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naver.com/kydong47/223232035147
모두 4편으로 되어 있다. 제1편은 작자의 회갑해에 쓰여졌고, 나머지 세 편은 1801년(순조 1)∼1805(순조 5) 사이에 쓰여졌다.
필사본 14종이 있으며, 국문본·한문본·국한문혼용본 등이 있다. 사본에 따라 ‘한듕록’·‘한듕만록’·‘읍혈록’ 등의 이칭이 있다. 4편의 종합본은 「한듕록」·「한듕만록」의 두 계통뿐이다.
제1편에서 혜경궁은 자신의 출생부터 어릴 때의 추억, 9세 때 세자빈으로 간택된 이야기에서부터 이듬해 입궁하여 이후 50년간의 궁중생활을 회고하고 있다.
중도에 남편 사도세자의 비극에 대해서는 차마 말을 할 수 없다 하여 의식적으로 사건의 핵심을 회피한다. 그 대신 자신의 외로운 모습과 장례 후 시아버지 영조와 처음 만나는 극적인 장면의 이야기로 비약한다.
후반부에는 정적(政敵)들의 모함으로 아버지·삼촌·동생들이 화를 입게 된 전말이 기록되어 있다. 이 편은 화성행궁에서 열린 자신의 회갑연에서 만난 지친들의 이야기로 끝난다.
나머지 세 편은 순조 1년 5월 29일 동생 홍낙임(洪樂任)이 천주교 신자라는 죄목으로 사사(賜死)당한 뒤에 쓴 글이다.
제2편에서 혜경궁은 슬픔을 억누르고 시누이 화완옹주의 이야기를 서두로, 정조가 초년에 어머니와 외가를 미워한 까닭은 이 옹주의 이간책 때문이라고 기록한다.
또 친정 멸문의 치명타가 된 홍인한사건(洪麟漢事件)의 배후에는 홍국영(洪國榮)의 개인적인 원한풀이가 보태졌다고 하면서 홍국영의 전횡과 세도를 폭로한다. 끝으로 동생의 억울한 죽음을 슬퍼하면서 그가 억울한 누명에서 벗어나는 날을 꼭 생전에 볼 수 있도록 하늘에 축원하며 끝맺는다.
제3편은 제2편의 이듬해에 쓰여진 것으로 주제 역시 동일하다. 혜경궁은 하늘에 빌던 소극성에서 벗어나 13세의 어린 손자 순조에게 자신의 소원을 풀어달라고 애원한다.
정조가 어머니에게 얼마나 효성이 지극하였는지, 또 말년에는 외가에 대하여 많이 뉘우치고 갑자년에는 왕년에 외가에 내렸던 처분을 풀어주고 언약하였다는 이야기를 기술하며, 그 증거로 생전에 정조와 주고받은 대화를 인용하고 있다.
마지막 제4편에서는 사도세자가 당한 참변의 진상을 폭로한다. ‘을축 4월 일’이라는 간기가 있는데, 을축년은 순조 5년 정순왕후(貞純王后)가 돌아간 해이다. “임술년에 초잡아 두었으나 미처 뵈지 못하였더니 조상의 어떤 일을 자손이 모르는 것이 망극한 일”이라는 서문이 있다. 혜경궁은 사도세자의 비극을 다음과 같이 말한다.
선왕조의 나인이라 위세가 등등하였던 동궁나인(東宮內人)들과 세자 생모인 영빈(暎嬪)과의 불화로 영조의 발길이 동궁에서 멀어졌다. 때마침 영조가 병적으로 사랑하였던 화평옹주의 죽음으로 인하여 영조는 비탄으로 실의에 빠져 세자에게 더욱 무관심해졌다.
세자는 그 사이 공부에 태만하고 무예놀이를 즐겼다. 영조는 세자에게 대리(代理)를 시켰으나 성격차로 인하여 점점 더 세자를 미워하게 되었다. 세자는 부왕이 무서워 공포증과 강박증에 걸려, 마침내는 살인을 저지르고 방탕한 생활을 하였다.
