www.daeheungsa.co.kr/home/sub2/sub1_3_2.asp

 

고승대덕-초의선사

茶道란 차를 마시는 멋과 더불어 인간의 건전한 삶의 길을 걷자는 것을 말함이다. 차는 처음에 약용으로 사용되었을 만큼 기호음료일 뿐만 아니라 우리들의 몸을 건강하게 하는 보건음료로서

www.daeheungsa.co.kr

대흥사의 초의선사가 김명희에게 보낸 다시(茶詩)에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古來聖賢俱愛茶

고래성현구애다, 옛부터 성현들은 모두 차를 즐겼나니

茶如君子性無邪

다여군자성무사, 차는 군자처럼 성미에 사악함이 없어서라네

그리고 이능화의 『조선불교통사』에서 「차는 풀의 현성(즉, 禪)이다. 현미한 도, 청화의 덕이 있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이런 의미에서 다도란 차생활을 통해서 얻어지는 깨달음의 경지이지 차생활의 예절이나 법도 그리고 차를 끓이는 행다법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차를 대접하는 예법이요, 차 끓이는 방법일 뿐이지 결코 다도는 아니라고 할 수 있다.

 

http://www.daeheungsa.co.kr/home/sub2/sub1_3_3.asp

 

고승대덕-초의선사

초의스님의 사상은 선(禪)사상과 다선일미(茶禪一味)사상으로 집약되는데 특히, 그의 다선일미 사상은 차를 마시되 법희선열(法喜禪悅)을 맛본다는 것이다. 즉, 차(茶) 안에 부처님의 진리[法]와

www.daeheungsa.co.kr

초의스님의 사상은 선(禪)사상과 다선일미(茶禪一味)사상으로 집약되는데 특히, 그의 다선일미 사상은 차를 마시되 법희선열(法喜禪悅)을 맛본다는 것이다. 즉, 차(茶) 안에 부처님의 진리[法]와 명상[禪]의 기쁨이 다 녹아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그는 "차의 진예(塵穢, 더러운 티끌 먼지)없는 정기(精氣)를 마시거늘 어찌 큰 도를 이룰 날이 멀다고만 하겠는가(榛穢除盡精氣入, 大道得成何遠哉)!"라고 하였다. 스님에게는 차(茶)와 선(禪)이 둘이 아니고, 시(詩)와 그림이 둘이 아니며, 시(詩)와 선(禪)이 둘이 아니었다.

명성이 널리 알려지자 대흥사의 동쪽 계곡으로 들어가 일지암을 짓고 40여년 동안 홀로 지관(止觀)에 전념하면서 불이선(不二禪)의 오묘한 진리를 찾아 정진하였으며, 다선삼매(茶禪三昧)에 들기도 하였다. 한국의 다경이라 불리는 《동다송(東茶頌)》을 지어 우리의 차를 예찬하고 다도의 멋을 전하였으며, 범패와 원예 및 서예뿐만 아니라, 장 담그는 법, 화초 기르는 법, 단방약 등에도 능하였다.

[제30송]
一傾玉花風生腋

일경옥화 풍생액하고,  옥화 한잔 기울이니 겨드랑에 바람 일어 

身輕已涉上淸境

신경이섭 상청경이라, 몸 가벼워 하마 벌써 맑은 곳에 올랐네.

明月爲燭兼爲友

명월위촉겸위우하고, 밝은 달은 촛불 되어 나의 벗이 되고 

白雲鋪席因作屛

백운포석인작병이라. 흰 구름은 자리 펴고 병풍을 치는구나.

 

http://www.daeheungsa.co.kr/home/sub2/sub1_3_4.asp

 

고승대덕-초의선사

초의선사는 산속 절집에 사는 스님이면서 홀로 명상으로 선(禪)만 하는 스님이 아니었다. 다산 정약용, 완당 김정희를 위시하여 홍현주.석주형제, 윤정현, 권돈인, 자하신위, 유산 정학연, 운포

www.daeheungsa.co.kr

초의선사는 산속 절집에 사는 스님이면서 홀로 명상으로 선(禪)만 하는 스님이 아니었다.
다산 정약용, 완당 김정희를 위시하여 홍현주.석주형제, 윤정현, 권돈인, 자하신위, 유산 정학연, 운포 정학유 형제, 산천 김명희, 신헌등과 교류 했으며,후에 남도종화의 대가 소치 허유는 그가 키운 제자이다.

초의선사는 다산 정약용보다 24년이나 후배였다.
초의는 다산에게서 유서(儒書)를 빌어 읽고 시를 배웠으며, 또한 역학을 배우기도 했다. 이들 교유에는 풍류스러움이 넘쳐 흘렀고 다산과 초의에게는 그들이 즐겨마시는 차가 있었다.

 

초의문화제

http://www.daeheungsa.co.kr/home/sub2/sub1_3_6.asp

 

고승대덕-초의선사

- 기간 : 2009. 5. 23(토) ~ 24(일) - 장소 : 대흥사 일원 - 주최 : 초의문화제 집행위원회 - 주관 : 대흥사, 일지암, (사)해남다인회, 자우다회, 남천다회 - 문의 : (061) 535-0986, 534-2421 우리나라에는 이제 전

www.daeheungsa.co.kr

주관 : 대흥사, 일지암, (사)해남다인회, 자우다회, 남천다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