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동별곡 關東別曲
-송강 정철
http://www.seelotus.com/gojeon/gojeon/ga-sa/kwan-dong-byeol-kok-list.htm
선조13년(1580년), 작자가 45세 때 지음.
(1) 서사 : 부임과 순력
부임 | 창평 | 은거 생활, 천석고황 | |
한양 | 성은에 감격 | ||
평구역 | 양주 | ||
흑슈 | 여주 | ||
셤강·티악 | 원주 감영이 있는 곳 | ||
순력 | 쇼양강(춘천) | 연군지정, 우국지정 | |
동쥬(철원)·북관뎡 | 연군지정, 세사의 무상함 | ||
회양 | 선정에의 포부 |
(2) 본사 : 금강산과 관동 팔경 유람
금강산 유람 | 만폭동의 폭포 | 폭포의 장관, 비유·감각적 표현 | |
금강대의 선학 | 도선적 풍모, 셔호 녯주인 | ||
진헐대에서의 조망 | 녀산 진면목, 우국과 충절 | ||
개심대에서의 조망 | 성현의 도를 흠모, 공자의 고사 | ||
화룡소에서의 감회 | 선정에의 포부, 노룡에 비유 | ||
불정대의 12 폭포 | 폭포의 장관, '망여산 폭포' | ||
산영누 | 신선사상, 물아일체 | ||
관동팔경유람 | 총석정 | 도교 사상, 기묘한 형상 | |
삼일포 | 사선의 추모 | ||
의상대 | 일출의 장관, 우국지정 | ||
경포 | 정밀의 미, 미풍 양속 | ||
죽서루 | 객수, 연군지정 | ||
망양정 | 파도의 장관, 고래, 은산 |
관동팔경 : 강원도 동해안의 여덟 군데의 명승지
( 청간정, 경포대, 삼일포, 죽서루, 낙산사, 망양정, 총석정, 월송정 또는 시중대 )
(3) 결사 : 도선적 풍류
망양정 | 망양정에서 월출과 꿈 | 도선적 풍류, 신선 사상 | |
선우후락의 정신 | 선정에의 포부 | ||
달이 비치는 모습 | 임금의 은총 |
1580년(선조 13) 정철(鄭澈)이 지은 가사. ≪송강가사 松江歌辭≫와 ≪협률대성 協律大成≫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가 45세 되는 해 정월에 강원도관찰사의 직함을 받고 원주에 부임하여, 3월에 내금강·외금강·해금강과 관동팔경을 두루 유람하는 가운데 뛰어난 경치와 그에 따른 감흥을 표현한 작품이다.
내용을 시상의 전개에 따라 나누면 4단으로 나뉜다. 1단에서는 향리에 은거하고 있다가 임금의 부름을 받고 관찰사에 제수(除授)되어 강원도 원주로 부임하는 과정을 노래하였다.
2단에서는 만폭동(萬瀑洞)·금강대(金剛臺)·진헐대(眞歇臺)·개심대(開心臺)·화룡연(火龍淵)·십이폭포(十二瀑布) 등 내금강의 절경을 읊고 있다.
3단에서는 총석정·삼일포·의상대(義湘臺)의 일출, 경포대·죽서루(竹西樓) 및 망양정(望洋亭)에서 보는 동해의 경치 등 외금강·해금강과 동해안에서의 유람을 노래했다. 4단에서는 꿈속에서 신선과 더불어 노니는 것에 비유하여 작자의 풍류를 읊었다.
작품의 전체 행수는 이본에 따라 다르다. 성주본(星州本)은 71구 145행이며, 이선본(李選本, 關北本이라고도 함.)은 “어와 뎌 디위~ 알 거이고”가 더 있어 73구 146행이다. ≪협률대성≫에 실린 작품에는, 앞의 두 이본의 끝에 있는 “明月(명월)이 千山萬落(천산만락)의 ~ 오리라.”가 되어 79구 149행이다.
