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log.daum.net/junos111/8052875?category=286363

 

萬章章句上 第八章 : 孔子主癰疽

萬章問曰 (만장문왈) [或謂孔子於衛主癰疽, (혹위공자어위주옹저)  於齊主侍人瘠環, 有諸乎? ] (어제주시인척환) 孟子曰 (맹자왈) [否, 不然也。 好事者爲之也。 (부,불연야.호사자위지야) 만장

blog.daum.net

 

 

8.孔子主癰疽(공자어위주옹저)

 

萬章問曰 (만장문왈) : 만장이 물었다。

[或謂孔子於衛主癰疽, (혹위공자어위주옹저)

"어떤 사람들이 孔子가 위나라에서는 옹저의 집에 거처를 정하셨고,

 於齊主侍人瘠環, 有諸乎? ] (어제주시인척환)

 제나라에서는 시인 척환의 집에 거처를 정하셨다고 말들을 하는데, 그런 일이 있습니까?"

孟子曰 (맹자왈) : 孟子께서 말씀하셨다。

[否, 不然也。 好事者爲之也。 (부,불연야.호사자위지야)

"아니다。 그렇지 않다。일 좋아하는 자가 만들어낸 소리이다。

 

於衛主顔讐由。 (어위주안수유)

위나라에서는 안수유의 집에 거처를 정했다。

彌子之妻與子路之妻兄弟也。 (미자지청자로지처,형제야)

미자의 아내는 자로의 아내와 자매지간이다。

彌子謂子路曰 (미자위자로왈) : 미자가 자로에게 말하기를,

{孔子主我衛卿可得也。 (공자주아,위경과득야)

'孔子께서 우리 집에 거처를 정하고 계시면

위나라 경자리는 얻을 수 있을 것이오'라고 했다。

子路以告。 孔子曰 {有命。 (자로이고.공자왈 ㅇ명)

자로가 이 말을 아뢰니,

孔子는 '天命이 있느니라' 라고 말씀하셨다。

孔子進以禮退以義(공자진이례,퇴이의)

孔子께서 나아가시는 데는 禮에 따라서 하셨고,

물러서는 데에는 義에 따라서 하셨고,

得之不得曰 {有命。 (득지부득왈 유명)

벼슬을 얻고 얻지 못함에 '命이 있느니라' 하셨다。

而主癰疽與侍人瘠環是無義無命也。 (이주옹저여시인척환,시무의무명야)

그런데 옹저의 집과 시인 척환의 집에 거처를 정하셨다면

그것은 義가 없으며 命이 없음이다。

 

孔子不悅於魯衛(공자불열노위)

孔子가 노나라와 위나라에서 좋아하지 않았고,

遭宋桓司馬將要而殺之(조송환사마장요이살지)

송나라의 환사마가 길목에서 孔子를 죽이려고 하였기 때문에

微服而過宋。 (미복이과송)

변복을 해 가지고 송나라를 빠져 나오셨다。

是時孔子當阨主司城貞子(시시공자당액,주사성정자)

그 때 孔子가 횡액을 당하셔서 사성정자의 집에 거처를 정하시고,

爲陳侯周臣。 (위진후주신)

진나라 후주의 신하가 되셨다。

 

吾聞觀近臣以其所爲主。 (오문관근신,이기소위주)

나는 '가까운 신하를 살피려면, 그를 主人으로 하여 거처하고 있는 사람들을 보고,

觀遠臣以其所主。 (관원신,이기소주)

멀리서 벼슬하러 온 사람(遠臣)를 살피려면

그가 거처하고 있는 집의 主人을 본다' 고 들었다。

若孔子主癰疽與侍人瘠環何以爲孔子? ] (야공자주옹저여시인척환,하이위공자?)

孔子께서 옹저와 시인 척환을 主人으로 정하고 계셨다면 어떻게 孔子라고 하겠는가?"

 

 

m.blog.naver.com/sohoja/220477488361

 

맹자 130 - 만장 상 8

맹자 130 - 만장 상 8 ​萬章問曰 或謂孔子於衛主癰疽,於齊主侍人瘠環,有諸乎 만장문왈 혹위공자어위주옹...

blog.naver.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