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령주둔대한독립군대장 홍범도가 선언한 유고문(喩告文) / 대한민국 원년 12월 일
* 대한민국이 독립선언을 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한 서기 1919년을 대한민국 원년(元年)으로 한다.

김소희, 상주아리랑/ 일제하에 토지가 없어 북간도로 이민간 사람들 소재 가사.
https://www.youtube.com/watch?v=4wXH2ngoBKY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4093
홍범도(洪範圖)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1907년 전국적인 의병봉기가 일어나자 이 해 9월 일제가 민중의 무장투쟁을 약화시키기 위해 「총포급화약류단속법(銃砲及火藥類團束法)」을 공포, 포수들의 총을 회수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이에 크게 분노하여 11월 차도선(車道善) · 태양욱(太陽郁)과 산포대(山砲隊)주1를 조직하여 의병을 일으킨 뒤, 북청의 후치령(厚峙嶺)주4을 중심으로 갑산(甲山)주5 · 삼수(三水)주6 · 혜산(惠山)주7 · 풍산(豊山)주8 등지에서 유격전으로 일본 수비대를 격파하였다.
1910년 소수의 부하를 이끌고 간도로 건너가 차도선 · 조맹선(趙孟善) 등과 포수단(砲手團)을 조직하였다. 이후 교포들에게 광복사상을 고취하며 국내와 연락, 애국지사 소집과 독립군 양성에 진력하였다.
1919년 3 · 1운동 후 3~6월 사이 대한독립군을 창설했다. 같은 해 8월, 200명의 부하를 거느리고 두만강을 건너 혜산진 · 갑산 등지의 일본군을 습격, 큰 전과를 거두었다.
이에 자신감을 갖고 정예부대를 인솔, 다시 압록강을 건너 강계(江界)주9 만포진(滿浦鎭)을 습격한 뒤 자성에서 3일 동안 일본군과 교전하여 70여 명을 사살하는 대전과를 거두었다.
1919년 3 · 1운동 후 동만주에 거주하는 동포들이 간도대한국민회(間島大韓國民會)를 결성하자 1920년 5월 합작하였다. 간도대한국민회와 대한독립군의 합작 군사조직으로 제1군사령부가 결성되었고 홍범도는 정일 제1사령관에 임명되었다.
1920년 5월 27일 북로사령부로 개명되었고, 이후 최진동(崔振東)이 지휘하는 도독부(都督府)와 통합하였다. 최진동이 독군부 부장, 안무가 부관, 홍범도가 북로제1군사령에 임명되었다. 확대 개편된 500여 명의 대부대로 국내 진입작전을 감행하였다.
1920년 6월 최진동과 협력하여 종성(鍾城)주2 삼둔자(三屯子)주3 부근에서 국경수비대와 격전을 벌여 120명을 사살하는 대전과를 올렸으며, 두만강 대안의 봉오동(鳳梧洞)에서 일본군 대부대를 전멸시키는 큰 성과를 올리니, 이것이 유명한 봉오동전투이다.
또한 같은 해 10월 청산리전투에서도 제1연대장으로 참가, 제2연대장 김좌진(金佐鎭), 제3연대장 최진동 등과 함께 일본군을 크게 격파하였다.
봉오동과 청산리에서 치욕적인 패배를 거듭한 일본군이 계속해서 추격해 오자 독립군조직을 총망라하여 대한독립군단(大韓獨立軍團)을 조직하고 부총재에 선임되었다. 그 뒤 간도지방의 김좌진 · 최진동부대와 함께 노령(露領)으로 이동, 흑룡강 자유시(自由市)를 새로운 근거지로 삼고 러시아군과 교섭하여 협조를 얻었다.
그러나 러시아 공산당의 배반으로 무장해제 된 뒤 많은 단원이 사살되거나 포로가 되는 등 이른바 자유시참변을 겪게 된다. 이 사변 이후 1922년 고려공산당과 한족공산당이 통합하여 조직한 고려중앙정청(高麗中央政廳)의 고등군인징모위원에 임명되었다.
1937년 스탈린의 한인강제이주정책에 의하여 카자흐스탄의 크질오르다로 강제이주되어 이곳에서 극장 수위 등으로 일하다가 1943년 76세로 사망하였다. 2021년 광복절 카자흐스탄에서 봉환된 홍범도 장군의 유해가 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제3묘역에 안장됐다.
https://www.youtube.com/watch?v=UTJnqFWOAoY
https://www.youtube.com/watch?v=paTt6KLgUNA
https://www.youtube.com/watch?v=JckO3NpVFAg
홍범도
|
|
1921년 당시 봉오동 |
|
출생일/ 1868년 8월 27일 | |
출생지 조선 평안도 평양부 서문안 문열사 부근 (현재 북한 평양) |
|
사망일/ 1943년 10월 25일(75세) | |
소련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키질로르다 (현재 카자흐스탄 키질로르다)/ 사망지 |
|
별명범도(範道), 호는 여천(汝千) | |
본관 남양 | |
부모/ 홍윤식(부) | |
대종교/ 종교 | |
소속/ 대한독립군 | |
서훈/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
https://ko.wikipedia.org/wiki/%ED%99%8D%EB%B2%94%EB%8F%84
홍범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홍범도(洪範圖, 1868년 음력 8월 27일 ~ 1943년 10월 25일)는 조선 말기의 의병장이며,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군인이다. 사냥꾼으로 활동하여 사격술에 능하
ko.wikipedia.org
https://www.youtube.com/watch?v=-EQW1dL96uM

https://www.youtube.com/watch?v=WJ4h2wqBMVY
https://www.youtube.com/watch?v=CfAtpMih7cI
https://www.youtube.com/watch?v=yPKlHCz2WJE



