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42화 - 기생이 시의 기상을 평하다 (妓評氣像)

 

평안 감영에는

시를 잘 짓는 것으로 명성이 높은

두 기생이 있었는데,

한 여인은 금운(琴韻)이고

다른 여인은 죽엽(竹葉)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

 

하루는 감사가

대동강가의 부벽루에서

잔치를 열고,

풍악으로 즐기다가 술이 얼큰해지니

두 기생을 불러 말했다.

"너희 둘이 모두

시를 잘 짓는다는 소문이 파다하니,

지금 앞에 보이는 경치를 가지고

즉흥시를 한 구절씩 읊어 보거라."

 

감사의 말에 따라

먼저 금운이 즉석에서

다음과 같이 읊었다.

 

山不渡江江上立

(산불도강강상립)

산은 강을 건너지 못해 강 언덕에 서 있고

水難穿石石頭回

(수난천석석두회)

강물은 돌을 뚫지 못해 바위를 돌아 흐르네.

 

기생 금운은 별로 생각하지도 않고,

앞에 펼쳐진 강물과 산을 보고

이렇게 읊는 것이었다.

이에 감사는 손뼉을 치면서

잘 지었다고 칭찬을 했다.

 

이를 보고 있던 죽엽이

빙긋이 웃으면서 말했다.

"시란 본래 그 사람의 심성이

드러나는 것이 아니옵니까?

금운의 시에는

서방님을 붙잡아 두려는

나약한 여인의 심정만 표현되어 있어

좋다고 할 수가 없사옵니다."

 

"아니, 죽엽아. 그게 무슨 말이냐?

그렇다면 너는 어떻게 짓겠다는 말인지,

어디 한번 읊어 보려무나."

"예, 소녀 죽엽이 말씀 올리겠습니다.

지금 금운이 지은 시구가

기상(氣像)이 떨어지는 것은,

두 글자가 결정적으로 잘못되어

그런 것이옵니다.

 

그 시구에서

'아닐 불(不)'자와

'어려울 난(難)'자를

달리 고쳐 넣고

거기에 맞추어 조절하면,

뜻이 확 달라져

기상이 살아나는 것이옵니다."

 

이 말을 들은 감사는 놀라면서,

"그렇다면 죽엽이 네가 어디 한번

고쳐 넣어 보거라."

하고 독촉을 하니,

 

죽엽은 이렇게

세 글자만 고쳐 읊는 것이었다.

 

山欲渡江江底立

(산욕도강강저립)

산은 강을 건너고자 하여 강 언저리에 서 있고

水將穿石石頭回

(수장천석석두회)

강물은 장차 돌을 뚫고자 하여 바위를 돌도다.

 

죽엽이 이렇게 고치니,

수동적이고 소극적으로 표현되었던 의미가

헤쳐 나가려고 하는 강하고 적극적인

의지의 표현으로 바뀌게 된 것이다.

감사는 기생들의 작시에

감탄을 금치 못했다고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