1762년(영조 38) 5월 나경언(羅景彦)의 고변과 영빈의 종용으로 왕은 세자를 뒤주에 가두고, 9일 만에 목숨이 끊어지게 하였다. 혜경궁은 영조가 세자를 처분한 것은 부득이한 일이었고, 뒤주의 착상은 영조 자신이 한 것이지 홍봉한(洪鳳漢)의 머리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이것은 임오화변 이후 종래의 노소당파가 그 찬반을 놓고 시파(時派)와 벽파(僻派)로 갈라져서, 세자에 동정하는 시파들이 홍봉한을 공격하며 뒤주의 착상을 그가 제공하였다고 모함하였기 때문이다. 작자는 양쪽 의론이 다 당치 않다고 반박하면서 “이 말하는 놈은 영조께 충절인가 세자께 충절인가.”라며 분노한다.
제1편은 혜경궁의 회갑해(정조 19)에 친정 조카에게 내린 순수한 회고록이다. 나머지 세 편은 순조에게 보일 목적으로 친정의 억울한 죄명을 자세히 파헤친 일종의 해명서이다.
그 골자가 되는 세 사건은 영조 46년(1770)에서 정조 2년(1778) 사이에 왕비(貞純王后)의 친정 경주 김씨와 전 세자빈의 친정 풍산 홍씨의 정권다툼으로, 작자의 아버지와 아들이 화를 당한 일을 말한다.
즉, 한유(韓鍮)의 상소로 아버지 홍봉한이 실각하고, 삼촌 홍인한과 동생 홍낙임이 사사되는 원인이 된 정조초, 이른바 정유역변의 연루되어 있다는 혐의를 해명한 것이다. 그 중 가장 핵심적인 것은 사도세자 사건과 관련된 홍봉한 배후설이다.
홍봉한은 당시 좌의정이었다는 사실 때문에 도의적인 책임을 넘어 뒤주를 바쳤다는 혐의까지 받았다. 제4편에서 작자가 차마 말하고 싶지 않은 궁중비사(宮中祕史)의 내막을 폭로한 것은 아버지의 결백을 증명하기 위해서였다. 공주의 후예로 명문가인 친정이 자기 때문에 망하였다는 죄책감으로 71세 노령에도 무서운 집념으로 써낸 것이다.
의의와 평가
「한중록」은 역사적 인물의 글이라는 점에서, 더욱이 그가 비빈(妃嬪)이라는 사실에서, 정계야화로서 역사의 보조자료가 된다. 임오화변의 이유 및 홍봉한일가에 대한 사관을 재검토하는 데 도움을 주는 실기문학이다. 또한, 이 작품은 여류문학, 특히 궁중문학이라는 점에서 궁중용어, 궁중풍속 등의 보고(寶庫)라 할 수 있다.
「한중록」은 소설로 볼 수 있을 만큼 문장이 사실적이고 박진감이 있다. 그리고 치렁치렁한 문체는 옛 귀인(貴人)들의 전아한 품위를 풍기고 경어체의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작자를 비롯하여 등장인물 가운데에서 전통사회의 규범적 여인상의 전형을 볼 수 있다는 점 등으로, 이 작품은 우리 고전문학의 백미라 일컬어진다.
https://namu.wiki/w/%ED%98%9C%EA%B2%BD%EA%B6%81%20%ED%99%8D%EC%94%A8
혜경궁 홍씨(惠慶宮 洪氏)는 사도세자의 정실이며 정조의 친어머니다. 그 외의 자녀로는 의소세손, 청연공주, 청선공주가 있다. 혜경궁(惠慶宮)은 아들 정조에게서 받은 궁호다.