1. 강호(江湖)애 병이 깁퍼 듁님(竹林)의 누엇더니
( 자연을 사랑하는 깊은 병이 들어 은서지에서 지내고 있었는데 )
( (임금이) 800리나 되는 강원도 지방의 관찰사의 소임을 맡겨 주시니 )
( 아, 임금의 은혜야말로 갈수록 그지 없구나. )
( 경북궁의 서쪽 문으로 달려들어가 경회루 남문을 바라보며 )
( (임금께) 하직하고 물러나니, 임금이 내리신 관찰사의 신표가 행차의 앞에 섰다. )
( 평구역(양주)에서 말을 갈아 타고, 흑수(여주)로 돌아드니 )
( 섬강(원주)은 어디인가, 치악산(원주)이 여기로다. )
( 소양강(춘천)에서 흘러 내리는 물이 어디로 흘러간단 말인가? )
( 임금님 곁을 떠나는 외로운 신하가 백발도 많기도 많구나. )
( 동주(철원)의 밤을 간신히 세우고 북관정에 오르니 )
( 삼각산 제일봉이 웬만하면 보이겠구나. )
( 옛날 태봉국 궁예왕의 대궐터였던 곳에서 까막까치가 지저귀니 )
( 천고의 흥망을 알고 우짖는 것인가, 모르고 우짖는 것인가 )
( 회양이라는 네 이름이 (중국의) '회양'이라는 이름과 마침 똑같구나. )
( 중국 '회양' 태수로 정치를 잘했다던 급장유의 풍채를 다시 볼 것이 아닌가? )
2. 영듕(營中)이 무사(無事)하고 시졀(時節)이 삼월인 제,
( 감영 안이 무사하고 시절이 삼월인 때에 )
( 화천 시냇길이 금강산으로 뻗어 있다 )
( 여행 장비를 간편히 하고 돌길에 지팡이를 짚어 )
( 백천동을 곁에 두고 만폭동으로 들어가니 )
( 은 같은 무지개처럼, 옥 같은 용의 꼬리처럼 )
( (아름다운 폭포수가) 섞이어 돌며 뿜어내는 소리가 십 리에까지 자자하니 )
( 멀리서 들을 때엔 우레 소리 같더니, 가까이서 바라보니 온통 하얀 눈빛이구나. )
( 금강대 맨 꼭대기에 선학이 새끼를 치니 )
( 봄바람에 들려오는 옥피리 소리에 첫잠을 깨었던지 )
( 흰옷, 검은 치마로 단장한 학이 공중에 솟아 뜨니 )
( 서호의 옛주인과 같은 나를 반겨 넘나들며 노는 듯하네. )
( 소향로, 대향로봉을 눈 아래로 굽어보고 )
( 정양사 진헐대에 다시 올라 앉으니 )
( 금강산의 참모습이 여기(진헐대)에서 다 보이는구나 )
( 아아, 조물주가 야단스럽기도 야단스럽구나 )
( 날거든 뛰지 말거나 섰거든 솟지 말거나 할 것이지, 날고 뛰고 섰고 솟은 변화무쌍한 봉우리)
( 부용(연꽃)을 꽂아놓은 듯, 백옥을 묶어 놓은 듯, 아름다운 산봉우리여 )
( 동해 바다를 박차는 듯, 북극성을 괴어 놓은 듯, 그렇게도 힘찬 기상의 봉우리여. )
( 높도다 망고대여, 외롭구나 혈망봉이 )
( 하늘에 치밀어 올라가 무슨 일을 아뢰려고 )
( 오랜 세월 지나도록 굽힐 줄을 모르느냐? (그 지조가 놀랍구나) )
( 아, 너(망고대, 혈망봉)로구나. 너 같이 지조가 높은 것이 또 있겠는가? )
( 개심대에 다시 올라 중향성을 바라보며 )
( 만 이천봉을 똑똑히 헤아려 보니 )
( 봉우리마다 맺혀 있고 끝마다 서려있는 기운이 )
( 맑거든 깨끗하지 말거나, 깨끗하거든 맑지나 말거나 할 것이지, 맑고 깨끗함을 함께 지닌 산봉우리의 수려함이여. )
뎌 긔운 흐텨 내야 인걸(人傑)을 만들고쟈.
