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QmytCZBzsOM

 

https://www.youtube.com/watch?v=7EcuD-9tjbE

 

회룡포 08 (0) 2013.10.29

회룡포 07 (0) 2013.10.29

회룡포 06 (0) 2013.10.28


회룡포 05 (0) 2013.10.28

회룡포 04 (0) 2013.10.26

회룡포 03 (0) 2013.10.26

회룡포 02 (0) 2013.10.25

회룡포 01 (0) 2013.10.25


https://kydong77.tistory.com/10606

 

삼강주막 01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10607?category=490289 

 

삼강주막 02

어릴 적 검포 외가에 갈 때 본 주막은 아래 첫째 사진의 한 채뿐이었으나 관광지로 조성하면서 여러 채의 초가를 지어 지붕만 얹은 공간의 마루에서 막걸리도 팔고 있었다.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10608?category=490289 

 

삼강주막 03

 

kydong77.tistory.com

 

10/20(일) 18일 하회마을에서 출발하여 영덕지역의 동해를 둘러보고 오는 길에 회룡포에 들리다. 위 글의 옛날 사진도 찾아 보았다. 그때는 전망대에서 조망 후, 마을에 들렸었는데 이번엔 하천길을 따라 마을로 진입했다. 진입로 초입 가오실공원의 거목을 담은 연못의 풍경도 절경이었다. 五景에 대한 기술도 운치를 더했다. 佳五室이란  5채의 집들이 있는 아름다운 마을이란 뜻으로 추정된다.

'뿅뿅다리'란 교량명도 정겨웠다.

 

 

 

https://www.youtube.com/watch?v=zkFmK5xzAn4 

 

 

 

https://www.youtube.com/watch?v=cuer2pVmPzo 

 

https://www.youtube.com/watch?v=JUsGSBxzRpg 

 

 

https://www.youtube.com/watch?v=YwdGeSzLroI 

 

'자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생의 세계  (0) 2020.03.08
아차산에 가다/ 영화사, 미륵전  (0) 2020.01.06
안동 河回마을/ 유성룡, 징비록  (0) 2019.10.25
석천정 돌다리/ 봉화 닭실  (0) 2019.10.23
청암정靑巖亭, 봉화 닭실  (0) 2019.10.23

강을 건너 부용대에 올라 연꽃밭 같은 마을 모습을 조망하고 싶었으나 왕년의 다리가 장마에 휩쓸려 뗘내려간데다 그 잔해마저 철거하여  강물 건너 기와지붕이 바라다보이는 지점으로 다리 위치를 추정할 뿐이어서 아쉬움이 컸다.

 

https://www.youtube.com/watch?v=Hdx6XXZWp50

 

https://www.youtube.com/watch?v=-Z3mga-fMF8

忠孝堂 : 미수 허목의 친필. 류성룡 고택.

류성룡(柳成龍, 1542년 11월 17일 ~ 1607년 5월 31일)

https://ko.wikipedia.org/wiki/%EC%A7%95%EB%B9%84%EB%A1%9D

 

징비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책에 관한 것입니다. 이 책을 원작으로 한 사극에 대해서는 징비록 (드라마)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징비록(懲毖錄)은 조선 선조 때 류성룡이 쓴 임진왜란에 대한 1592년(선조 25)에서 1598년(선조 31)까지 7년 동안의 일을 수기(手記)한 책으로, 저자가 벼슬에서 물러나 한거(閑居)할 때 저술하였고 1604년(선조 37년) 저술을 마쳤다. 1969년 11월 12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132호로 지정되었다.

ko.wikipedia.org

징비록(懲毖錄)은 조선 선조류성룡이 쓴 임진왜란에 대한 1592년(선조 25)에서 1598년(선조 31)까지 7년 동안의 일을 수기(手記)한 으로, 저자가 벼슬에서 물러나 한거(閑居)할 때 저술하였고 1604년(선조 37년) 저술을 마쳤다. 1969년 11월 12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132호로 지정되었다.

류성룡은 스승인 퇴계 이황의 학설에 따라 이기론(理氣論)을 펼치고 양명학을 비판했으며 이황의 이선기후설(理先氣後說)을 좇아 기(氣)는 이(理)가 아니면 생(生)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하여 기보다 앞서 있는 실체로서의 이를 규정했다.

류성룡은 양명학의 핵심적 이론인 지행합일설(知行合一說)과 치양지설(致良知說)이 ‘굽은 것을 바로 잡으려다 지나치게 곧아진(矯枉而過直)’ 폐단에 빠진 것으로 불교의 학설과 다름없는 것이라고 단정하고 하나에 치중됨이 없이 병진해야 한다는 지행병진설(知行竝進說)을 주장했다.

