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 condor pasa (If I Could)

 

https://www.youtube.com/watch?v=rbTEUCcmvk4

 

 

 

 

 

정훈희

https://www.youtube.com/watch?v=8vKtswLIjTs

 

등려군

https://www.youtube.com/watch?v=ii7M5ZP81c8

 

 

 허향숙 시 ‘피고 지는 일’ 

- https://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413591

 

피고 지는 일

허향숙

피고 지는 일은
어둠의 몫

태양은 늘 처음 자리에서 빛나고
어둠 혼자 피고 진다

지금 캄캄하다 하여 울지 말자
머지않아 어둠은 질 것이고
사위 환해지리니



무애를 살다/허향숙 : 네이버 블로그

- https://m.blog.naver.com/ohmyjapan/223431481565

 

무애를 살다

ㅡ허향숙

슬픔이 흘러왔다

흐르게 두었다

분노가 돋아났다

돋게 두었다

기쁨이 엎질러졌다

그냥 두었다

 

현요함이 날아들었다

번지게 두었다

감정의 숲에

봄날의 오후 같은

천진이 피었다

난만하게 두었다

 

무애1, 无涯
  1. `양주동(梁柱東)'의 호.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9149

 

무애가(無碍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5758

 

양주동(梁柱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경기도 개성에서 출생하여 어린 시절을 황해도 장연에서 보냈다. 일본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 영문과를 졸업하고(1928), 같은 해 평양 숭실전문학교(崇實專門學校) 교수로 부임하였다가 일제말 이 학교의 폐쇄로 그 자리를 물러나 1940년부터 경신학교(儆新學校) 교사로 재직하고 있다가 광복을 맞았다.

광복 후에는 동국대학교 교수로 부임하여(1947), 중간에 수년 간 연세대학교 교수로 옮겨 있었던 것(1958∼1961)을 빼고는 종신토록 동국대학교에 헌신하였다. 

 

https://kydong77.tistory.com/18026

 

양주동 선생님, 향가 25수 해석/ 정인보, 詞腦歌 證釋 題詞 5首

8.상수불학가 아래 포스트에서 고려가요 정리한 것을 보니 향가연구로 일세를 풍미한 양주동 선생님을 회억한 글이 생각나 재구성해 올립니다. http://kydong77.tistory.com/18023 소창진평이 시작한 향

kydong77.tistory.com

 

 

https://www.youtube.com/watch?v=rV0RzazykD8

 

 

 

 

 
https://kydong77.tistory.com/m/21396

 

'21년 황매산(黃梅山) 철쭉꽃숲/ 합천 · 산청의 경계

'21.4.30일. 블로그에서 삭제된 것으로 판단했으나 합천에서 오른 것이 있어 뒤 꼭지에 재록함. https://kydong77.tistory.com/21399 '21년 철쭉꽃으로 불타는 황매산(黃梅山)/ 김기림, 길https://www.youtube.com/wa

kydong77.tistory.com


 철쭉꽃 숲길에서 높이 만든 전망대를 보니 눈에 익은 듯해서 내 블로그를 찾아 보았습니다.
그땐 동영상을 만들기도 하고 찍기도 했었네요.
함께 힘들게 산행하신 분들 건강하고 행복하시기를 빕니다.

나는 산길을 오르다 대숲 가까이에 이르러 청량감을 주는 계곡물 소리를 들으며 이백의 촉도난이라는 시가 떠올랐슴다. 아래에 소개합니다.

삶이 팎팎하고 힘겨울 때, 1독을 권장합니다.
이백 같은 천재도 삶이 힘겹다는데...
하긴 요즘 촉도 트레킹이 인기코스라네요. 차마고도 코스에 이어.....

대국 사람들은 시류에 맞는 관광상품도 잘 개발하네요.
참고로, 이백은 20세 전후에 도교에 입문하여 무술을 단련하기도 했슴다.

李白, 촉도난(蜀道難, 天山길의 험난함) · 行路難 3수 · 장진주(將進酒)

https://kydong77.tistory.com/m/21281

 

李白, 촉도난(蜀道難, 天山길의 험난함) · 行路難 3수 · 장진주(將進酒)

https://www.youtube.com/watch?v=TCoUVoCwocM https://kydong77.tistory.com/21277 이백〈촉도난>의 해제 해설과 구성 〈촉도난(蜀道難)>의 해제 해설과 구성 해제 장안에서 촉(蜀), 즉 지금의 사천(四川) 지역으로 갈

kydong77.tistory.com

 

 

https://www.youtube.com/watch?v=e95or6LjxvQ

 

 

https://www.youtube.com/watch?v=TCoUVoCwocM https://kydong77.tistory.com/21277

 

