詞腦歌 證釋 題詞 其二

其二

題詞 제2

 

大界茫茫衆星行

망망한 대우주(大宇宙)에 운행하는 저 뭇 별들,

望之無極孰經營

바라봐 끝없으니 뉘 경영하나?‘ 해도,

獨有分度森不忒

전문가의 보는 눈엔 한 , , 어김 없어

手捫九天日未仄

구천을 다 만져도 해도 아니 기우네.

君於古歌略似此

그대의 고가 풀이 바로 이와 비슷커니,

笑他游蜂讚窓紙

우습다, 붕붕 벌들은 창호지를 뚫는구나!

 

蠢編塚刻收惟謹

좀 먹은 책, 金石을 빠짐없이 다 거두고

山謳野曲無不採

산노래 들노래를 모조리 수집하여,

始也叢雜若無取

처음엔 풀포긴 양 되는 대로 섞였더니

終焉條貫各有待

나중엔 조목조목 서로 맞춰 꿰어냈네.

陰翕陽移自此準

어두워 소리 막힌 것, 환해서 울리는 것,

古訛今變自此稽

고금의 변화를 모조리 상고할 제,

循以達之莫余防

순리(順理)로 풀어가니 뉘라서 막아내리?

五寸渠盡天下方

다섯 치 정규(正規)하나로 천하의 모난 것 다 재었네.

 

鳴鳩乳燕白日麗

지금은 비둘기 구구, 제비 젖 먹이는 대낮인데

曾是荊刺如人忘

바로 전엔 가싯덤불 찾을 이도 없었던 곳,

十二琴弦仙乎下

가얏고 열두 줄이 시르릉 둥당 울려내리니,

舊譜無恙吟鳳凰.

옛 악보 바로 그대로 봉황을 읊는구나.

 

[해설]

벽두 大界茫茫은 어떠한 聲勢, 5 · 6가 또 어떤 謹嚴· 破顔이뇨. 詩法· 辭意가 모두 絶調. 鄙業績에 대한 讚揚이나, 나로선 미상불 點頭되는 아는 이의 말’.

游蜂은 구구한 群小學者, 당시 日人 學者 某를 가리킴인가.

叢雜 · 條貫*學的 方法論, ‘陰弇陽侈史學的 炯眼, 五寸榘 盡天下方爲學原理모두 斯學에 대한 그의 드높은 見識을 드러낸 것으로 字字兼金, 句句千鉤.

[條貫*]

若夫條貫乎叢雜, 得魚而忘筌, 則又有竢乎後來之君子云.’

<鄙著 自題語結辭>이 실로 이에 의했음.

'고전문학 > 향가 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詞腦歌 證釋 題詞 其四  (0) 2017.07.18
詞腦歌 證釋 題詞 其三  (2) 2017.07.18
詞腦歌 證釋 題詞 其一  (0) 2017.07.18
梁柱東, 정인보의 詞腦歌 證釋 題詞 5首 注譯  (0) 2017.07.18
양지 - 풍요/향가  (0) 2014.03.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