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12월 3일. 부서진 대동강 철교를 아슬아슬하게 붙잡고 있는 피난민의 행렬

1950년11월 2일. 고아원에 방금 도착한 아이들이 통조림으로 첫 식사를 하고 있다.


미 보병 제25사단 병력이 폭격으로 부서진 수원성을 지나가고 있다. 1951.1.25.

한국전 당시 젊은 모습의 이후락 전 중앙정보부장. 육군본부 정보국 차장으로 재직하던 1951년의 모습.

국군 신병들이 열차편으로 전선으로 떠나기 전의 모습. 비장하면서도 애띤 모습이 눈길을 끈다. 1950. 12.18. 대구역앞.


1950년 10월 28일 서울의 폐허속에 문을 연 구두수선점. 피난에서 돌아온 구두수선공이 이전에 자신의 가게였던 자리에 다시 문을 열고 군화를 수선하러온 국군장병을 첫 손님으로 맞았다


6.25 전쟁 혼란중에도 발빠른 벤처기업가(?)가 태극기와 유엔기를 팔고 있다. 1950년 10월 28일 서울모습.

1951년 1월 4일. 1.4. 후퇴 당시 남하하는 피난민들

1951년 1월 14일. 부산의 포로수용소에서 한 미군 병사가 인민군 소년병 포로와 나란히 서 있다. 송종태라는 이름의 이 소년은 12살로 서울에서 포로로 잡혔다고 한다

경기도 남양주시 홍릉에서 미군 25사단 23여단 소속 병사 한명이 말 모양의 석상에 앉아 식사를 하는 모습. 1951.3.18.


1950년 12월 9일. 중공군의 개입으로 38선을 넘어 남하하는 북한 주민 가족을 미군 헌병이 검문하고 있다.

신병들을 모아놓고 연설하는 김백일 소장. 육군 1제군단장인 김 소장은 유엔군의 반격과 함께 가장 먼저 38선을 돌파, 혜산까지 북상했으며 12월 흥남철수작전 때 10만명의 피난민 수송을 지휘했다. 1951년 3월 비행기 추락으로 순직했다. 1950. 12. 19. 묵호진.


1950년 11월 9일. 미 보병 2사단이 발견한 한국 화폐 원판을 한 미군이 들고 있다. 뒤에는 지폐다발이 보인다. 사진에 뒷면의 설명에는 이 원판과 지폐가 진본인지 위조된 것인지에 관한 내용은 나와 있지 않다.

1951년 1월 31일 미 보병 25사단 소속의 한 장교가 이동수라는 이름의 통역관의 도움을 받아 주민들에게 대피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이 마을에서 곧 치열한 전투가 벌어질 것이라는 설명에도 아이들의 표정은 무심하기 그지없다.


1950년 11월 22일. 가톨릭교회에서 운영하는 고아원에서 원생들이 함께 식사하는 광경


한국군의 유재흥 소장. 1951. 1.22일 촬영. 한국전 당시 육군참모차장을 지냈으며 71∼73년 국방장관을 지냈다.

1950년 11월 서울의 고아원에서 보모들이 전쟁고아들을 돌보는 광경. 2009. 6.23


김창룡 특무대장과 홍성기 감독. 1950. 11월, 방첩대(CIC)본부에서 기록영화를 촬영할 당시 홍성기 감독이 사전 연출지시를 하는 장면이다. 16mm 필름으로 제작한 한국 최초의 컬러 극영화인 `여성일기'를 비롯해 `별아 내 가슴에', `춘향전' 등을 연출한 홍 감독은 여배우 김지미의 첫 남편으로 잘 알려져 있다.

80일간 적군에 포로로 잡혀 있다 구출된 미군 병사 3명이 자신들을 위해 전령 역할을 해준 한국 소년들에게 감사의 뜻으로 경례를 하고 있다. 1951.3.21.


1951년 1월 8일. 부서진 러시아제 T-34 탱크 옆에서 빨래하고 있는 아낙네들.

주민들이 배급식량을 타기 위해 줄을 서 있는 모습 1951.3.19. 서울

'문화예술 역사 > 역사 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6·25에 나는 통곡합니다  (0) 2009.06.26
공군, 6.25참전 외국공군활약상 공개  (0) 2009.06.26
6.25 특집 화보 02  (1) 2009.06.26
6.25 특집 화보 01  (1) 2009.06.26
아, 6.25 전쟁 !  (1) 2009.06.26

폐허로 변한 서울 거리에서 부녀자들이 건물잔해속에서 땔감이나 쓸만한 물건을 찾고 있다. 뒤편으로 중앙청 건물이 보인다. 1950. 11.1일 서울모습.