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230829/120909443/1
5인 흉상중 홍범도만 이전하기로… 정치권 논란 가열
정부 여당이 육군사관학교에 설치된 홍범도 장군의 흉상을 독립기념관으로 이전하기로 한 것은 “소련 공산주의 세력과 손잡은 전력이 있는 인사의 흉상을 설치한 것이 부적절하다”는 정부…
www.donga.com
https://m.khan.co.kr/politics/politics-general/article/202308252104015#c2b
광복회장 “육사 ‘독립유공자 흉상’ 철거는 일제 민족정기 들어내려는 시도와 같아”
흉상 철거·이전에 비판“독립운동 흔적 지우기” 우당 이회영 선생의 손자인 이종찬 광복회장(사진)...
m.khan.co.kr
https://m.khan.co.kr/politics/politics-general/article/202308252057025#c2b
김좌진·홍범도·지청천 장군…독립영웅 흉상 철거하는 육사
이종섭 국방 “공산당 경력 문제”육사도 “학교 설립 취지 구현”기념단체들 “정통성 부정” 반...
m.khan.co.kr




청년 음악가 정율성 기념비 (광주 동구 불로동 위치)
http://weekly.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28484
김웅, “정율성 기념공원... 광주정신을 팔아 먹는 것" - 주간조선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정율성 기념공원’ 조성 강행의지를 굽히지 않고 있는 가운데, 김웅 국민의힘 의원(서울 송파구갑)이 “강기정 시장은 정율성이 뛰어난 음악가이기 때문에 기려야 한
weekly.chosun.com


http://m.honam.co.kr/detail/c3QycN/701747
보훈단체 1천600명, 30일 광주서 '정율성 사업' 대규묘 반대 집회
지난 28일 광주 보훈단체가 서구 치평동 광주시청 앞에서 '정율성 역사공원 조성'을 철회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뉴시스광주 출신의 항일 독립
www.mdilbo.com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8/29/SSC_20230829140901.jpg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30829500121
5·18 단체, 30일 광주서 ‘정율성공원 조성 철회’ 집회
광주시가 추진하는 정율성 기념공원 조성 철회를 촉구하는 집회에 5·18 민주화운동 공법단체인 등도 참여한다. 29일 광주시 등에 따르면 30일 광주시청 앞 잔디광장에서 광주시 보훈단체가 공동
www.seoul.co.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0711
정율성(鄭律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C%9C%A8%EC%84%B1
정율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율성(중국어 간체자: 郑律成, 정체자: 鄭律成, 병음: Zhèng Lǜchéng 정뤼청[*], 1914년 7월 7일 ~ 1976년 12월 7일)은 북한,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을 취득해 활동한 공
ko.wikipedia.org
https://www.youtube.com/watch?v=Z55yQ8Yihtw
https://www.youtube.com/watch?v=Whbml1PuL_8
https://www.youtube.com/watch?v=9xt052nReK8
https://www.youtube.com/watch?v=x1G4oq_FDMI
https://www.youtube.com/watch?v=nfPj8Xh9usI
https://www.youtube.com/watch?v=3gSDsRqXc-Y&t=7s
https://www.youtube.com/watch?v=TTUynpSgwhE
https://www.youtube.com/watch?v=bC6QInV_6Qc
http://m.mdilbo.com/detail/c3QycN/672387
때아닌 '색깔논쟁'에 얼룩진 남구 정율성로
남구 양림동 정율성로에 세워진 정율성 흉상 모습.광주에서 태어난 항일운동가이자 작곡가인 정율성 선생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진 광주 남구 '정율성로
www.mdilbo.com
https://www.youtube.com/watch?v=R7L8_ZRCIa4
통합과 협치
https://www.youtube.com/watch?v=to1QQsBk0sI
https://www.youtube.com/watch?v=w1Np2cSrIsg
'문화예술 역사 >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혜경궁 홍씨 奉壽堂(봉수당) 진찬연(進餐宴)-회갑연 (0) | 2023.10.12 |
---|---|
단군신화, 古朝鮮[王儉朝鮮] (2) | 2023.10.12 |
충남 서천 문헌서원/ 목은(牧隱) 이색(李穡)/ 이곡(李穀),죽부인전(竹夫人傳) (1) | 2023.08.21 |
조선왕조실록 47책/ 사관(史官)> 사초(史草)> 실록 편찬> 사고(史庫) (0) | 2023.08.14 |
연산군지묘(燕山君之墓),수령500년 은행나무& 정의공주묘/조선 4대사화(士禍) (1) | 2023.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