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 역사 > 역사 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강교와 한강의 물길 (0) | 2011.08.03 |
---|---|
고려도경의 목욕풍속 (0) | 2011.06.28 |
조선, 동방의 밝은 빛 (0) | 2010.03.11 |
다시 읽는 신한국사 (0) | 2009.11.03 |
고구려유적 탐방 02 (0) | 2009.10.04 |
한강교와 한강의 물길 (0) | 2011.08.03 |
---|---|
고려도경의 목욕풍속 (0) | 2011.06.28 |
조선, 동방의 밝은 빛 (0) | 2010.03.11 |
다시 읽는 신한국사 (0) | 2009.11.03 |
고구려유적 탐방 02 (0) | 2009.10.04 |
1929년 4월 2일자 2면 동아일보에 인도의 시성(詩聖) 라빈드라나드 타고르(Rabindranath Tagore · 1861~1941)가 보낸 넉 줄의 시가 실렸습니다.
“일즉이 아세아(亞細亞)의 황금시기(黃金時期)에
빗나든 등촉(燈燭)의 하나인 조선(朝鮮)
그 등불 한번 다시 켜지는 날에
너는 동방(東方)의 밝은 비치 되리라”
이 시는 아래와 같은 기사와 함께 실렸습니다.
이번 가나다(加奈陀) 려행 중 잠간 동경에 들린 인도시성(印度詩聖) ‘타고아’ 옹은 지난달 이십칠일에 마츰 십 년 전부터 일본에 망명 중인 인도 혁명가 ‘보-스’씨의 숙소를 왕방한 긔자와 서로 맛나게 되었는데 옹은 합장의 례로 흔연히 긔자를 마저주어 한번 조선에 오지안켓느냐 하는 긔자의 물음에 대하야,
네 고마운 말슴입니다. 그러나 래일이면 횡빈(橫濱)을 떠날터인데요…돌아오는 길이라도 와 달라고요? 미국으로부터 오는 길도 아마 일본에 못 들를 터이니 딸하서 조선에도 갈수 업겟습니다. 래일 떠나기 전에 다시 맛납시다.
하며 이튿날인 이십팔일 오후 세시에 횡빈을 떠나는 ‘엠푸레스 오푸 에시야’호에 옹을 작별하러 간 긔자에게 알에와[아래와] 가튼 간단한 의미의 멧세지를 써주며 동아일보를 통하야 조선민족에 전달하야 달라하얏다.
[중략]
미국의 초빙을 받아 도미하였다가 그 나라 관헌의 태도에 불만을 품고 인도로 돌아가는 길에 일본을 다시 방문하고 8월경까지 체재하기로 작정하였든 인도 시성 ‘타골’ 옹은 그간 우연히 심장병을 얻어 일시는 중태에 이르게 되어 동경제국대학 오(吳) 박사의 치료를 받든 중 옹은 주치의와 근친자의 권고로 모든 계획을 다 던져버리고 6월 9일 오전 7시 횡빈을 출범하는 불란서 기선 ‘안제-’호로 비서 ‘쨘다-’씨와 같이 ‘골룸보’에 직행하게 되엇다.
‘타골’ 옹은 지난달 중순 처음으로 기자를 만났을 때 자기는 다년의 숙망인 조선방문을 계획하는데 동아일보사에서 만히 힘써 달라고 말하였음으로 구체적 상의까지 되어 6월 중순에는 옹이 조선에 오기로 결정되었는데 돌연한 귀국으로 이것까지 중지하게 되었음으로 옹은 무엇보다도 제일 조선 못가는 것을 유감으로 생각하는 듯 일본을 떠나든 전날 기자를 청하야.
다음과 같은 의미의 ‘멧세지’를 주며
최근까지도 될 수만 있으면 조선방문만은 단행하고자 하였든 것이 결국 여의치 못하게 되어 참으로 미안합니다. 이번 조선에 가고자함은 유람차로 가고자 한 것이 아니라 인도 백성과 같은 처지에 있어서 신음하는 민족과 동포가 되기를 바랏든 것임으로 조선 못가게 된데 대한 실망은 이천여만의 친고를 일흔데 대한 실망과 비등합니다.
