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치원 존영]
카테고리: 한문학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참고]
- 연암소설 (22)
- 연암 박지원 (38) 은 아래 아래에 별항으로 처리함.
이 블로그 운영자가 정리한 금오신화 자료는 다음과 같다.
김시습전 -율곡 이이
http://kydong77.tistory.com/8088
김시습전 -율곡 이이
[주]세조의 왕위찬탈로 파탄난 인생, 그는 장부의 표상이라며 수염을 기른 중으로 일생을 방랑했다.47세때 환속하여 조부신께 사죄문도 올렸지만 충신불사이군의 유교적 이데올로기는 태생의
kydong77.tistory.com
만복사저포기 상 -김시습
http://kydong77.tistory.com/8087
김시습, 만복사저포기 上
[주]금오신화 5편중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장전>은 인귀교환설화를 소재로 하였다. 산 사람이 죽은 사람의 영혼과 생시처럼 육체적 관계를 나누는 것을 인귀교환설화라 한다. 얼마나 지독한
kydong77.tistory.com
만복사저포기 하 -김시습
http://kydong77.tistory.com/8086
김시습, 만복사저포기 下
만복사저포기 萬福寺摴蒲記 下 2]무덤에서 사흘간 처자 환신과 지내다 1)처자 환신을 따라 개령동 처자의 집에 가다 生執女手, 經過閭閻, 양생이 여인의 손을 잡고 마을을 지나가는데, 犬吠於籬,
kydong77.tistory.com
이생규장전 상 -김시습
http://kydong77.tistory.com/8085
김시습, 이생규장전 上
[주]담장은 현실세계와 이상세계의 경계다. 담장 안은 이생이 경험하지 못한 이상세계였다. 담장을 넘어 최랑과 시를 창수하니 신선세계에서 선녀를 만난 기분이었다. 어떻게 빠져들지 않을 수
kydong77.tistory.com
이생규장전 하 -김시습
http://kydong77.tistory.com/8084
김시습, 이생규장전 下
[주]연애[풋사랑]-울산 농장, 결혼-홍건적의 난에 피살, 인귀교환-명수 다해 영별. 이 작품은 세 차례에 걸친 만남과 이별의 변주곡이다. 2]이생, 최랑과 이별하다 1)이생의 행동이 탄로나 울주로
kydong77.tistory.com
취유부벽정기 -김시습
http://kydong77.tistory.com/8083
김시습, 취유부벽정기
[주] 이 작품은 부벽루에서 시를 창수할 짝을 만난 홍생과 기씨녀의 회고시의 향연이다. 홍생의 칠률 6수, 기씨녀의 칠률 6수, 40운 80구의 기씨녀의 오언고시 <강정추야완월(江亭秋夜玩月)> 등이
kydong77.tistory.com
남염부주지 상 -김시습
http://kydong77.tistory.com/8082
김시습,남염부주지 上
이 작품에는 매월당이 20년에 걸친 정신적 방황에서 도출하려 했던, 삶과 죽음에 대한 존재론적 회의와 불교의 세계관 및 의식의 오류에 대해 염왕과 대화하는 형식을 통해 정리하고 있다. 박생
kydong77.tistory.com
남염부주지 하 -김시습
http://kydong77.tistory.com/8081
김시습, 남염부주지 下
3]염왕과의 담론 1)유불을 비교하다 生問曰(생문왈) : 박생이 물었다. 周孔瞿曇(주공구담) : "주공과 공자와 석가는 何如人也(하여인야) : 어떤 사람들입니까?" 王曰(왕왈) : 임금이 말하였다. 周孔(
kydong77.tistory.com
용궁부연록 -김시습
http://kydong77.tistory.com/8080
김시습, 용궁부연록
[주]한생이 용궁의 상량식 잔치에 초대되어 상량문 짓고, 용궁의 풍류잽이들과 초대받은 사람들이 돌아가며 재주를 보이며 시를 지은 후, 한생은 용궁을 두루 구경하고, 진주 두 알과 비단 두 필
kydong77.tistory.com
구우 / 전등신화
http://kydong77.tistory.com/5439
구우 / 전등신화
[은자주]전등신화의 목차를 정리해 본다. 하단에 금오신화와 연관된 작품을 적시하고 걸작을 발췌해 본다. 전등신화(剪燈新話)_구우(瞿佑) 작자소전_주릉가(周楞伽) 서문 1. 구우(瞿佑)의 '전
kydong77.tistory.com
금오신화 작품 요약
http://kydong77.tistory.com/5413
금오신화 작품 요약
금오신화 [참고]금오신화 vs 구우/전등신화 http://blog.paran.com/kydong/34822337 현존하는 5편은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취유부벽정기, 용궁부연록, 남염부주지 등 다섯편이다. 이들은 각기 소재가