 

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A%8C%EB%A7%88%EC%9D%84

 

하회마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하회마을(河回里)은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에 있는 민속마을이다. 문화재로 지정된 건축물들은 보물 2점, 국가민속문화재 9점 등을 포함하여 11점이고 이밖에 국보 2점이 있다. 2010년 7월 31일 브라질 브라질리아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의 제34차 회의에서 경주 양동마을과 함께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확정되었다.[1] 풍산 류씨 집안의 발상지이며 그들의 자손들이 여기에 머물러 있다. 조선 중기의 문신 서애

ko.wikipedia.org

 

 

 

 

https://www.youtube.com/watch?v=0s5ZeVyzUX8

 

忠孝堂 : 미수 허목의 친필. 류성룡 고택.

https://www.youtube.com/watch?v=LoaT6d5rDQk

 

https://www.youtube.com/watch?v=zOp71LnRjFA

 

영남권 5개 서원, 소수서원, 도산서원, 병산서원, 옥산서원, 도동서원

https://www.youtube.com/watch?v=jLE5ktQMx2g

 

https://www.youtube.com/watch?v=zNFneqxa4Oo

 

https://www.youtube.com/watch?v=5MS-GpklkHs

 

'자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차산에 가다/ 영화사, 미륵전  (0) 2020.01.06
회룡포 여울마을/ 佳五室五景  (0) 2019.10.27
석천정 돌다리/ 봉화 닭실  (0) 2019.10.23
청암정靑巖亭, 봉화 닭실  (0) 2019.10.23
황금들판/ 봉화 닭실마을  (0) 2019.10.23

 

https://www.youtube.com/watch?v=xkD56vzIv9A

 

석천정사, 봉화 닭실마을

20191016 114804 충암의 아들

www.youtube.com

 

 

 

 

충재 권벌의 5대손 권두응의 초서체 '靑霞洞天'. '洞天'은 신선세계. 그래서 노을빛도 푸른 빛이군요. 실상은 아득한, 신비한 노을 빛의 의미겠죠.

 

靑霞洞天/ 右에서 左측으로 읽음

 

 

 

미수 허목의 전서체 글씨 - 靑巖水石(청암수석)은 정자 받침돌인 거북바위가 연못에 잠긴 걸 지칭한 듯함.

조선 중종 때 문신으로 예조판서를 지낸 충재 권벌(1478 ~ 1548년)의 유적지이다. 이 곳은 유곡으로 ‘닭실’인데 흔히 ‘달실’로 부른다. 그는 안동출신으로 중종 2년(1507)에 문과에 급제하고 관직에서 활동하던 중 중종 15년(1520) 기묘사화에 연루되어 파직된 후 이곳에 정착하여 후진을 양성하고 경학연구에 전념하였다. 그는 중종 28년(1548) 복직되었다가 을사사화로 인하여 다시 파직되었고, 명종 3년(1548) 유배지인 평안도 삭주에서 돌아갔다. 이곳에는 그가 지은 청암정과 큰아들인 청암 권동보가 충재의 뜻을 기리기 위하여 지은 석천정이 있는데 울창한 소나무숲과 아름다운 암석으로 경관이 매우 빼어나다.  석천정은 다음 글에 올린다. 1급목재인 춘양목의 산지여서 봉화 인근에는 정자가 많다.

 

 

https://www.youtube.com/watch?v=cVmERhULOuM&t=9s

 

청암정/ 봉화 닭실마을

20191016 104831 http://www.dapsa.kr/blog/?p=45658 https://www.hankyung.com/life/article/2019071426911

www.youtube.com

 

https://www.youtube.com/watch?v=91iO38UYRgk

 

봉화 닭실마을 4

20191016 102654

www.youtube.com

 

靑巖水石 : 미수 허목의 전서체 

호패는 고려 · 조선시대의 신분증.

https://ko.wikipedia.org/wiki/%ED%98%B8%ED%8C%A8

 

호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선시대 호패, 윤선응(尹善應). 호패(戶牌, 號牌)는 전통 봉건시대에 신분증 구실을 하는 작은 패(牌)로 16세 이상의 남자가 차고 다녔다. 고려와 조선에서 이 제도를 시행하였으며, 신분 계층별로 재질과 기재 내용에 차등을 두었다. 사망 시에는 국가에 호패를 반납하였다. 현재의 신분증명서와 같은 것으로 그 기원은 원나라에서 시작되어 한국은 1354년(고려 공민왕 3)에 이 제도를 모방, 수·육군정(水陸軍丁)에 한하여 실

ko.wikipedia.org

호패(戶牌, 號牌)는 전통 봉건시대에 신분증 구실을 하는 작은 패(牌)로 16세 이상의 남자가 차고 다녔다. 고려조선에서 이 제도를 시행하였으며, 신분 계층별로 재질과 기재 내용에 차등을 두었다. 사망 시에는 국가에 호패를 반납하였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8186

 

권벌 종가 유묵(權橃宗家遺墨)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이 유묵들은 명현의 필적으로서 서예적 가치뿐만 아니라, 권벌 및 그의 자제들의 교유관계와 당시 사대부들의 시문 활동상도 아울러 살필 수 있는 소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encykorea.aks.ac.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