영안위 홍주원의 5대손으로 홍주원의 부인이 선조의 딸 정명공주였기 때문에 선조의 외6대손이기도 하다. 영풍부원군 홍봉한의 딸로 1744년(영조 20년), 10살의 어린 나이[3]에 세자빈에 책봉되어, 동갑내기 사도세자와 혼인하였다. 명목상 간택을 치르기는 했지만 초간택 때 이미 대왕대비인 인원왕후, 왕비인 정성왕후 등 높으신 분들을 뵙고 궁인들이 홍씨가 괴로워할 정도로 그녀를 안으려 다툰 것을 보아 간택 전에 이미 그녀는 세자빈으로 낙점이 되었던 듯하다. 이 때 그녀의 조상인 정명공주가 사용하던 물품들이 혼수로 들어와 기이하게 여겼다.[4][5] 특히 병풍에는 홍봉한이 꾼 그녀의 특별한 태몽에 나타난 흑룡과 똑같은 흑룡이 수놓아져 있었다고 한다.
1814년(순조 14년), 정적이었던 정순왕후가 죽은 뒤, 차례차례 혜경궁 홍씨의 친정이 신원, 복권되었다. 또한 홍봉한의 죽음 직전에 그를 비난했던 정이환, 이심도 등의 처벌을 순조에게 요구한다. 이심도는 결국 사형에 처해진다.
혜경궁 홍씨는 전에 1805년(순조 5년)부터 담현증(痰昡症)을 앓아 오래 병석에 누웠는데, 점차 병세가 깊어져 1815년(순조 15년) 12월 15일, 81세의 일기를 끝으로 창경궁 경춘전에서 눈을 감았는데 손자 순조가 '헌경(獻敬)'이라는 시호를 올렸다.[27][28]
빈청에서 혜경궁의 시호를 다시 의논하여 올리다
빈청(賓廳)에서 혜경궁의 시호를 다시 의논하여 상계(上啓, 조정이나 윗 사람에게 여쭈어 봄)하였는데,
시호는 헌(獻) 【총명(聰明)하고 예지(睿知)함.】 경(敬) 【밤낮으로 경계(儆戒)함.】 이다.
- 《순조실록》 18권, 순조 15년(1815년, 청 가경(嘉慶) 20년) 12월 25일 (을해) 2번째기사
* 아들 정조 정조(正祖, 1752년 10월 28일 ~ 1800년 8월 18일) 사후 15년을 더 살았다.
* 정조는 건릉(사도세자릉) 옆 화성에서 모친 모시고 사는 게 꿈이었건만
정조(正祖, 1752년 10월 28일 ~ 1800년 8월 18일, 재위: 1776년 4월 27일(음력 3월 10일)[1] ~ 1800년 8월 18일(음력 6월 28일)[2])는 조선 제22대 왕이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다. 성은 이(李), 휘는 산 또는 성(祘)[주해 1],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형운(亨運)[3], 호는 홍재(弘齋)다.[4]
[출처] 혜경궁 홍씨, 한중록/4편 종합본 「한듕록」·「한듕만록」 & 수원화성|작성자 은자
KBS 한국사전 – 피눈물의 기록 한중록, 혜경궁 홍씨 1부 - YouTube
KBS 한국사전 – 피눈물의 기록 한중록, 혜경궁 홍씨 2부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U9FDbKarkQc
https://www.youtube.com/watch?v=Yd2Y81qcr_I
https://www.youtube.com/watch?v=5ZeVfjg6vt8
https://www.youtube.com/watch?v=OCC1iB2d2zM
'문화예술 역사 >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경궁 함인정, 도연명 四時/ 홍화문, 명정전, 성종태실과 비(碑), 자경전 터- 혜경궁 홍씨 한중록 집필 (0) | 2023.11.08 |
---|---|
밀양강변 금시당, 백곡재/ 월연대 쌍경당 용평터널&아리랑우주천문대 (2) | 2023.11.04 |
사도세자가 죽자 더 번성한 처가/正祖 '홍재전서(弘齋全書)' 27王중 유일한 문집 (2) | 2023.10.15 |
혜경궁 홍씨 奉壽堂(봉수당) 진찬연(進餐宴)-회갑연 (0) | 2023.10.12 |
단군신화, 古朝鮮[王儉朝鮮] (2) | 2023.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