자기 생전에 꼭 조선을 방문하겠다하며 혹 건강이 회복되면 명년에는 조선을 들러 만주 ‘사비예트’ 로서아를 거쳐 구라파에 려행하겠다하더라.
<타옹 멧세지>
조선을 방문하여 동정의 인사를 마치고자 하든 나의 언약을 신병으로 말미암아 지키지 못하게 됨은 내게 당하여 큰 유한이 올시다.
나를 초빙하든 친고들에게 나는 이번 나의 언약을 다시 지킬 수 있는 미래의 조흔 기회에 대한 희망에 부치고 있다는 것을 단언합니다.
1929년 6월 8일
라빈드라나드, 타골
It has caused me very great regret that my ill health prevents me from fulfilling my promise to visit Korea and to offer her my greeting of sympathy.
Let me assure my friends who invited me that I carry that promise with me in the hope of a more fortunate future when it may be redeemed.
Rabindranath Tagore
1929 June 8
그 다음날인 1929년 4월 2일자 2면에는 그 원문이 실렸습니다.
In the golden age of Asia
Korea was one of its lamp-bearers,
and that lamp is waiting
to be lighted once again
for the illumination
in the East.
Rabindranath Tagore
28th. March, 1929
“당시 우리 민족의 암담한 처지에 대한 하늘의 깨우침이라고 해서 우리들은 이 시를 읽고 몹시 흥분하였었다.” (조용만, ‘경성야화’, 도서출판 창, 1992년, 355쪽)
‘그 등불 다시 한번 켜지는 날, 동방의 밝은 빛이 되리라’
동아일보 지면을 통해 처음 소개된 이후 이 시는 ‘동방(東方)의 등불’ 이란 제목으로 널리 알려졌으나 원래는 제목이 없는 ‘조선에 부탁’이라는 메시지였습니다. 동양인으로서는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받아 시성(詩聖)으로 일컬어지던 타고르 옹의 이 넉 줄 메시지가 조선인에게 준 충격과 감동은 실로 컸습니다. 지금도 한국의 밝은 미래를 이야기하며 민족에게 희망을 줄 때면 곧잘 이 시를 인용하고 이 넉 줄 시를 모르는 국민은 없을 정도니까요.
고려도경의 목욕풍속 (0) | 2011.06.28 |
---|---|
여인왕국 東女國 (0) | 2011.02.25 |
다시 읽는 신한국사 (0) | 2009.11.03 |
고구려유적 탐방 02 (0) | 2009.10.04 |
고구려유적 탐방기 01 (0) | 2009.10.04 |
고려시대-문벌귀족사회
다시 읽는 한국사신론
이기백, 한국사신론,일조각,1967.
제5장 호족의 시대
제1절 골품제도의 모순
[진골귀족의 분열]/112
혜공왕 4년(768) 大恭의 난
-전국의 96각간들의 싸움이 3년간 지속됨.
혜공왕을 살해한 良相이 즉위함-宣德王
-나물왕의 10세손이라 함
敬信 즉위-元聖王
-나물왕 12세손이라 함
下代에 들어와 中代에 왕위를 이어오던 무열왕계는 끊어지고 원성왕계가 왕위를 계승함.
[참고] 신라 삼대
http://blog.paran.com/kydong/27196040
[육두품의 세력의 대두]/115
114/육두품(六頭品)은 신라의 골품사회에서 상대등이나 中侍는 물론이요, 各部의 令(장관)에도 임명될 수 없었다.
육두품 식견의 원천-유학적 교양
사비(私費)로 당나라 유학, 반신라적 경향, 신라의 골품제도 비판.
崔致遠-제왕년대력, 중산복궤집, 사육집(四六集),/ 계원필경(桂苑筆耕)만 남음.
유랑생활. 시무십조에는 과거에 대한 인재등용, 유학적 정치이념이 포함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崔承佑-후백제에서 벼슬함.
최인곤崔仁滾(언휘彦撝)-고려의 신하가 되다
제3절 후삼국
[농민의 반란]/118
신라 성시(盛時)로부터 과중한 조세와 역에 시달린 농민들은 유민이 되거나 무리지어 도적떼가 됨.
상주-원종(元宗)과 애노(哀奴)/진성여왕3년,889.
