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

『직지』는 본문의 첫 장이 떨어져 나가고 없는 하권만 전해지고 있다. 책 표지에 직접 쓴 제목은 ‘직지’인 반면, 마지막 장에서는 권말제호 ‘백운화상초록불조 직지심체요절 권하’란 서로 다른 제목을 쓰고 있다.
제목을 풀어쓰면 ‘백운 경한스님이 불교의 선을 깨닫는 데 도움이 되는 역대 부처, 승려들의 말씀을 편찬한 글 모음집이라는 뜻이다.

백운경한 화상

 

1298년 전라북도 정읍에서 출생.
출가 후 전국의 사찰을 돌아다니며 수행하고, 1351년 50세에 원元나라 지공指空화상 에게 법을 묻고, 석옥화상의 법을 이었다. 1365년 나옹혜근 儺翁惠勤선사의 천거로 해주 신광사의 주지가 되었으며, 1370년에는 공부선의 시관으로 불교계를 이끌었다. 1372년에 부처님과 역대조사 스님들의 말씀을 가려 『직지』상하 2권을 편찬하였으며, 어록(상하 2권)이 전한다. 77세 여주 취암사에서 입적하였다.

 

 

https://ko.wikipedia.org/wiki/%EC%A7%81%EC%A7%80%EC%8B%AC%EC%B2%B4%EC%9A%94%EC%A0%88

 

직지심체요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은 백운화상 경한(景閑)이 1372년에 초록한 불교 서적이다. 간단히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

ko.wikipedia.org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은 백운화상 경한(景閑)이 1372년에 초록한 불교 서적이다. 간단히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 또는 직지(直指, JIKJI)라고 부르기도 한다.

1372년(공민왕 21)에 백운화상 경한이 임제종 18대 법손 석옥청공(石屋淸珙) 화상(和尙)으로부터 받아 온 《불조직지심체요절》을 증보하여 상·하 2권으로 엮은 것이다.[1] 백운화상이 입적하고 3년 뒤인 1377년에 청주 흥덕사(興德寺)에서 금속활자로 찍어 낸 것이 초인본(初印本)이다.[2] 이는 현존하는 금속활자로 인쇄된 책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3] 금속활자본은 현재 하권만이 전해지고,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고간본(古刊本)으로는 1378년 백운화상이 입적한 여주 취암사(鷲巖寺)에서 간행한 목판본이 있다. 목판본은 1992년 4월 20일 보물 제1132호로 지정되었고,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과 국립중앙도서관에 상하권 1책이 각각 소장되어 있다.[2][4]

내용

중심 주제인 직지심체(直指心體)는 ‘직지인심견성성불(直指人心見性成佛)’이라는 오도(悟道)의 명구에서 따온 것이다. 그 뜻은 사람이 마음을 바르게 가졌을 때 그 심성이 곧 부처의 마음임을 깨닫게 된다는 뜻이다. 사람의 본성은 그 자체가 본시 청정하므로 선지식(善知識)의 도움에 의하여 자기 마음 속에서 그 심성이 자정(自淨)함을 깨닫고 늘 자수(自修)·자행(自行)하면 곧 불성(佛性)을 체득하여 자기 자신이 바로 법신(法身)이 되며, 자기 마음이 바로 불심이 된다는 요지이다.[2]

명칭

정식 명칭은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이며, 간략 서명은 ‘불조직지심체’(佛祖直指心體)이다. 판심제(版心題)는 직지(直指) 또는 심요(心要)이다.[2] 간단히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 '직지(直指)'로 불리며, 영어권에도 'Jikji'로 통용된다.