중공군의 개입으로 피난을 떠난 서울의 텅 빈 상가를 한국군 1명이 걸어가는 모습. 1950.12.26.

1950년 전장을 순시하는 맥아더 사령관. 가운데 인물은 리지웨이 사령관.


경기도 남양주시 홍릉에서 미군 25사단 23여단 소속 병사들이 예배를 올리는 모습. 1951.3.18.


한 어머니가 서울 남쪽의 한 마을에서 지뢰 파편에 다쳐 우는 아들을 데리고 미군을 뒤따라가 가고 있다. 1951.2.4.

1951년 1월 4일. 1.4 후퇴 당시 얼어붙은 한강을 앞에두고 피난민 무리에서 떨어진 아이들이 겁에 질려 울고 있다.




1951년 2월 26일. 전장에서 체포된 부상병 포로들이 트럭으로 부산 인근의 병원에 방금 도착해 치료를 기다리는 모습.

경기도 남양주시 홍릉에서 미군 25사단 23여단 소속 병사들이 석상을 올려다보고 있다.


1951년 2월 26일. 전장에서 체포된 부상병 포로들이 트럭으로 부산 인근의 병원에 도착해 치료를 기다리는 모습

1951년 1월 16일. 부산 포로수용소의 여군 포로들. 중공군인지 북한군인지 확인되지 않았다.


1951년 1월 5일. 1.4 후퇴 당시 서울을 떠나 남으로 향하는 피난민의 행렬

1951년 1월 5일. 1.4 후퇴 당시 서울을 떠나 남으로 향하는 피난민의 행렬.



1951년 1월 5일. 1.4 후퇴 당시 서울을 떠나 남으로 향하는 피난민의 행렬.



국군 신병으로 전선으로 떠나는 아들을 전송하는 어머니의 모습. 한 바가지의 물로 아들의 안위를 기원하는 어머니의 표정과 이를 바라보는 아들의 눈매가 안타까움을 자아낸다. 1950. 12. 19. 대구역앞.

'문화예술 역사 > 역사 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군, 6.25참전 외국공군활약상 공개  (0) 2009.06.26
6.25 특집 화보 03  (1) 2009.06.26
6.25 특집 화보 01  (1) 2009.06.26
아, 6.25 전쟁 !  (1) 2009.06.26
현인 / 굳세어라 금순아  (1) 2009.06.25

연합뉴스 편집자주 : 연합뉴스는 한국전쟁(6.25) 발발 59주년을 이틀 앞둔 23일 미국국립문서보관소(National Archieves)에서 6.25 관련 희귀사진인 흑백사진 47점을 발굴했다. 이번 공개된 사진은 폐허속의 구두수선점, 태극기와 유엔기를 파는 당시 벤처 기업(?) , 전장으로 떠나는 신병, 한국전 당시의 이후락 전 중앙정보부장, 전장을 순시하는 맥아더장군, 기록영화 촬영중인 홍성기 감독, 피난민과 전쟁고아들, 전쟁터의 상여행렬, 여군포로, 사찰에서 예배보는 미군 등으로 한국전쟁의 생활상과 참상을 엿볼 수 있다.

1951년 1월 14일. 늙은 아버지를 엎고 서울 한강을 건너 피난가는 주민의 모습.



1951년 1월 5일. 1.4 후퇴 당시 서울을 떠나 남으로 향하는 피난민의 행렬


1951년 1월 27일. 지게에 가재도구와 함께 아내까지 태운 중년의 가장이 피난행렬에서 미군의 요청으로 돌아서서 포즈를 취했다. 피난의 와중 웃는 표정에서 낙천성이 느껴진다


1951년 1월 5일. 1.4 후퇴 당시 서울을 떠나 남으로 향하는 피난민의 행렬


상여가 지나가는 광경을 유엔군 소속 벨기에 병사들이 신기한 듯이 지켜보고 있다. 1951.2.23. 경북 왜관.



1950년12월 3일. 중공군의 개입으로 엄동설한에 신발을 벗고 바지를 걷어올려 평양의 대동강을 건너 피난을 떠나는 북한 주민들


1950년11월 2일. 전쟁고아들이 트럭으로 실려와 서울의 한 고아원에 내리기 직전의 모습.