( 저 맑은 기운을 흩어 내어 뛰어난 인재(人材)를 만들고 싶구나. )
( 모양도 끝이 없고 몸가짐새도 많기도 많구나 )
( 천지가 생겨날 때에 자연히 되었지만 )
( 이제 와서 보게 되니 (천지창조에) 조물주의 뜻이 깃들어 있기도 하구나. )
(비로봉 정상에 올라가 본 사람이 있다면 그가 누구인가? (저렇게 아득하니 아마 없을 것임) )
(비로봉을 바라보니, 공자님 말씀이 생각나네. 공자는 동산에 올라 노나라가 작고, 태산에 올라서 천하를 작다고 했으니, 동산과 태산 중 어느 것이 높던가? )
( 노나라가 좁은 줄 우리는 모르거늘 )
( 넓거나 넓은 천하를 공자는 어찌해서 작다고 했는가? )
( 아! 공자의 저 높은 정신적 경지를 어떻게 하면 알 수 있을 것인가? )
( 오르지 못하는데 내려감이 이상하겠는가? )
( 원통골의 좁은 길로 사자봉을 찾아가니 )
( 그 앞에 넓은 바위가 화룡소가 되어 있구나 )
( 마치 천 년 묵은 늙은 용이 굽이굽이 서려 있어 )
( 밤낮으로 흘러내려 넓은 바다로 이어졌으니 )
( 용아, 너는 풍운을 언제 얻어 임금의 은총을 백성에게 내려 주려느냐? )
( 헐벗고 굶주린 백성을 모두 살려 내려무나. )
( 마하연, 묘길상, 안문재를 넘어 내려가 )
( 썩은 외나무 다리를 건너 불정대에 오르니 )
( (조물주가) 천 길이나 되는 절벽을 공중에 세워두고 )
( 은하수 큰 굽이를 마디마디 잘라내어 )
( 실처럼 풀어서 베처럼 걸었으니, (그렇게 십이폭포의 모습이 아름다우니 )
( 도경에 그려진 십이폭포가 내가 보기에는 여럿이구나 )
( 이백이 (<망여산폭포>에서 여산폭포를 극찬했는데), 이제 있어서 다시 의견을 나누게 되면 )
( 여산폭포가 십이폭포보다 낫다는 말을 아마도 못할 것이다. )
3. 샨듕(山中)을 매양 보랴, 동해(東海)로 가쟈스라.
( 금강산중을 계속 보겠는가, 동해로 가자꾸나. )
( 가마를 타고 천천히 산영루에 오르니 )
( 눈부신 푸른 시냇물과 여기저기서 지저귀는 새울음소리는 )
( 나와의 이별을 원망하는 듯하고 )
( 깃발들은 서로 오색이 어우러져 넘노는 듯하고 )
( 북과 피리를 섞어 부는 것에 따라 바닷구름이 다 걷히는 듯 )
( 밟으면 소리를 내는 모랫길에 익숙한 말이 취한 신선을 비스듬히 실어 )
( 바다를 곁에 두고해당화꽃밭으로 들어가니 )
( 갈매기야 날아가지 말아라, 내가 네 벗이 될지 어찌 알고 날아가느냐 ? )
( 금난굴을 돌아 들어서 총석정에 오르니 )
( 마치 옥황상제가 사는 듯한 백옥루의 남은 기둥 네 개가 서 있구나 )
( 공수가 만든 공작품인가? 조화를 부리는 귀신 도끼로 다듬었는가? )
( 구태여 육면으로 만든 기둥의 벽은 무엇을 본뜬 것인가 )
( 고성은 저만치 두고 삼일포를 찾아가니 )
( (사선이 남석으로 갔다는) 붉은 글씨는 바위에 뚜렷한데, 영랑, 남랑, 술랑, 안상은 어디로 갔는가 )
( 여기에서 사흘을 머문 후에 어디로 가서 또 머물렀던 것인가? )
( 선유담, 영랑호 그곳에나 가 있었던가 )
( 청간정, 만경대 몇 곳에 앉았던가 )
( 배꽃이 벌써 떨어지고, 접동새가 슬프게 울 때, )
( 낙산 동쪽 언덕으로 의상대에 올라 앉아 )
( 일출을 보려고 한밤중에 일어나니 )
( 상서로운 구름이 피어나는 듯, 여섯 마리 용이 해를 떠받치는 듯 )
바다헤 떠날 제는 만국(萬國)이 일위더니,
( 바다에서 해가 떠날 때는 온세상이 흔들리더니 )
( 하늘에 치솟아 뜨니 가는 터럭도 모두 셀 수 있을 만큼 환하다. )
( 아마도 흘러가는 구름이 해 근처에 머물까 두렵구나 )
( 내 심정과 같은 시를 읊은 이백은 어디 가고, 그의 시(등금릉봉황대)만이 남았느냐? )
( 천지간에 굉장한 이야기가 그의 시에 자세히도 표현되어 있구나. )
( 석양 무렵 현산의 철쭉꽃을 잇달아 밟아 )
( 신선이 탄다는 수레를 타고 경포로 내려가니 )
( 십 리나 뻗어 있는 얼음을 다리고 다시 다린 듯한 잔잔한 호숫물이 )
( 큰 소나무에 둘러싸인 속에서 마음껏 펼쳐져 있으니, )
믈결도 자도 잘샤 모래를 혜리로다.