흔히 직지심경(直指心經)으로도 불리는데, 불서(佛書) 중 직지는 (經)이 아니라 요절(要節)이기 때문에 이는 잘못된 표현이다.[5]

 

금속활자본

백운화상이 입적하고 3년 뒤인 1377년(우왕 3) 청주 흥덕사에서 간행하였다. 상·하 2권을 간행했으나, 현전하는 것은 하권 1책(첫 장 결락) 뿐이며, 이는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간행 후 500여 년의 행적은 알려진 게 거의 없다. 직지의 존재가 다시 드러난 것은 19세기 말 주한 프랑스 공사 콜랭 드 플랑시에 의해서이다. 주한 프랑스 공사로 부임한 플랑시는 고서적 수집에 열중했는데, 땅을 파던 중 직지를 입수한 것으로 보인다. 플랑시가 입수했을 때 직지는 이미 상권은 없고 하권도 첫 번째 쪽이 사라진 상태였다. 이후 플랑시에 의해 프랑스로 유출된 직지는 1911년 경매에 부쳐져 골동품 수집가 앙리 베베르에게 180프랑에 낙찰되었다. 1950년 베베르의 유족이 이를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기증해 현재에 이른다. 1972년 박병선 박사에 의해 현전하는 금속 활자로 인쇄된 책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라고 밝혀졌고, 그해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 도서의 해’ 기념 도서 박람회에 공개되었다.[5] 2001년 9월 4일에 《승정원일기》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6][7] 현재로선 직지를 프랑스로부터 돌려받을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병인양요 때 약탈해 간 외규장각 도서와는 달리 직지는 플랑시가 합법적으로 수집해 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5]

목판본

1378년(우왕 4) 6월에 백운화상이 입적한 여주 취암사에서 제자 법린(法麟) 등이 금속활자본을 바탕으로 간행한 것이다. 서문은 금속활자본의 성사달(成士達)이 쓴 것을 그대로 사용하고, 앞부분에 이색(李穡)이 쓴 서문을 추가하였다.

닥종이에 찍은 2권 1책으로, 크기는 세로 21.4cm, 가로 15.8cm이다.[1] 금속활자본을 다시 목판으로 간행한 이유는 지방 사찰의 금속활자 인쇄술이 미숙하여 인출 부수에 제한을 받아 많이 찍어 널리 퍼뜨릴 수 없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판본과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판본이 있는데,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판본이 인쇄상태가 좋은 편이고 두 개의 서문이 붙어있어 완전한 형태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판본은 1992년 4월 20일 보물 제1132호로 지정되었다.[9]

 

https://kydong77.tistory.com/21881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 佛祖直指心體要節)卷上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1845 직지심체요절권하(直指心體要節下卷)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개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본, 정식 서명은 이나 이 책을 줄여서, ‘직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21882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 佛祖直指心體要節)卷下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1845 직지심체요절권하(直指心體要節下卷)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개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본, 정식 서명은 이나 이 책을 줄여서, ‘직

kydong77.tistory.com

 

 

https://civil58.tistory.com/3285?category=787260 

 

佛祖直指心體要節 註解

佛祖直指心體要節 과거칠불(過去七佛) 1. 비바시불(毘婆尸佛)은 정관(淨觀)이니 이것은 정신수양을 말한 것이다. 이것은 고요히 관하는 것이다. 이 세상에 무엇이 좋으니 무엇이 좋으니 해도 정

civil58.tistory.com

 

 

 

https://civil58.tistory.com/3316?category=787260 

 

백운화상불조직지심체요절소개 및 발간사

출처 : 청주고인쇄 박물관 http://www.jikji.or.kr/ 불조직지심체요절소개 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佛祖直指心體要節[불조직지심체요절] 直指心體要節[직지심

civil58.tistory.com

 

https://civil58.tistory.com/3315?category=787260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01

출처 : 청주고인쇄 박물관 http://www.jikji.or.kr/ 불조직지심체요절소개 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佛祖直指心體要節[불조직지심체요절] 直指心體要節[직지심

civil58.tistory.com

 

https://civil58.tistory.com/3314?category=787260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02

출처 : 청주고인쇄 박물관 http://www.jikji.or.kr/ 불조직지심체요절소개 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佛祖直指心體要節[불조직지심체요절] 直指心體要節[직지심

civil58.tistory.com

 

https://civil58.tistory.com/3313?category=787260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03

출처 : 청주고인쇄 박물관 http://www.jikji.or.kr/ 불조직지심체요절소개 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佛祖直指心體要節[불조직지심체요절] 直指心體要節[직지심

civil58.tistory.com

 

https://civil58.tistory.com/3312?category=787260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04

