쓸모없는 것들[無用論] -大用論

http://blog.naver.com/osj1952/100025621698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편


자네는 큰 것을 쓰는 방법이 서툴군-너무 커서 쓸모없는 박


惠子謂莊子曰(혜자위장자왈) : 혜자가 장자에게 말했다.

魏王胎我大瓠之種(위왕태아대호지종) : "위나라 왕이 내게 큰 박씨를 주길래

我樹之成而實五石(아수지성이실오석) : 이를 심었더니 나무의 열매가 다섯 석이나 될 정도로 열매가 열렸소

以盛水漿(이성수장) : 물을 담는 그릇으로 쓰자니

其堅不能自擧也(기견불능자거야) : 너무 무거워 쉽게 옮길 수 없고

剖之以爲瓢(부지이위표) : 쪼개어 바가지로 쓸 경우

則瓠落無所容(칙호락무소용) : 납작해 아무 것도 담을 수 없었네.

非不呺然大也(비불효연대야) : 확실히 크기가 크기만 컸지만

吾爲其無用而掊之(오위기무용이부지) :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어 부수어 버렸다네."

莊子曰(장자왈) : 이에 장자가 말해다.

夫子固拙於用大矣(부자고졸어용대의) : "자네는 큰 것을 쓰는 방법이 너무 서툴다.


손 안 트는 약으로 장수가 되다-용도가 다르다


宋人有善爲不龜手之藥者(송인유선위불구수지약자) : 송나라 사람 가운데 손을 트지 않게 하는 약을 잘만드는 사람이 있었네.

世世以洴澼絖爲事(세세이병벽광위사) : 이 약을 손에 바르고 빨래하는 일을 대대로 하고 있었지.

客聞之(객문지) : 어느 길손이이 소문을 듣고

請買其方以百金(청매기방이백금) : 그 약 만드는 비방을 많은 돈을 주고 사려고 했네.

聚族而謀曰(취족이모왈) : 그러자 그는 가족을 모아놓고 다음과 같이 말했네.

我世世爲洴澼絖(아세세위병벽광) : '우리가 대대로 빨래하는 일을 해왔으나

不過數金(불과수금) : 돈벌이가 변변치 못했다.

今一朝而粥技百金(금일조이죽기백금) : 그러나 지금 이 기술을 팔면 하루 아침에 많은 돈을 벌 수 있으니

請與之(청여지) : 이 기술을 팔기로 하자'

客得之(객득지) : 그래서 나그네는 비법을 얻게 되었지.

以說吳王(이설오왕) : 그는 오나라 왕에게 약의 효능을 설명했는데,

越有難(월유난) : 마침 월나라가 오나라를 침략하자

吳王使之將(오왕사지장) : 오나라 왕은 그를 장수로 삼았다네.

冬與越人水戰(동여월인수전) : 마침 겨울에 수전을 하게돼

大敗越人(대패월인) : 월나라를 크게 물리쳤다네.

裂地而封之(렬지이봉지) : 이에 오나라 왕은 그에게 땅을 주고 다스리게 했네.

能不龜手(능불구수) : 손 안트게 하는

一也(일야) : 약 하나로

或以封(혹이봉) : 어떤 사람은 벼슬을 얻게 되고

或不免於洴澼絖(혹불면어병벽광) : 어떤 사람은 빨래하는 일을 면할 수 없었지.

則所用之異也(칙소용지이야) : 동일한 약이지만 쓰는 용도가 달랐던 게야.


今子有五石之瓠(금자유오석지호) : 지금 자네에게 다섯 석이나 되는 커다란박이 있는데

何不慮以爲大樽而浮乎江湖(하불려이위대준이부호강호) : 어째서 그것으로 큰 배를 만들어 강이나 호수에 띄울 생각은 않고

而憂其瓠落無所用(이우기호락무소용) : 납작해 아무것도 담을 수 없다고 걱정하는가!

則夫子猶蓬之心也夫(칙부자유봉지심야부) : 자네는 꽉 막힌 사람이로군."하였다


큰 나무가 쓸모없어 외면당하다


惠子謂莊子曰(혜자위장자왈) : 혜자가 장자에게 말했다.

吾有大樹(오유대수) : "나에게 큰 나무가 있는데

人謂之樗(인위지저) : 사람들은 이를 닥나무라고 부르더군.

其大本擁腫而不中繩墨(기대본옹종이불중승묵) : 그 큰 줄기는 울퉁불퉁해서 먹줄에 맞지 않고

其小枝卷曲而不中規矩(기소지권곡이불중규구) : 작은 가지는 굽어서 잣대에 맞지 않다네.

立之塗(입지도) : 나를 길가에 놓아도

匠者不顧(장자불고) : 목수장이는 쳐다보지도 않더군.

今子之言(금자지언) : 이와 마찬가지로 자네의 말은

大而無用(대이무용) : 크기만 했지 쓸모가 없어서

衆所同去也(중소동거야) : 모든 사람이 한결같이 외면하는 걸세."

유용


莊子曰(장자왈) : 이에 장자가 말했다.

子獨不見狸猩乎(자독불견리성호) : "자네는 살쾡이를 보지 못했는가.

卑身而伏以候敖者(비신이복이후오자) : 몸을 낮추어 어슬렁거리는 짐승을 기다리지.