원주-양길(梁吉)
양길의 부하 궁예(弓裔)
죽산-기훤(箕萱)
전주-견훤(甄萱)
[후백제와 태봉]
견훤-백제 부흥, 궁예-고구려 부흥, 신라와 정립(鼎立)
견훤은 상주지방의 가난한 농민출신.
광주 점령 후 전주에서 후백제 건국/진덕여왕6년, 892.
경주를 습격하여 경애왕을 죽이고 전제군주를 꿈꾸다
궁예는 권력다툼에서 지방으로 밀려난 신라의 왕자로 추정됨.
죽산의 기훤에게 투신(진성여왕5년,891)
뒤에 원주의 양길의 부하가 되어 양길의 일부 군사를 거느리고 강원도, 경기도, 황해도 일대를 공략하여 많은 군사를 모음.
양길을 타도하고 개성을 근거로 후고구려 건국/효공왕5년,901.
국호를 마진(摩震), 철원으로 수도를 옮긴 후 태봉(泰封)으로 고침
121/스스로 미륵불이라 칭하고 장자는 靑光보살, 계자는 神光보살이라 호칭함.
그는 머리에 금책(金幘)을 쓰고 몸에는 방포를 입다.
외출할 때는 白馬를 타고,
동남동녀로 하여금 幡蓋와 香花를 받들고 전도케 하고,
범패를 부르는 승려 200명이 뒤따르게 함.
신통력을 가장하여 처자를 죽이는 등 폭군으로 타락한 궁예는 결국 부하들에게 축출당함.
[고려의 건국]
송악지방의 호족 출신 王建이 궁예의 뒤를 이어 북방의 王者로 추대됨.
왕건은 궁예의 부장으로 서남해 방면 공략에 공을 세우고, 나주 진도 등을 점령함.
侍中(수상)으로 여러 장군들의 추대로 왕위에 오름/경명왕2년,918.
국호를 고려, 수도를 송악으로 함.
견훤의 신라 공격 때 견훤의 군대와 싸움-친신라정책
제4절 고려의 통일/122
[후삼국의 통일]
고려군은 안동에서 견훤 군 대파/ 경순왕4, 태조13년,930.
고려군은홍성에서 후백제군 격파/ 경순왕8, 태조17년,934.
견훤이 아들 신검 등에 의해 김제 금산사에 유폐되자 고려에 망명하여 복수를 꾀함.
경주를 중심으로 명맥만 유지하던 경순왕은 고려에 항복함/ 경순왕9년,태조18,935.
936년 후백제 멸망. 약 50년간에 걸친 후삼국시대 마감.
[호족연합정책]
전국의 20여 호족들과 통혼함.
[왕권과 호족]
광종7년(956) 노비 안검(按檢) 실시.
-호족들의 경제적 군사적 증대를 막기 위해 후삼국시기에 良人으로 노비가 된 자들을 放良함.
광종9년(958) 과거제 실시
-중국인 쌍기(雙冀) 건의를 수용.
제6장 귀족정치의 융성
제1절 고려 귀족정치의 성립
[귀족정치의 확립]/131
호족들의 출신지에 따라 본관을 정함. 귀족끼리 혼임함.
安山 金氏- 김은부(金殷傅)가 그의 3녀를 현종의 비로 들인 후 문종에 이르는 4대 50 여년간 외척으로 정권을 전횡함.
仁州 李氏-이자연(李子淵)의 3녀를 문종의 비로 들인 후 7대 80 여년간 권력을 전횡함.
이자겸의 난.
海州 崔氏-최충(崔冲)이 대표적 인물
慶州 金氏-김부식이 대표적 인물
[과거와 음서]
과거시험은 제술과, 명경과, 잡업으로 나눔.
製述業-詩 賦 頌 策 등의 문예 :고려조 합격자 6천여명
明經業-書 易 詩 春秋 등의 유교 경전 :고려조 합격자 450명.
雜業-明法業, 明算業, 의업, 呪噤業(卜業), 지리업 등 기술관
蔭敍-5품 이상의 관리의 子에게 관직을 임명하는 제도
제4절 귀족사회의 동요/145
[이자겸의 난]/145
이자겸은 일녀를 예종의 비로 들여 그 소생인 인종을 즉위케 하고,
2녀를 인종의 비로 들이고 권력을 전횡함.