거돈선사께서 영남(嶺南)으로부터 오니 암두(巖頭)스님이 물어 가로되 영남일존공덕(嶺南一尊功德)을 성취했는가 하니 거돈선사 가로되 성취한지가 오래 됐아오나 다만 점안(點眼)이 못됐을 뿐

civil58.tistory.com

 

https://civil58.tistory.com/3311?category=787260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05

설봉(雪峰)스님이 암두스님과 함께 풍주별산진저(풍주 땅 별산진저)에 이르러 암두스님은 날마다 잠만 자시기에 설봉스님이 평상시 좌선하시다가 하루는 불러 사형(師兄)이여! 사형은 일어나십

civil58.tistory.com

 

https://civil58.tistory.com/3310?category=787260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06

지통선사(知桶禪師)께서 귀종회하(歸宗會下:귀종스님을 따라 모여 있는 대중 속)에 계실 때 홀연히 한밤에 순찰을 돌다가 울부짖되 나는 이미 크게 깨쳤다 하니 대중은 다 놀란 것이다.날이 밝

civil58.tistory.com

 

https://civil58.tistory.com/3309?category=787260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07

운암(雲巖)스님이 승(僧)의 사리염(梨念=깊이 생각)하는 것이 무슨 경(經)인가? 대답해 이르되 유마경(維摩經)입니다. 하니 우암스님 이르시되 유마경은 묻지 않는다 염하는 경이 무슨 경인고 이

civil58.tistory.com

 

https://civil58.tistory.com/3308?category=787260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08

혜구선사(慧球禪師)께서 대중에게 보여 이르시되 내 요즈음 죽 먹고 밥 먹은 힘으로 형제들을 위하여 거청(擧唱=들어 외친다)하노니 마침내 이 항상치 못하다가도(不常) 만약에 살펴서 요기함을

civil58.tistory.com

 

https://civil58.tistory.com/3307?category=787260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09

우적상공(于迪相公)이 약산(藥山=유엄선사)을 방문하여 약산에게 묻기를 어떠한 것이 이 부처입니까? 한데 약산이 상공을 부르니 상공이 네! 하자 약산이 이르되 이는 무엇인가? 하니 상공이 그

civil58.tistory.com

 

https://civil58.tistory.com/3306?category=787260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10

출처 : 청주고인쇄 박물관 http://www.jikji.or.kr/ 불조직지심체요절소개 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佛祖直指心體要節[불조직지심체요절] 直指心體要節[직지심

civil58.tistory.com

 

https://civil58.tistory.com/3305?category=787260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11

고령선사(古靈禪師)께서 행각(行脚)하시는 때에 백장조사(百丈祖師)를 만나고 복주(福州)에 있는 대중사(大中寺)에 돌아와 수업을 할 때 사(師=여기는 고령스님의 은사인 계현선사를 이름)께서

civil58.tistory.com

 

https://civil58.tistory.com/3304?category=787260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12

낙보화상부구가(樂普和尙浮歌) 구름 낀 하늘에서 비가 뜰 가운데 연못에 떨어지니 물 위에 떠도는 물거품을 보겠구나. 먼저 거품이 없어지면 다음 거품이 일어나서 먼저 것과 다음 것이 상속하

civil58.tistory.com

 

https://civil58.tistory.com/3303?category=787260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13

보리와 번뇌가 둘이 아님(菩提煩惱不二) 중생(衆生)은 도(道) 닦기를 알지 못하고 문득 번뇌만을 단제(斷除)하고자 하니 번뇌는 본래 공적(空寂)하거늘 도(道)를 가지고 다시 또 도를 찾는 것이

civil58.tistory.com

 

https://civil58.tistory.com/3302?category=787260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14

출처 : 청주고인쇄 박물관 http://www.jikji.or.kr/ 불조직지심체요절소개 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佛祖直指心體要節[불조직지심체요절] 直指心體要節[직지심

civil58.tistory.com

 

 

https://www.youtube.com/watch?v=OKnjfv1wDAA 

 

 

https://www.youtube.com/watch?v=B-Vg6tx1Kr0&t=336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