天命之謂性, :하늘이 명령한 것을 성(性)이라 하고,

率性之謂道, :성에 따르는 것을 도(道)라 하고,

脩道之謂敎. :도를 닦는 것을 교(敎)라 한다.

中庸章句

中者, 不偏不倚̖ 無過不及之名.

중이란 기울어지거나 치우침이 없고 지나치거나 부족함이 없는 것의 이름이요

庸, 平常也.

용은 평상한 것이다.


子程子曰: 정자께서 말씀하셨다.

不偏之謂中,

「기울어지지 아니하는 것을 중이라 하고,

不易之謂庸.

바뀌지 아니하는 것을 용이라 한다.

中者, 天下之正道,

중이란 천하의 바른 도요,

庸者, 天下之定理.」

용이란 천하의 정한 이치다.」

此篇乃孔門傳授心法,

이 편은 공자님 문하에서 전수한 심법이니,

子思恐其久而差也, 故筆之於書, 以授孟子.

자사께서 그 심법이 오래되어 착오가 생길까 두려워하신 고로 글에 붓을 대시어 맹자에게 주셨다.

其書始言一理,

그 글이 처음에는 한 이치를 말씀하셨고,

中散爲萬事,

가운데는 흐트러져서 만 가지 일이 되고,

末復合爲一理,

끝에는 다시 합하여 한 이치가 되는 것이다.

「放之則彌六合, ,

「놓은 즉 육합에 가득하고,

卷之則退藏於密」

거둔즉 물러가 고요한 데에 감추어서」

其味無窮,

그 맛이 무궁하니,

皆實學也.

다 실지의 학문이다.

善讀者玩索而有得焉,

잘 읽는 사람이 완미하고 탐색하여 얻음이 있으면

則終身用之,

평생토록 쓰더라도

有不能盡者矣.

능히 다하지 못할 것이다.


01-01 

天命之謂性, :하늘이 명령한 것을 성(性)이라 하고,

率性之謂道, :성에 따르는 것을 도(道)라 하고,

脩道之謂敎. :도를 닦는 것을 교(敎)라 한다.


[註]

命, 猶令也. 性, 卽理也.

명은 명령과 같다. 성은 곧 이치이다.

天以陰陽五行 化生萬物,

하늘이 음양과 오행으로 만물을 화생함에

氣以成形, 而理亦賦焉,

기로 형상을 이루고, 이치를 또한 부여하니

猶命令也.

명령하는 것과 같다.

於是人物之生,

이에 사람과 물건이 생겨날 때

因各得其所賦之理,

각각 그 품수한 바의 이치로 인하여

以爲健順五常之德, 所謂性也.

오상의 덕을 건전하게 따르는 것이 이른바 성이다.

率, 循也. 道, 猶路也.

솔은 따르는 것이다. 도는 길[도로]이다.

人物各循其性之自然,

사람과 물건이 각각 그 성의 자연을 좇으면

則其日用事物之間,

그 날마다 쓰는 사물 사이에

莫不各有當行之路,

각각 마당히 행할 길이 있지 아니한 것이 없으니

是則所謂道也.

이것이 이른바 도이다.

脩, 品節之也.

수는 법하여 절제하는 것이다.

性道雖同, 而氣稟或異,

성과 도가 비록 같으나 기품이 혹 다르므로

故不能無過不及之差,

능히 지나치고 미치지 못하는 차이가 없지 아니하니

聖人因人物之所當行者而品節之,

성인이 사람과 물건이 마땅히 행할 바로 인하여 품절하여

以爲法於天下, 則謂之敎,

천하에 법을 삼는 것을 가르침이라 하니,

若禮̖ 樂̖ 刑̖ 政之屬是也.

예악 형정 같은 붙이가 이것이다.

蓋人知己之有性

대개 사람이 자기의 성이 있는 것은 알지만

而不知其出於天

그것이 하늘에서 나온 것을 알지 못하며

知事之有道

일에 도가 있는 것은 알지만

而不知其由於性

그것이 성에서 말미암은 것을 알지 못하며

知聖人有敎

성인이이 가르치는 것이 있는 것은 알지만

而不知其因吾知之所固有者裁之也.

그것이 나의 고유한 바로 인하여 제재하는 것을 알지 못한다.

故子思於此首發明之,

그러므로 자사께서 맨먼저 발하여 밝히신 것이니

董子所謂道之大原 出於天 亦此意也.

동자의 이른바 “도의 큰 근원이 하늘에서 나왔다.”고 하는 것이 또한 이 뜻이다.


01-02

道也者, 不可須臾離也,

도라는 것은 잠시도 떠날 수 없는 것이니,

可離非道也.

떠날 수 있다면 도가 아니다.

是故君子戒愼乎其所不睹,

그러므로 군자는 보이지 않는 바를 조심하고 삼가며,

恐懼乎其所不聞.

들리지 않는 곳을 두려워하는 것이다.


[註]離, 去聲. ○道者, 日用事物當行之理, 皆性之德而具於心, 無物不有, 無時不然, 所以不可須臾離也. 若其可離, 則爲外物而非道矣. 是以君子之心常存敬畏, 雖不見聞, 亦不敢忽, 所以存天理之本然, 而不使離於須臾之頃也.


01-03

莫見乎隱, :숨겨진 것보다 더 잘 드러나는 것은 없으며,

莫顯乎微, :작은 것 보다 더 잘 나타나는 것은 없다.