( 물결도 잔잔하기도 하구나, 그 물 밑의 모래를 셀 수 있을 만큼 맑구나 )
( 한 척의 배를 띄워 정자 위에 올라가니 )
( 강문교를 넘은 곁에 동해 바다가 거기로구나. )
( 조용하도다 이 경포의 기상이여, 넓고 아득하구나 저 동해의 경계여. )
( 이곳보다 아름다운 경관을 갖춘 곳이 또 어디에 있단 말인가 )
( 고려 우왕 때의 박신과 홍장의 사랑이야기가 야단스럽다고 하겠구나. )
( 강릉 대도호는 풍속이 좋구나. )
( 효자, 열녀, 충신을 표창하는 붉은 문이 고을마다 널렸으니 )
( 집집마다 벼슬을 줄 만하다는 요순 시절의 태평성대가 지금도 있다고 하겠구나. )
( 진주관 죽서루 밑의 오십천 흘러내리는 물이 )
( 태백산 그림자를 동해로 담아가니 )
( 차라리 그 그림자를 한강의 남산에 닿게 하고 싶어라. )
( 관리의 여행길은 유한하고, 풍경은 싫지 않으니 )
( 그윽한 회포가 많기도 많구나, 나그네의 근심을 둘 곳이 없구나 )
( 신선이 탄다는 뗏목을 띄워서 북두칠성 견우성으로 향해 볼까? )
( 사선을 찾으러 단혈이란 동굴에 머물러 볼까? )
( 하늘 끝을 끝내 보지 못하여 망양정에 오르니 )
( 바다 밖은 하늘이니 하늘 밖은 무엇인가 )
( 가뜩이나 노한 고래(파도)를 누가 놀라게 하였길래, )
( 물을 불거니 뿜거니 어지럽게 구는 것인가 )
( 마치 은산(파도)을 꺾어 내어 온세상에 흘러내리는 듯 )
( 오월 하늘에 백설(포말)은 무슨 일인가 )
4. 져근덧 밤이 드러 풍낭(風浪)이 뎡(定)하거늘,
( 어느덧 밤이 깊어 물결이 가라앉아서 )
( 해뜨는 곳 가까운 곳에서 떠오를 명월을 기다리니 )
( 상서로운 달빛이 구름사이로 보이다가 이내 숨는구나 )
( 구슬로 만든 발을 다시 걷어 올리고 층계를 다시 쓸며 )
( 샛별이 돋아나도록 꼿꼿이 앉아서 명월을 바라보니 )
( 연꽃 한 가지(달)를 누가 보내셨는가 )
( 이렇게 좋은 세상을 남들에게 다 보여주고 싶구나 )
( 좋은 술을 가득 부어 달에게 묻는 말이 )
( "영웅은 어디 갔으며 사선은 그들이 누구이더냐" )
( 아무나 만나 보아 옛소식을 묻자 하니 )
( 선산 동해에 갈길이 멀기도 멀구나. )
( 소나무 뿌리를 베고 누워서 선잠을 얼핏 드니 )
( 꿈에 신선이 나타나 나에게 이르는 말이 )
( "그대를 내가 모르겠는가, 그대는 하늘나라에 살았던 신선이라 )
( 황정경 한 글자를 어찌 잘못 읽어 )
( 인간 세상에 내려와서 우리를 따르는가? )
( 잠깐만 가지 마오. 이 술 한 잔 먹어 보오." )
( 북두칠성을 술잔으로 삼아기울여서 창해수를 술로 삼아 부어 내어 )
( 저 먹고 나에게 먹이거늘, 서너 잔 기울이니 )
( 봄바람이 산들산들 불어 양쪽 겨드랑이를 추켜드니 )
( 높고 아득한 하늘에 왠만하면 날 것 같은 기분이로다. )
( " 이 술을 가져다가 온 세상에 고루 나누어 )
( 모든 백성을 다 취하게 만든 후에 )
( 그때 다시 만나 또 한 잔을 하자꾸나 " )
( 이 말이 끝나자 신선이 학을 타고 높고 아득한 하늘로 올라가니 )
( 공중에서 들려오는 옥피리 소리가 어제인지 그제인지 모르게 아득히 들려오는구나 )
( 나도 잠을 깨어 바다를 굽어보니 )
( 깊이를 모르니 그 바다 끝을 어찌 알겠는가 )
명월(明月)이 쳔산만낙(千山萬落)의 아니 비쵠 데 업다.