1951년 2월 26일. 전장에서 부상해 체포된 포로들이 트럭으로 부산 인근의 병원에 방금 도착해 치료를 기다리는 모습.


1951년 1월 14일. 부산의 포로수용소에 방금 도착한 중공군 포로의 모습.


1951년 3월 22일. 3∼6세된 전쟁고아들이 부산의 한 고아원에서 보모들의 보살핌 속에 잠자리에 든 모습이다.


1950년11월 2일. 전쟁고아들이 트럭으로 실려와 서울의 한 고아원에 내리기 직전의 모습.




1950년 11월 12일. 가톨릭교회에서 운영하는 고아원에서 원생들이 수녀들의 도움으로 뜨개질을 배우고 있다.

'문화예술 역사 > 역사 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6.25 특집 화보 03  (1) 2009.06.26
6.25 특집 화보 02  (1) 2009.06.26
아, 6.25 전쟁 !  (1) 2009.06.26
현인 / 굳세어라 금순아  (1) 2009.06.25
The Korean War 1950 - 1953 Map  (4) 2009.06.25

원문 http://blog.paran.com/mingkee015/32884898

주민들이 배급식량을 타기 위해 줄을 서 있는 모습

6.25 전쟁은 400만여명의 인명피해와 1.000만여명의 이산가족 수많은 상이군인,
전쟁미망인 전쟁고아들이 생겨나고 국토의 80%이상의 국토가 파괴되고, 우리
민족사의 가장 참혹한 전쟁이었읍니다. 공산세력의 세계 적화 의도를 저지하고
자유를 수호하기위해 헌신한 국내,외 참전용사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며 아
울러 6.25전쟁의 역사적 의미와 교훈를 후세에 올바로 인식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어야 하겠읍니다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북한 공산군이 남북군사분계선이던 38선 전역에 걸쳐 불법 남침함으로써 한국에서는 전쟁이 발발하게 되었습니다.

      전쟁이 시작되자 북한군은 3일만에 서울을 점령했으며 한달여만에 낙동강 방어선까지 밀어붙이는 등 신속하게 전세를 장악했습니다. 유엔군의 인천상륙작전 성공으로 서울과 원산, 평양까지 탈환하여 곧 통일을 눈앞에 두게 되었으나 중공군의 개입으로 전세는 다시 역전되어 장기화될 조짐이 나타났습니다.

      38도선을 뺏고 뺏기는 과정에서 미국과 유엔을 시작으로 휴전문제가 언급되었고, 1953년 7월 27일에 비로소 휴전협정이 서명 됨으로써 3년 10개월에 걸친 승리 없는 전쟁은 막을 내린 것입니다.





      ☆ 6.25전쟁 상세보기 ☆

      배경과 과정전쟁일지휴전협정유엔참전국
      상황별
      일자별
      체결배경
      과정
      정전협정 본문
      참전국 기념비
      유엔기념공원

      아버지 업고 피난

      미국 국립문서보관서(National Archieves)에서
      한국전쟁 관련 흑백사진 47점이 발굴됐다.
      연합뉴스가 발굴,공개한 사진에는 난리통에 어렵게 살았던
      한국인들과 머나먼 이국의 전쟁에 참여한 참전용사들의 모습이 생생히 담겨 있다.
      1·4후퇴 직후인 1951년 1월14일 한 피난민이 연로한 아버지를 업고 한강을 ! 건너고 있다.


      80일 동안 포로로 잡혀있다 구출된 미군병사들이 1951년 3월21일 자신들을 위해
      전령 역할을 했던 한국 소년들에게 감사의 표시로 거수경례를 하고 있다.




      1950년 12월19일 대구역 앞에서 전선으로 떠나는 아들을 배웅하는 어머니의 표정이 안타깝다.


      연합뉴스 / 1951년 1월 8일. 부서진 러시아제 T-34 탱크 옆에서 빨래하고 있는 모습

      '문화예술 역사 > 역사 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6.25 특집 화보 02  (1) 2009.06.26
      6.25 특집 화보 01  (1) 2009.06.26
      현인 / 굳세어라 금순아  (1) 2009.06.25
      The Korean War 1950 - 1953 Map  (4) 2009.06.25
      가야의 역사  (1) 2009.05.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