故君子愼其獨也. :그러므로 군자는 홀로 있을 때 삼가는 것이다.


[註]見, 音現. ○隱, 暗處也. 微, 細事也. 獨者, 人所不知而己所獨知之地也. 言幽暗之中, 細微之事, 跡雖未形而幾則已動, 人雖不知而己獨知之, 則是天下之事無有著見明顯而過於此者. 是以君子旣常戒懼, 而於此尤加謹焉, 所以遏人欲於將萌, 而不使其滋長於隱微之中, 以至離道之遠也.


01-04

喜怒哀樂之未發, 謂之中 ; 희로애락이 발(發)하지 않는 상태를 중이라 하고,

發而皆中節, 謂之和. :발하여 절도에 맞는 것을 화라 한다.

中也者, 天下之大本也 : 중은 천하의 대본이요,

和也者, 天下之達道也. :화는 천하의 달도(통용되는 도)이다.


[註]樂, 音洛. 中節之中, 去聲. ○喜̖ 怒̖ 哀̖ 樂, 情也. 其未發, 則性也, 無所偏倚, 故謂之中. 發皆中節, 情之正也, 無所乖戾, 故謂之和. 大本者, 天命之性, 天下之理皆由此出, 道之體也. 達道者, 循性之謂, 天下古今之所共由, 道之用也. 此言性情之德, 以明道不可離之意.


01-05

致中和, :중과 화에 이르게 되면,

天地位焉, :하늘과 땅이 제 자리에 있게 되고

萬物育焉. :만물이 자라게 된다.

[註]致, 推而極之也. 位者, 安其所也. 育者, 遂其生也. 自戒懼而約之, 以至於至靜之中, 無少偏倚, 而其守不失, 則極其中而天地位矣. 自謹獨而精之, 以至於應物之處, 無少差謬, 而無適不然, 則極其和而萬物育矣. 蓋天地萬物本吾一體, 吾之心正, 則天地之心亦正矣, 吾之氣順, 則天地之氣亦順矣. 故其效驗至於如此. 此學問之極功̖ 聖人之能事, 初非有待於外, 而修道之敎亦在其中矣. 是其一體一用雖有動靜之殊, 然必其體立而後用有以行, 則其實亦非有兩事也. 故於此合而言之, 以結上文之意.


   右第一章.

子思述所傳之意 以立言:

자사께서 전하신 바의 뜻을 진술하여 말씀을 세워서

首明道之本原出於天而不可易,

첫머리에는 도의 본원이 하늘에서 나와서 바꿀 수 없는 것과

其實體備於己而不可離,

그 실체가 자신에게 갖추어져서 떠날 수 없는 것을 밝히셨다.

次言存養省察之要,

다음에는 그것을 기르고 살피는 요령을 말씀하시고,

終言聖神功化之極.

끝에는 성신의 공로와 조화의 지극한 것을 말씀하셨다.

蓋欲學者於此反求諸身 而自得之,

대개 배우는 자는 여기에 돌이켜 자기 몸에서 구하고 스스로 얻어서

以去夫外誘之私,

밖에서 유혹하는 사정을 버리고,

而充其本然之善,

그 본연의 착한 것을 충실케 하고자 하신 것이니,

楊氏所謂一篇之體要是也.

양씨의 이른바 한 편의 체요라고 한 것이 이것이다.

其下十章, 蓋子思引夫子之言,

이 아래 10장은 대개 자사가 부자의 말을 이끌어서

以終此章之義.

이 장의 뜻을 마치신 것이다.

02-01 

仲尼曰: 공자(중니)게서 말씀하시기를,

「君子中庸, :군자는 중용이요,

小人反中庸. :소인은 중용에 반한다.


[註]中庸者, 不偏不倚̖ 無過不及, 而平常之理, 乃天命所當然, 精微之極致也. 惟君子爲能體之, 小人反是.


02-02 

君子之中庸也, :군자의 중용은

君子而時中 ; 군자로서 때에 알맞게 하고,

小人之中庸也, :소인의 중용은

小人而無忌憚也.」 :소인으로서 기탄(거리낌)없는 것이다.


[註]王肅本作 「小人之反中庸也」, 程子亦以爲然. 今從之. ○君子之所以爲中庸者, 以其有君子之德, 而又能隨時以處中也. 小人之所以反中庸者, 以其有小人之心, 而又無所忌憚也. 蓋中無定體, 隨時而在, 是乃平常之理也. 君子知其在我, 故能戒謹不睹̖ 恐懼不聞, 而無時不中. 小人不知有此, 則肆欲妄行, 而無所忌憚矣.


右第二章.

此下十章은

皆論中庸以釋首章之義.

다 중용을 의론하여 머릿장의 듯을 풀어 말슴한 것인데,

文雖不屬,

글은 비록 연속되지 않았으나

而意實相承也.

뜻은 실상 서로 연결된 것이다.

變和言庸者,

화(和)를 변하여 용(庸)이라 말씀하신 것을

游氏曰:

유씨가 말하기를,

「以性情言之, 則曰中和,

“성정으로 말하면 중화이고

以德行言之, 則曰中庸是也. 」

덕행으로 말하면 중용이다.”라고 한 것이 옳다.

然中庸之中, 實兼中和之義.

그러나 중용의 중이 중화의 뜻을 겸한 것이다.

[주희가 신유학을 정립했던 무이구곡]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