李白,촉도난(蜀道難)/도연명,도화원기(桃花源記)&귀거래사(歸去來辭)

https://www.youtube.com/watch?v=z--V9CMcHN0 https://www.youtube.com/watch?v=Cm-E76ScJKI&list=RDCm-E76ScJKI&start_radio=1 https://kydong77.tistory.com/15345 이백〈촉도난>의 해제 해설과 구성 〈촉도난(蜀道難)>의 해제 해설과 구성

kydong77.tistory.com

 

 아버지가 서역무역상이서 촉도 진입로 부근에서 출생한 그는 천산산맥의 촉도를 잘 압니다.
실크로드란 중국 상인들이 조선국 상주에서 생산한 명주를 들여와 서역에 수출하던 길이란 의미에서 생겨난 단어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KZiO5zXn5g&t=46s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22566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티스토리]

 

https://namu.wiki/w/%EC%84%9C%ED%8E%B8%EC%A0%9C(%EC%86%8C%EC%84%A4)

 

서편제(소설)

분류:한국 소설 소설가 이청준 이 1976년 집필한 소설이다. 영화 서편제 의 원작이기도 하다. 원래는 단편 연

namu.wiki

소설가 이청준이 1976년 집필한 소설이다. 영화 서편제의 원작이기도 하다. 원래는 단편 연작인 '남도사람'에 수록된 단편소설로 한(恨)과 소리, 억압과 예술에 대한 주제를 다루었으며 후에 소설집 제목을 서편제로 변경하기도 하였다.

영화와 마찬가지로 방랑하는 소리꾼이 아들과 수양딸 남매를 데리고 판소리를 가르치기도 하였지만 나중에 아들이 방랑에 불만을 품고 아버지와의 실랑이 끝에 이탈하고 딸마저 이탈할까를 우려하여[1] 아버지가 그녀에게 딸이 잠자는 사이 두 눈에 청강수를 넣어 눈을 멀게 한다[2]. 결국 딸은 앞 못보는 장님이 되지만 소리는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영화와는 달리 원작만의 분위기가 있으며 영화의 경우 일부 내용을 각색하여 소설에는 나와있지 않은 내용이 담겨져 있기도 하다. 그러나 원작소설에는 영화에 없는 부분이 더 많은데, 이것은 일부분만 영화화 되었기 때문이다. 남도사람은 다섯 편의 연작 단편소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영화 '서편제'의 원작은 1편 "서편제"와 2편 "소리의 빛"부분이다. 3편 "선학동 나그네"는 6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리기도 했고, 2007년에 임권택 감독에 의해서 천년학이라는 영화로 제작된다. 서편제 본 줄거리와 별 관련이 없는 4, 5편은 아직 영상화되지 않았다.[3] 그리고 5편은 이청준의 다른 연작(언어사회학서설)과 크로스오버 작품이기도 하다.

영상화 작품은 임권택 작품만 있는게 아니라 1982년에 방영된 TV 문학관 소리의 빛 편도 있다. 하이틴 스타 조용원의 드라마 데뷔작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4DP10Kaos3Y

 

 

 

https://www.youtube.com/watch?v=0IvQK_q2u7s

 

https://www.youtube.com/watch?v=V243TSqLyPo

 

 

https://www.youtube.com/watch?v=aGx0VI5Ib54

 

https://www.youtube.com/watch?v=swb8pbLx9Bo&list=RDswb8pbLx9Bo&start_radio=1

 

 

 

[남도민요]

육자배기·흥타령 - 신영희·김수연·유영애

https://www.youtube.com/watch?v=nzIyqqYwUXM

 

흥타령·육자배기·자진 육자배기·삼산은 반락·개고리타령·서울삼각산

https://www.youtube.com/watch?v=lTYqJgxZLDw

 

https://www.youtube.com/watch?v=ZHY5v7BFKkc

 

 

 

https://www.hani.co.kr/arti/area/area_general/594448.html

 

현직군수에 웬 흉상?

아시아 최초의 슬로시티로 지정된 전남 완도군 청산도에 현직 군수의 흉상이 건립돼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3일 청산도 서편제 공원에서 김종식 완도군수 흉상 제막식이 열렸다. 김 군수는 주

www.hani.co.kr

 

 

 

 

 

 

https://www.youtube.com/watch?v=zM92HQoRs5U

황매산 철쭉은 동영상 시각바 5분부터 보시면 됩니다.

 

마이산의 신비, 기인(奇人) 이갑룡 도사의 전설

https://www.youtube.com/watch?v=mIc9MifuT2g

 

 

ㅂㅏㅂㅏ위ㅜㅜ

 

https://www.youtube.com/watch?v=CjcCx9YnXi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