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m.blog.naver.com/wave88/122037158
예천 소백산 용문사 대장전 주련
< 용문사 대장전 (龍門寺 大藏殿) - 보물 제145호 > (사진촬영 : 慧林 曺永守 居士) (삼락자 석정) ...
blog.naver.com
送誾上人還龍門寺(송은상인환용문사)
(용문사로 돌아가는 은 상인을 전송하다)
ㅡ 서거정(徐居正, 1420년~1488년)
回首龍門揷碧天
회수용문삽벽천 머리를 돌리니 용문산이 하늘에 꽃힌 듯
招提一路細於絃
초제일로세어현 거문고 줄처럼 좁은 절집으로 가는 길
携筇又入烟蘿去
휴공우입연라거 지팡이 끌고 무성한 숲으로 들어가니
四月山深屬杜鵑
사월산심속두견 초여름 깊은 산에 두견새 소리만 이어지네.
보물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醴泉 龍門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 : 국가문화유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www.heritage.go.kr
삼존목불좌상이 놓여져 있는데 이는 그 기법상 목불탱의 불보살과 똑같은 수법으로 만들어진 원각상(圓刻像)이라 하겠다. 본존상의 경우 육계가 생략되었고, 반달형의 중앙계주가 표현되었으며, 신체는 중후한 모습이지만 각 부분은 둥글게 처리되었다. 또한 통견의 불의는 그 두께가 두꺼워 신체 윤곽이 선명히 드러나지 않고 있으며 옷주름 또한 지극히 단순화되어 도식적인 느낌을 준다. 따라서 이 본존상이 목각탱과 동일한 작가에 의해 동시에 조성된 작품임이 확실하지만 목각탱에 비해 신체의 굴곡이 보다 유기적이고, 표현력도 뛰어나다.
이 작품들의 조성기(造成記)가 하단에 「康熙二十三年甲子季」라고 묵서(墨書)되어 있어 숙종(肅宗) 10년(1684)에 조성된 것이 분명하며 따라서 이들 조각은 17세기 후기의 조각양식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되므로 그 역사적 의의는 매우 높은 것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KaT0Opuhu4k
예천 용문사 대장전과 윤장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예천 용문사 대장전과 윤장대(醴泉龍門寺大藏殿과 輪藏臺)는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사에 있다. 보물 제145호 '예천 용문사 대장전(醴泉 龍門寺 大藏殿)과 보물 제684호 윤장대(輪藏臺)'를 통합해 20
ko.wikipedia.org
예천 용문사 대장전과 윤장대(醴泉龍門寺大藏殿과 輪藏臺)는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사에 있다. 보물 제145호 '예천 용문사 대장전(醴泉 龍門寺 大藏殿)과 보물 제684호 윤장대(輪藏臺)'를 통합해 2019년 12월 2일 한 건의 국가지정문화재 국보 제328호로 승격 지정되었다.[1]
https://ko.wikipedia.org/wiki/%EC%9A%A9%EB%AC%B8%EC%82%AC_(%EC%98%88%EC%B2%9C%EA%B5%B0)
용문사 (예천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용문사 문화재
종목 명칭 시대 지정일비고
국보 제328호 | 예천 용문사 대장전과 윤장대 (醴泉 龍門寺 大藏殿과 輪藏臺) |
고려,조선 | 2019.12.02 | ||
보물 제729호 | 예천 용문사 감역교지 (醴泉龍門寺 減役敎旨) |
조선 | 1981.07.15 | ||
보물 제989-1호 |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醴泉 龍門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 |
조선 | 1989.04.10 | ||
보물 제989-2호 | 예천 용문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醴泉 龍門寺 木刻阿彌陀如來說法像) |
조선 | 1989.04.10 | ||
보물 제1330호 | 예천용문사팔상탱 (醴泉龍門寺八相幀) |
조선 | 2001.10.25 | ||
보물 제1445호 | 예천용문사영산회괘불탱 (醴泉龍門寺靈山會掛佛幀) |
조선 | 2005.09.06 | ||
보물 제1637호 |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醴泉 龍門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
조선 | 2010.02.24 | ||
보물 제1644호 | 예천 용문사 천불도 (醴泉 龍門寺 千佛圖) |
조선 | 2010.02.24 | ||
경북 유형문화재 제349호 |
예천용문사천불탱 (醴泉龍門寺千佛幀) |
2003.04.14 | |||
경북 유형문화재 제476호 |
예천 용문사 자운루 (醴泉 龍門寺 慈雲樓) |
조선 | 2013.04.08 |
https://www.youtube.com/watch?v=m1rRoaHdH3Q
https://www.youtube.com/watch?v=3Lmml1KizFc
'불교 불경 > 사찰 연등 유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천 용문사 관음전, 산신각, 천불전, 응진전, 명부전/ 포대화상 (0) | 2022.08.21 |
---|---|
예천 용문사 회전문, 보광명전(普光明殿) - 비로자나불(法身佛) (0) | 2022.08.21 |
예천 명봉사(鳴鳳寺)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慈寂禪師陵雲塔碑), 지장보궁 (0) | 2022.08.20 |
안동 천등산(天燈山) 봉정사(鳳停寺)/유네스코'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0) | 2022.08.11 |
아산 길상사 한글 주련(柱聯)& 권영한, 국내 사찰 주련 / 附보덕사 (0) | 2022.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