kydong77.tistory.com
김시습
http://kydong77.tistory.com/2585
김시습
김시습(金時習) 1435년(세종 17)∼1493년(성종 24). 조선 초기의 학자이며 문인, 생육신의 한 사람. 본관은 강릉. 자는 열경(悅卿), 호는 매월당(梅月堂)·청한자(淸寒子)·동봉(東峰)·벽산청은(碧山淸
kydong77.tistory.com
만복사저포기
http://kydong77.tistory.com/2584
김시습, 만복사저포기
[주]한문만 제시하면 의미를 알 수 없고, 국역만 처리하면 중요한 부분을 놓치기 쉬워 한문을 짧게 끊고 국역으로 대역(對譯)하였다. 금오신화 5편중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장전>은 인귀교환
kydong77.tistory.com
이생규장전
http://kydong77.tistory.com/2583
김시습, 이생규장전
[주]담장은 빈부의 세계, 서민과 귀족, 현실세계와 이상세계의 경계다. 담장 안은 이생이 경험하지 못한 이상세계였다. 담장을 넘어 최랑과 시를 창수하니 신선세계에서 선녀를 만난 기분이었다
kydong77.tistory.com
취유부벽정기
http://kydong77.tistory.com/2577
김시습, 취유부벽정기
[주] 이 작품은 부벽루에서 시를 창수할 짝을 만난 홍생과 선녀 기씨녀의 회고시의 향연이다. 고양된 회고의 정서를 응축한 홍생의 칠률 6수, 기씨녀의 칠률 6수, 五言 40운 80구의 기씨녀의 오언
kydong77.tistory.com
남염부주지
http://kydong77.tistory.com/2576
김시습, 남염부주지
[주]금오신화 5작품 중 유일하게 한시를 사용하지 않은 사상소설이다. 남염부주지 -김시습 成化初, 慶州有朴生者, 以儒業自勉. 성화(成化) 초년에 경주에 박생이란 사람이 살고 있었다. 그는 유
kydong77.tistory.com
용궁부연록
http://kydong77.tistory.com/2575
김시습, 용궁부연록
용궁부연록 松都有天磨山. 其山高揷而峭秀, 故曰天磨山. 개성에 천마산이 있는데, 그 산이 공중에 높이 솟아 가파르므로 '천마산(天磨山)'이라 불리게 되었다. 中有龍湫, 名曰瓢淵, 窄而深, 不知
kydong77.tistory.com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8731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금오신화 정리
이 블로그 운영자가 정리한 금오신화 자료는 다음과 같다. 김시습전 -율곡 이이 http://kydong77.tistory.com/8088 만복사저포기 상 -김시습 http://kydong77.tistory.com/8087 만복사저포기 하 -김시습 http://k..
kydong77.tistory.com
[최치원 사산비명] 外
최치원의 사산비명 (0) 2012.09.27
최치원 - 격황소서 (0) 2012.09.25
경주 초월산 숭복사 비명 /사산비명 (0) 2010.10.02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 대공영탑비명/ 사산비명 (0) 2010.09.26
문경 희양산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비명/ 사산비명 (0) 2010.09.23
최치원의 사산비명 (0)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category/한문학/최치원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다산 정약용 (0) 2014.04.14
한문사대가 (0) 2013.12.18
장유 - 서산대사비명 병서 (0)
이정구 - 서산대사비명 병서 (0)
조선시대의 한문학 요약분
http://kydong77.tistory.com/3301
조선시대의 한문학/요약본
조선시대의 한문학 1.관각파 서거정/1 관각삼걸/1 :호음 정사룡, 소재 노수신, 지천 황정욱. 약칭 호소지(湖소芝). 16세기 한시사의 수준을 가장 높은 시인은 湖소芝로 병칭되는 湖陰 鄭士龍, 穌齋
kydong77.tistory.com
조선시대의 한문학
1.관각파 서거정/1
관각삼걸/1
:호음 정사룡, 소재 노수신, 지천 황정욱. 약칭 호소지(湖소芝).