인종을 제거하고 왕이 되려다 탁준경(拓俊京)에게 쫓기어 귀양가다/ 인종5년,1127.
[묘청의 난]/146
인종 23년(1135) 묘청, 백수한, 정지상 등 西京人 중심.
서경파 풍수지리설파 배타파로 지목되는 묘청 일파는 김부식을 대표로 하는 개경파 유학파 사대파를 공격의 대상으로 함.
김부식의 지휘를 받은 관군에게 1년만에 서경은 함락되고 난은 진압됨.
제7장 무인정권
제1절 무인의 집권
[무신난]/163
의종24년(1170) 왕이 보현원에 갔을 때 호종하던 정중부, 이의방, 이고 등은 군인들에게“무릇 의관을 쓴 지는 모두 죽이라.”고 선동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무인간의 정권쟁탈]/164
이의방은 조고를 죽이고 자기 딸을 태자비로 삼고 권세를 부리다가 정중부의 아들 정균에게 제거당함.
득세한 정중부는 천년 장군 경대승에게 살해됨
경대승은 100여 명으로 도방을 설치하여 신변안전을 꾀하였으나 병들어 죽음.
천인신분으로 지방에서 상경한 이의민(李義旼)이 집권하여 횡포했으나 최충헌 최충수 형제에게 살해됨./명종26년,1196.
20여년간의 혼란은 종식됨.
[최충헌의 집권]/165
명종을 폐하고 신종, 희종, 강종, 고종 등 4王을 옹립함
제3절 최씨 무인정권
[私兵의 양성]
三別抄-좌별초, 우별초, 神義軍(몽고군 포로로 도망자)
제4절 몽고와의 항쟁
[무인정권의 항쟁]/173.
고종18년(1231) 제1차 침입.
[무인정권의 몰락과 대몽강화]
고종 46년(1259)태자 전(후에 원종)이 몽고에 입조 하여 항복을 표함
몽고의 압력으로 원종 복위, 무인정권 완전 몰락/원종11년. 1270.
[삼별초의 난]
40여년간 몽고와 항쟁하던 강화도에서 배종손의 지휘 아래 대몽항쟁 지속함.
진도로 이주하고 김통구의 지휘 아래 제주도로 들어가 항쟁함.
원종14년(1273) 제주도 함락, 4년에 걸친 저항도 좌절됨.
제8장 사대부의 등장
제1절 고려왕실과 元
[일본동정]/181
제1차원정 충렬왕 즉위년(1274)
고려의 김방경은 원의 홀돌과 함께 9백척의 함산에 4만의 군사를 거느리고 마산을 출발하여 북구주 해안을 공격하였으나 폭풍우로 실패함.
함선제조에 3,500명 동원과 군량미 지원.
제2차원정 충렬왕 7년(1281)
東路軍 함선9백, 군사4만-고려의 부담은 여전함.
江東軍은 함선3,500, 군사10만- 태풍으로 실패
[부마국]/182
원종은 왕권의 강화를 위하여 세자(뒤의 충렬왕)의 원 공주와의 혼인을 청함.
이후 26대 충선왕, 27대 충숙왕, 28대 충혜왕, 29대 충목왕, 30대 충정왕, 31대 공민왕에
이르기까지 원의 제실의 공주를 정비로 삼았고 그 아들이 원칙적으로 왕이 되었다.
시호에 ‘祖, 宗’ 사용 금지, 첫음절에 ‘忠’자 사용.
朕은 孤로, 陛下는 殿下로, 太子는 世子로, 宣旨는 王旨로 격하됨.
여인왕국 東女國 (0) | 2011.02.25 |
---|---|
조선, 동방의 밝은 빛 (0) | 2010.03.11 |
고구려유적 탐방 02 (0) | 2009.10.04 |
고구려유적 탐방기 01 (0) | 2009.10.04 |
천마도 적외선 사진 공개,, 정수리에 외뿔 (0) | 2009.09.25 |
조선, 동방의 밝은 빛 (0) | 2010.03.11 |
---|---|
다시 읽는 신한국사 (0) | 2009.11.03 |
고구려유적 탐방기 01 (0) | 2009.10.04 |
천마도 적외선 사진 공개,, 정수리에 외뿔 (0) | 2009.09.25 |
일본 히로히토 천황의 항복방송 (0) | 2009.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