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qjKrHZTtVgc
https://www.youtube.com/watch?v=_L9QWdSTh2A
한국어의 계통에 관해서는 옛부터 알타이어족으로 분류하는 학설이 힘을 얻었다. 현재 언어학계에서는 주변 언어와 관계가 확인되지 않는 고립어[10][4][2], 또는 제주어를 포함하는 독자적인 한국어족에 속한다고 보는 학자들도 존재한다. 반면에 한국의 주류 학계는 몽골어, 터키어, 카자흐어와 같은 알타이어족에 속한다는 가설을 주로 받아들인다. 그러나 고립어 역시 다른 고립어와는 궤가 조금 다르고 한국어족도 제주어를 방언으로 포함시킬지 언어로 포함시킬지에 대한 의견이 갈라져 논거가 부족하며 한국어의 계통은 여전히 논란이 분분한 주제로, 역사언어학계에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https://ko.wikipedia.org/wiki/%ED%95%9C%EA%B5%AD%EC%96%B4
음운[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한국어 음운론입니다.
모음[편집]
다음은 대한민국 표준어를 기준으로 한 모음의 표기이다.
음소대표적인 음성적요예
/ㅏ/ | [a] | 전설 비원순 저모음, 중설 근저모음[vn 1] | /ai/ 아이 [ai] |
/ㅓ/ | [ʌ] | 후설 비원순 중저모음[vn 2] | /ʌdi/ 어디 [ʌdi] |
/ㅗ/ | [o] | 후설 원순 중고모음 | /oi/ 오이 [oi] |
/ㅜ/ | [u] | 후설 원순 고모음 | /uɾi/ 우리 [uɾi] |
/ㅡ/ | [ɯ] | 후설 비원순 고모음 | /gɯ/ 그 [kɯ] |
/ㅣ/ | [i] | 전설 비원순 고모음 | /ima/ 이마 [ima] |
/ㅐ/ | [ɛ] | 전설 비원순 중저모음[vn 3] | /hɛ/ 해 [hɛ] |
/ㅔ/ | [e] | 전설 비원순 중고모음[vn 3] | /nue/ 누에 [nue] |
/ㅚ/ | [ø] ([we] 허용) | 전설 원순 중고모음[vn 3] | /sø/ 쇠 [sø] |
/ㅟ/ | [y] ([wi] 허용) | 전설 원순 고모음[vn 3] | /y/ 위 [y] |
- ↑ 전설 모음 기호 a는 전통적으로 한국어의 중설 모음을 나타내는 데 쓰인다. 일반적으로 [ɐ]와 비슷한 소리를 낸다.
- ↑ 서울 방언의 /ㅓ/는 완전한 비원순 모음이 아니라 원순과 비원순의 중간적인 발음이다. 또한 문화어에서는 이 모음을 [ɔ]로 소리 낸다.
- ↑ 이동:가 나 다 라 한국에서는 거의 모든 지역에서 노년층을 제외하고 /ㅐ/와 /ㅔ/의 구별이 상실되어 같은 소리로 발음된다. 그 음성은 [ɛ] 와 [e] 의 중간 소리다. 또 서울 방언과 평양 방언 모두 단모음 음소로서 /ㅚ/, /ㅟ/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들 방언에서 /ㅚ/는 보통 [we](평양 방언에서는 [wɛ])로 나타나며 /ㅟ/는 [wi]로 나타난다. 따라서 단모음의 종류가 가장 적은 서울 방언 화자의 경우 단모음은 일곱 가지(/ㅏ, ㅓ, ㅗ, ㅜ, ㅡ, ㅣ, ㅔ/)밖에 없다.
자음[편집]
양순치경치경구개권설경구개연구개성문비음파열음마찰음파찰음탄음접근음설측음
m | n | ŋ | ||
p b | t d | k ɡ | ||
s z | ɕ ʑ | ç | x | h ɦ |
ʨ ʥ | ||||
ɾ | ||||
w | j | ɰ | ||
ɭ | ʎ |
음운 체계
양순음 | 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파열음 | 평음 | ㅂ (b/p) | ㄷ (d/t) | ㄱ (g/k) |
경음 | ㅃ (p͈) | ㄸ (t͈) | ㄲ (k͈) | |
격음 | ㅍ (pʰ/bʱ) | ㅌ (tʰ/dʱ) | ㅋ (kʰ/gʱ) | |
파찰음 | ||||
평음 | ㅈ (ʥ/ʨ) | |||
경음 | ㅉ (ʨ͈) | |||
격음 | ㅊ (ʨʰ/ʥʱ) | |||
마찰음 | 평음 | ㅅ (sʰ/zʱ) | ㅎ (h/ɦ) | |
경음 | ㅆ (s͈) | |||
비음 | ㅁ (m) | ㄴ (n) | ㅓ (ŋ) | |
유음 | ㄹ (l) |
https://ko.wikipedia.org/wiki/%EC%95%8C%ED%83%80%EC%9D%B4_%EC%A0%9C%EC%96%B4
알타이 제어에 속하는 언어는 일반적으로 다음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
- SOV 어순, 즉 주어-목적어-동사의 어순을 가진다.
- 교착어이다.
- 모음조화가 있다. 또는 과거에 있었다.
- 두음법칙이 있어 어두에 특정 자음이 쓰이지 않는다. 유음 /r/, /l/로 시작되는 단어가 없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부동사(副動詞, converb)가 있다.
- 모음교체, 자음교체가 없다.
- 문법적 성(gender)이 없다.
- 대개 유기음이 없었다.
http://www.jejuilbo.net/news/articleView.html?idxno=112466
https://kydong77.tistory.com/18036?category=485871
정구업진언 淨口業眞言
https://www.youtube.com/watch?v=91dLVimMHTs
안위제신 진언 五方內外 安慰諸神 眞言
https://www.youtube.com/watch?v=tZHJ1Q9qXzA
자현스님
https://www.youtube.com/watch?v=YLHGc3JgvOg
자현스님, 중국불교사/ 최초사찰 白馬寺
https://www.youtube.com/watch?v=1twZrXVSuQc
'고전문학 > 훈민정음 악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뿌리 깊은 나무와 샘이 깊은 물, 룡비어천가 제2장/ El Condor Pasa (0) | 2020.10.09 |
---|---|
한글 창제의 독창성/ 신숙주, 동국정운/ 신미대사 창제설, 불경譯의 범어 (2) | 2020.10.09 |
신미대사, 훈민정음 창제/ 산스크리트어 (0) | 2019.07.24 |
신미대사, 훈민정음창제의 주역/시호,禪敎宗都摠攝 密傳正法 悲智雙運 祐國利世 圓融無碍 慧覺尊者’ (3) | 2019.02.09 |
범어 '짱골라, 스리스리 마스리'의 의미 (0) | 2018.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