16세기 한시사의 수준을 가장 높은 시인은 湖소芝로 병칭되는
湖陰 鄭士龍, 穌齋 盧守愼, 芝川 黃廷彧이다.
2.방외인문학 김시습 허균/3
김시습(金時習), 1435(세종 17)∼1493(성종 24).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52650&cid=46644&categoryId=46644
김시습
조선전기 『매월당집』·『금오신화』·『만복사저포기』 등을 저술한 학자. 문인. [개설] 본관은 강릉(江陵). 자는 열경(悅卿), 호는 매월당(梅月堂)·청한자(淸寒子)·동봉(東峰)·벽산청은(碧山
terms.naver.com
허균 [許筠] (1569~1618)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27428&cid=46644&categoryId=46644
허균
조선시대 첨지중추부사, 형조참의, 좌참찬 등을 역임한 문신. 문인. [개설]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단보(端甫), 호는 교산(蛟山)·학산(鶴山)·성소(惺所)·백월거사(白月居士). 아버지는 서경덕(
terms.naver.com
3.사림파 김종직 영남사림/3
김종직, 정여창, 김굉필, 조광조, 김인후
4.해동의 강서파 /5
용재 이행, 읍취헌 박은
이행(李荇)의 시문집.용재집 [容齋集]
박은(朴誾)의 문집 ≪읍취헌유고 挹翠軒遺稿≫
5.삼당파시인/5
고죽 최경창, 옥봉 백광훈, 손곡 이달
孤竹 崔慶昌, 玉峯 白光勳, 손곡(蓀谷) 이달(李達)
6.한문사대가 /7
월사 이정구, 상촌 신흠, 계곡 장유, 택당 이식
조선 중기 문장에 뛰어났던 월사 이정구(李廷龜)·상촌 신흠(申欽)·계곡 장유(張維)·택당 이식(李植) 등 네 사람.
이들의 호를 한 자씩 따서 월상계택(月象谿澤)
선조·인조(宣祖 仁祖) 연간의 4가 상월계택(象月谿澤)
곧 상촌 신흠(象村 申欽), 월사 이정구(月沙 李廷龜), 계곡 장유(谿谷 張維), 택당 이식(澤堂 李植)
7.후사가의 한시/8
한국 한시의 개발, 新體文
아정 이덕무,영재 유득공, 초정 박제가,강산 이서구
조선 정조(正祖) 때 실학(實學) 관련의 네 학자.
아정雅亭·형암炯庵 이덕무(李德懋 1741~1793),
초정楚亭 박제가(朴齊家 1750~1815),
냉재冷齋 유득공 [柳得恭] (1748~?),
강산(薑山) 척재惕齋 이서구(李書九 1754 ~1825) 등에 대하여 後四家라 함.
법고창신의 신체문을 주창하고 실천한 연암 박지원은 지금의 탑골공원에서
대개 서자출신인 이들과 어울림.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3301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조선시대의 한문학/요약본
조선시대의 한문학 1.관각파 서거정/1 관각삼걸/1 :호음 정사룡, 소재 노수신, 지천 황정욱. 약칭 호소지(湖소芝). 16세기 한시사의 수준을 가장 높은 시인은 湖소芝로 병칭되는 湖陰 鄭士龍, 穌齋
kydong77.tistory.com
'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재의 광기 김시습 & 권필과 남효온의 한시 (0) | 2018.10.16 |
---|---|
연암소설 포스트 정리 (2) | 2017.07.21 |
‘갑골문화’ 동이족이 창조 한자는 발해 문자였을까 (1) | 2016.08.10 |
다산 정약용 (0) | 2014.04.14 |
한문사대가(漢文四大家), 월상계택(月象谿澤)이정구,신흠, 장유,이식 (0) | 2013.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