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금소총 제303화 - 생신날의 망발 (生辰妄發)
한 선비가 성격이 매우 경박하고 해학을 좋아해
망발을 자주 하는 편이라, 늘 친구들의 놀림감이 되었다.
하루는 그 부친의 생신에 친구들을 집으로 초청하는 편지를 써서 보냈다.
'오늘은 내 웅친(雄親) 생신날이라오.
그래서 우리 집에 약간의 음식을 장만했으니
꼭 와서 마음껏 즐기기 바라오.'
초청을 받은 친구들이 와서 둘러앉았다.
음식상이 나와 술을 권하면서 환담을 하는데,
한 친구가 정색을 하면서 물었다.
"이 사람아, 자네가 돌린 편지에 보면
'엄친(嚴親)'이라 쓰지 않고
'웅친(雄親)'이라 썼데그려.
그 '웅친'이라 한 것은 출처가 어디인지 알고 싶네.
어디에 그런 말이 있는가?"
그러자 이 선비는 다음과 같이 해명을 하는 것이었다.
"그 출전 말인가? 잘 들어 보게.
모친을 자친(雌親)이라 하지 않는가?
(사랑할 자인 '慈'로 써야 할 것을 음이 같은 암컷 자인 '雌'로 바꾸어서 쓴 것임)
그래서 부친은 '雌'의 대칭에 해당하는 '雄'자를 써서
'웅친'이라고 한 것이라네.
어떤가? 내가 만들어 쓴 말과 설명이 그럴듯하지 않은가?"
이에 여러 친구들이 크게 한바탕 웃으면서,
"이는 자네의 재담에 해당하지만, 어른에 대한 망발일세.
오늘 자네 망발 잔치도 겸해야겠네 그려."
하면서 이 선비를 놀려 주었다.
몇 시간이 지나 친구들이 잔치를 마치고 나오는데,
툇마루 밑에 생선과 고기 뼈가 널려 있으니
강아지가 앉아 꼬리를 흔들며
맛있게 먹고 있었다.
이를 본 선비는 또다시 웃으면서 큰소리로 말했다.
"옳거니, 오늘이 바로 우리 강아지 생일날이로구나.
맛있는 음식을 포식하고 있네 그려."
이 말 역시 부친의 생신날을
강아지 생일날에 결부시켰으니
버릇없는 망발이었다.
그러자 친구들은 헤어지면서
망발이 너무 심하다고 웃으며
이 선비를 조롱했다 한다.
'고전문학 > 국역고금소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305화 - 충성스러운 여종의 목숨을 구하다 (忠婢求命) (0) | 2016.07.25 |
---|---|
제304화 - 속임수로 좋은 술을 얻어먹다 (詐取美酒) (0) | 2016.07.25 |
제302화 - 오줌 소리로 안다 (知溺聲論) (0) | 2016.07.22 |
제301화 - 우신편을 바꾸자 (換牛腎鞭) (0) | 2016.07.22 |
제300화 - 쪼개서 말리니 빨리 마른다 (分曝速乾) (0) | 2016.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