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youtube.com/watch?v=LD-NmCD9xh8
m.blog.naver.com/sohoja/220281294184
4. 인즉영 (仁則榮)
孟子曰仁則榮
(맹자왈인즉영)하고 : 맹자가 말하기를, 인하면 영화롭고
不仁則辱
(불인즉욕)하나니 : 인하지 못하면 욕을 받게 되나니
今
(금)에 : 이제
惡辱而居不仁
(악욕이거불인)이 : 욕을 받기를 싫어하면서 인하지 못한 데 머물러 있는 것은
是猶惡濕而居下也
(시유악습이거하야)니라 : 마치 습한 것을 싫어하면서 낮은 곳에 머물러 있는 것과 같으니라.
如惡之
(여오지)인댄 : 만일 욕보는 것을 싫어한다면
莫如貴德而尊士
(막여귀덕이존사)니 : 덕을 귀하게 여기고 선비를 존중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것이니
賢者在位
(현자재위)하며 : 어진 사람이 지위에 있으며
能者在職
(능자재직)하여 : 능력있는 사람이 관직에 있어서
國家閒暇
(국가한가)어든 : 국가가 무사하고 태평하거든
及是時
(급시시)하여 : 이때를 당해서
明其政刑
(명기정형)이면 : 그 정치와 형벌을 밝히면
雖大國
(수대국)이라도 : 아무리 큰 나라라 할지라도
必畏之矣
(필외지의)리라 : 반드시 두려워할 것이니라.
詩云迨天之未陰雨
(시운태천지미음우)하여 : 시경에 말하기를, 하늘에 구름이 끼고 비가 내리기 전에
徹彼桑土
(철피상토)하여 : 저 뽕나무 뿌리 껍질을 벗겨서
綢繆牖戶
(주무유호)면 : 창호를 단단히 얽어매어 두었더라면
今此下民
(금차하민)이 : 이제 이 백성들이
或敢侮予
(혹감모여)아하여늘 : 혹시나 나를 업신여길 수 있겠는가라 하였는데
孔子曰爲此詩者其知道乎
(공자왈위차시자기지도호)인저 : 공자가 말씀하시기를, 이 시를 지은 사람이 그 도리를 아는 사람이구나.
能治其國家
(능치기국가)면 : 그 국가를 잘만 다스린다면
誰敢侮之
(수감모지)리오하시니라 : 누가 감히 업신여기겠는가 하였다.
今
(금)에 : 이제
國家閒暇
(국가한가)어든 : 국가가 무사하고 평화로우면
及是時
(급시시)하여 : 이런 때를 당해서
般樂怠敖
(반악태오)하나니 : 거침없이 행락하고 태만하고 오만해지니
是
(시)는 : 이것은
自求禍也
(자구화야)니라 : 스스로 재앙을 구하는 것이라
禍福
(화복)이 : 재앙과 복이
無不自己求之者
(무불자기구지자)니라 : 자기로부터 구하지 않는 것이 없느니라
詩云永言配命
(시운영언배명)이 : 시경*에 말하기를., 길이 하늘의 명령에 순종하여
自求多福
(자구다복)이라하며 : 스스로 많은 복을 구한다 하며
太甲曰
(태갑왈은 : 서경*태갑편에 말하기를,
天作孼
(천작얼)하늘이 내리는 화는
猶可違
(유가위)어니와 : 그래도 늦출 수가 있거니와
自作孼
(자작얼)은 : 자기가 지은 허물은
不可活
(불가활)이라하니 : 피할 수가 없다 하니
此之謂也
(차지위야)니라 : 이것을 말함이다.
시경*
155 詩經
豳風-鴟鴞(치효,부엉이)
鴟鴞鴟鴞
(치효치효) : 부엉아, 부엉아,
旣取我子
(기취아자) : 이미 내 새끼 잡아먹었으니
無毁我室
(무훼아실) : 우리 집안 허무는 일 없게 하오.
恩斯勤斯
(은사근사) : 알들 살들 사랑하였는데
鬻子之閔斯
(죽자지민사) : 어린 자식 불쌍하다.
迨天之未陰雨
(태천지미음우) : 장마 비가 내리기 전에
徹彼桑土
(철피상토) : 저 뽕나무 뿌리 주어다가
綢繆牖戶
(주무유호) : 창과 문을 칭칭 얽어 감는다면
今女下民
(금녀하민) : 이제 와선 너의 낮은 백성들이
或敢侮予
(혹감모여) : 혹시라도 감히 나를 업신여기랴?
予手拮据
(여수길거) : 나는 내 입과 손이 다 닳도록
予所捋荼
(여소랄도) : 나의 갈대 이삭 뽑아오고
予所蓄租
(여소축조) : 나의 띠 풀 모아 쌓았도다.
予口卒瘏
(여구졸도) : 나의 입이 모두 병난 것은
曰予未有室家
(왈여미유실가) : 내 아직 집이 없어서였느니라.
予羽譙譙
(여우초초) : 나의 날개 깃 다 모지러지고
予尾翛翛
(여미소소) : 내 꼬리 다 망가졌는데도
予室翹翹
(여실교교) : 내 둥지가 위태롭고 위태롭거늘
風雨所漂搖
(풍우소표요) : 비바람이 뒤흔드는지라
予維音嘵嘵
(여유음효효) : 내울부짖는 소리 급히 하노라.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5136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
**서경**
ko.wikipedia.org/wiki/%EC%84%9C%EA%B2%BD_(%EC%B1%85)
《서경(書經)》은 중국 유교의 5경(五經) 가운데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이다. 중국의 고대 국가들의 정사(政事)에 관한 문서를 공자가 편찬하였다고 전한다. 특히, 주나라의 정치철학을 상세하면서도 구체적으로 말한 제일의 자료이다.[1]
크게 《우서(虞書)》·《하서(夏書)》·《상서(商書)》·《주서(周書)》의 4부로 나뉘어 있는데
'중국고전 > 맹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맹자,공손추(公孫丑)上 - 6. 불인인지심(不忍人之心)/美 특수전 항공기 AC-130J (0) | 2021.01.07 |
---|---|
맹자, 공손추(公孫丑) 上 - 5. 신능행차(信能行此) (0) | 2021.01.07 |
맹자, 공손추(公孫丑) 상(上) - 3. 이력가인(以力假仁, 힘으로써 仁을 가장하다) (0) | 2021.01.07 |
맹자, 공손추(公孫丑) 상(上) - 2. 호연지기(浩然之氣, 천지에 충만한 기상) (0) | 2021.01.07 |
맹자, 공손추(公孫丑) 상(上) 1.관중안자(管仲晏子) (0) | 2021.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