東西跳梁(동서도량) : 동으로 서로 날뛰며

不避高下(불피고하) : 높고 낮은 데를 가리지 않다가

中於其辟(중어기벽) : 덫에 치이거나

死於罔罟(사어망고) : 그물에 걸려 죽지.

무용


今夫邰牛(금부태우) : 그런데 이우

其大若垂天之雲(기대약수천지운) : 하늘을 뒤덮은 구름과도 같은 거대한 소라네.

此能爲大矣(차능위대의) : 이우는 크기는 하지만

而不能執鼠(이불능집서) : 쥐 한마리 잡지 못한다네.

今子有大樹(금자유대수) : 지금 자네는 큰 나무가 있어도

患其无用(환기무용) : 쓸모가 없다고 걱정하는데

何不樹之於無何有之鄕(하불수지어무하유지향) : 어째서 '무하유지향'이나

廣莫之野(광막지야) : '드넓은 들판'에

彷徨乎无爲其側(방황호무위기측) : 나무를 심어 그 주위를 여유롭게 노닐기도 하고

逍遙乎寢臥其下(소요호침와기하) : 평안하게 나무 아래 누우려 하지 않는가!

무용의 나무 -천수 누리다

不夭斤斧(불요근부) : 그 나무는 쓸모가 없어 도끼질 당하지도 않고

物无害者(물무해자) : 아무도 해치지 않는다네.

无所可用(무소가용) : 아무 쓸모가 없으니

安所困苦哉(안소곤고재) : 어찌 근심 걱정이 있겠는가.





[사진]중시조 이전의 족보는 허구일 가능성이 크다. 실재 중시조 이상의 혈통을 찾는 건

사막에서 바늘 찾기다.

[주]족보는 씨쪽의 뿌리이다. 족보가 처음 출현한 것은 1423년(세종 5)이고 보면 그 이전의 혈통은 집안에 따라 기록문화의 차이는 있겠지만 시조를 신라 경순왕에 줄을 댄다든가 하는 것은 기억의 한계성으로 인하여 허구인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대개 중시조를 고려조 중기 이후로 정하는데, 거기서부터는 어느 정도 사실성을 인정할 수 있겠다.

사전에서 족보의 ‘연원 및 발간’항을 발췌하면 아래와 같다.

http://100.empas.com/dicsearch/pentry.html?s=K&i=235800

[연원 및 발간〕

족보는 서양에서도 있었다고 하나 동양의 족보와 같은 것이라기보다 대체로 개인의 가계사(家系史)와 같은 것이다. 동양에서 족보는 중국 한나라 때부터 있었다고 하며, 우리 나라에서는 고려 때 족보가 등장하고 있다. 족보의 연원을 살핌에 있어 족보의 편성·간행을 촉진시킨 우리 나라 고유의 사회적 정세를 도외시할 수는 없을 것이다.

김두헌(金斗憲)은 “한국에 있어 족보의 발생은 벌족(閥族)의 세력이 서로 대치하고, 동성일족(同姓一族)의 관념도 매우 현저하게 된 이후의 일이며, 계급적 의식과 당파관념이 자못 치열해짐에 따라 문벌의 우열을 명백히 하려고 하였음에 기인한다.”고 말하였다.

족보 간행을 촉진시킨 요인으로는

① 동성불혼(同姓不婚)과 계급내혼제(階級內婚制)의 강화,

② 소목질서(昭穆秩序) 및 존비구별(尊卑區別)의 명확화,

---[펀자주]소목질서(昭穆秩序)란 종묘나 사당에 조상의 신주를 모시는 차례.

왼쪽 줄을 소(昭)라 하고, 오른쪽 줄을 목(穆)이라 하여 1세를 가운데에 모시고

2세, 4세, 6세는 소에 모시고, 3세, 5세, 7세는 목에 모신다. ---

③ 적서(嫡庶)의 구분,

④ 친소(親疏)의 구분,

⑤ 당파별(黨派別)의 명확화 등 다섯 가지를 들고 있다.

≪고려사≫나 고려시대의 묘지명 등의 사료에 의하면, 소규모의 필사(筆寫)된 계보는 이미 고려시대 이래로 귀족 사이에 작성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으며, 한 동족 또는 한 분파 전체를 포함하는 족보는 조선 중기에 이르러 비로소 출현하였다. 족보가 처음 출현한 것은 1423년(세종 5)으로 이때에 간행된 문화 유씨(文化柳氏)의 ≪영락보 永樂譜≫가 최초의 족보로 알려져 있다.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족보는 문화 유씨의 두번째 족보인 1562년 간행의 10책의 ≪가정보 嘉靖譜≫로 알려져 왔으나, 최근에 1476년 발간의 ≪안동권씨세보≫가 현존하는 최고의 족보임이 확인되었다. 이 밖에 조선 초기 15세기에 간행된 족보는 남양 홍씨(南陽洪氏, 1454), 전의 이씨(全義李氏, 1476), 여흥 민씨(驪興閔氏), 1478), 창녕 성씨(昌寧成氏, 1493) 등의 족보이다.

위에서 얘기한 바와 같이 족보는 조선 초기인 15세기에 처음으로 출현하였는데 모든 동족이 같은 시기에 족보를 간행한 것은 아니다. 어떤 종족은 16세기에, 어떤 종족은 17세기, 18세기, 19세기, 20세기에 비로소 족보를 간행하였던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