( 명월이 온 산과 촌락에 비치지 않은 곳이 없구나 )
- <송강가사> -
[작품해설]
이 작품은 조선 선조 13년(1580)에 송강 정철이 그의 나이 45세 되는 정월에 강원도 관찰사로 부임하여 3월에 관동 팔경을 두루 유람하고서 그 도정과 산수, 풍경과 고사, 풍속 등을 읊은 가사이다. <관동별곡>은 조선시대 가사 문학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으며, 숙종 때 김만중은 우리 나라 참된 문장은 송강의 <관동별곡>,<사미인곡>,<속미인곡> 세 편이라고 칭송하기도 하였다.
이 작품의 내용은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서사에서는 관찰사로 임명되어 여행에 오르는 동기를 밝히고,
본사에서는 부임지인 원주에 도착한 후 다시 관내를 순행하기 위해 길을 떠나 금강산 내외를 구경하면서 감상을 옮겼다.
결사에서는 동해의 달맞이와 꿈속에서 만난 신선과의 풍류를 노래하고 있다.
이 <관동별곡>은 기괴한 금강의 산수와 미려한 동해의 풍경, 그리고 장엄한 대자연을 붓끝으로 약동하여 신비에 대한 묘사와 감탄이 극치에 다다르고, 용어는 모두 34언 어주에 맞추어져 있으며, 한문 사용이 비교적 적다. 가장 특이한 점은 ‘연군(戀君)과 선어(仙語)’라고 할 수 있다. 이 두 가지가 처음부터 뒤섞여 그 맥락을 이었는데, 이 중에서 연군은 아첨과 허위가 아닌 진지한 작자의 태도임을 느낄 수 있다. 절묘한 언어의 조탁과 유연한 음률의 조화가 일품이며, 감탄사의 적절한 사용과 대구의 조화, 생략법 등을 사용하여 상당히 긴 가사지만, 독자로 하여금 조금도 지리한 감을 주지 않는다.
이와 같이, <관동별곡>은 종래의 많은 유람가사가 미치지 못할 만큼 독창적이며 서정적인 작품으로서 가장 대표적인 거작이다.
송강 가사에 대한 평가
① 이수광의 지봉유설 : 我國家.., 鄭澈所作最善…, 盛行於後世(우리나라에서... 정철의 작품이 가장 훌륭하다. 후세에 두고두고 베스트셀러가 될 것이다
② 홍만종의 순오지 : ……信樂譜之絶調也 (악보의 절조임을 믿는다)
③ 김만중의 서포만필 : 松江 關東別曲 前後美人歌 乃我東之離騷 自古左海 眞文章 只此三篇(정철의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은 우리나라의 ‘이소경’이다. 예로부터 지금까지 참다운 조선의 문학은 이 세 편뿐이다.)
'고전문학 > 민요 가사 시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주 아리랑 - 김소희 명창 (0) | 2008.11.26 |
---|---|
죽서루 외 (0) | 2008.10.14 |
속미인곡 -정철 (0) | 2008.10.13 |
사미인곡 -정철 (0) | 2008.10.13 |
호남가, 함평천지 늙은 몸이 광주고향을 보려하고 (2) | 2008.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