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書經集傳 序 / 39
卷一 虞書 / 43
堯典 44
舜典 70
卷二 虞書 / 124
大禹謨 124
皐陶謨 154
益稷 169
卷三 夏書 / 201
禹貢 201
甘誓 310
五子之歌 318
胤征 327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20080?category=998202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
https://domountain.tistory.com/17951932
m.blog.daum.net/thddudgh7/16534048?category=1425252
*서경 ; 우서 ; 요전 ; 제1장
▣ 제1장(第一章)
『曰若稽古帝堯한대 曰放勳이시니 欽明文思安安하시며
允恭克讓하사 光被四表하시며 格于上下하시니라』
『 옛 제요(帝堯)를 상고하건대 방훈(放勳)『[공이 큼]』이시니,
공경하고 밝고 문채롭고 생각함이 편안하고
편안하시며 진실로 공손하고 능히 겸양하시어 광채가
사표(四表)에 입혀지시며 상하(上下)에 이르셨다.』
『曰은 췺, 越通이라 古文作췺하니 曰若者는 發語辭니 周書越若來三月이 亦此例也라 稽는 考也라
史臣이 將敍堯事라 故로 先言考古之帝堯者컨대 其德이 如下文所云也라
曰者는 猶言其說如此也라 放은 至也니 猶孟子言放乎四海是也라 勳은 功也니 言堯之功이 大而無所不至也라
欽은 恭敬也요 明은 通明也니 敬體而明用也라 文은 文章也요 思는 意思也니 文著見而思深遠也라
安安은 無所勉强也니 言其德性之美 皆出於自然이요 而非勉强이니 『所謂性之者주:소위성지자』也라
允은 信이요 克은 能也라 常人은 德非性有하여 物欲害之라 故로 有强爲恭而不實하고 欲爲讓而不能者로되
惟堯性之라 是以로 信恭而能讓也라 光은 顯이요 被는 及이요 表는 外요 格은 至요 上은 天이요 下는 地也라 言其德之盛如此라 故로 其所及之遠이 如此也라 蓋放勳者는 總言堯之德業也요 欽明文思安安은 本其德性而言也요 允恭克讓은 以其行實而言也요 至於被四表, 格上下하여는 則放勳之所極也라
孔子曰 惟天爲大어시늘 惟堯則『(칙)』之라하시니 故로 書敍帝王之德이 莫盛於堯요 而其贊堯之德이 莫備於此라 且又首以欽之一字爲言하니 此書中開卷第一義也라 讀者深味而有得焉이면 則一經之全體 不外是矣리니 其可忽哉아』
『 왈(曰)은 월(췺), 월(越)과 통한다. 고문(古文)에는 월(췺)로 되어 있는바, 왈약(曰若)은 발어사이니,
〈주서(周書)〉의 ‘월약래삼월(越若來三月)’도 이러한 예(例)이다.
계(稽)는 상고함이다. 사신(史臣)이 장차 요(堯)의 일을 서술하려 하였으므로 먼저 말하기를
“옛 제요(帝堯)를 상고하건대
그 덕(德)이 하문(下文)에 말한 바와 같다.”고 한 것이다.
왈(曰)은 그 말이 이와 같다고 말한 것과 같다. 방(放)은 이름이니,
《맹자(孟子)》에 “사해(四海)에 이른다.”고 말씀한 것이 이것이다.
훈(勳)은 공이니, 제요(帝堯)의 공이 커서 이르지 않은 바가 없음을 말한 것이다.
흠(欽)은 공경함이요 명(明)은 통명(通明)함이니, 경(敬)이 체(體)이고 명(明)이 용(用)이다.
문(文)은 문장(文章)이요 사(思)는 의사(意思)이니, 문장이 드러나고 생각이 심원한 것이다.
안안(安安)은 힘써서 억지로 하는 바가 없는 것이니, 덕성(德性)의 아름다움이 다 자연(自然)에서 나오고
힘써서 억지로 함이 아님을 말한 것이니, 이른바 ‘성(性)대로 한 자’라는 것이다.
윤(允)은 진실로요, 극(克)은 능함이다.
상인(常人)은 덕(德)이 성(性)대로 소유한 것이 아니어서 물욕(物慾)이 해치므로 억지로 공손하여 성실하지 못하고 겸양하고자 하여도 능하지 못한 자가 있다.
오직 제요(帝堯)만은 성(性)대로 하였다. 이 때문에 진실로 공손하고 능히 겸양한 것이다.
광(光)은 드러남이요, 피(被)는 미침이요, 표(表)는 밖이요, 격(格)은 이름이요, 상(上)은 하늘이요, 하(下)는 땅이니,
그 덕(德)의 성대함이 이와 같으므로 그 미친 바의 먼 것이 이와 같음을 말한 것이다.
방훈(放勳)은 제요(帝堯)의 덕을 총괄하여 말한 것이요,
흠명문사안안(欽明文思安安)은 그 덕성에 근본하여 말한 것이요,
윤공극양(允恭克讓)은 그 행실을 가지고 말한 것이요,
사표(四表)에 입혀지고 상하(上下)에 이름에 이르러서는
방훈(放勳)의 지극함이다.
공자(孔子)가 말씀하기를 “하늘이 위대하신대 요(堯)가 이를 본받았다.”하였으니,
그러므로 《서경(書經)》에서 제왕의 덕을 서술한 것이 요(堯)보다 더 성한 이가 없고
요(堯)의 덕을 찬미함이 이보다 더 구비된 것이 없다.
또 첫번에 한 흠자(欽字)를 말씀하였으니, 이는 책 가운데에 권을 시작하는 첫번째 뜻이다.
읽는 자가 깊이 음미하여 터득하는 것이 있으면 《서경(書經)》 전체가 여기에서 벗어나지 않을 것이니,
소홀히 할 수 있겠는가.』
[출처] 908. 현토완역 서경집전(懸吐完譯 書經集傳) (1 – 2)|작성자 집쟁이
https://kydong77.tistory.com/20080?category=998202
第一篇 虞書(우서)
第二篇 夏書(하서)
第三篇 商書(상서)
第四篇 周書(주서)
書經全文 보기 : 書經(尙書) 全文
書經 내용 바로가기
第一篇 虞書(우서) | ||
第一 堯典(요전) 1~5 | 第二 舜典(순전) 1~10 | 第三 大禹謨(대우모) 1~7 |
第四 皐陶謨(고요모) 1~6 | 第五 益稷(익직) 1~5 |
第二篇 夏書(하서) | ||
第一 禹貢(우공) 1~13 | 第二 甘誓(감서) | 第三 五子之歌(오자지가) 1~6 |
第四 胤征(윤정) 1~4 |
'중국고전 > 書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경 , 우서 -요전, 제3장. 和仲을 매곡, 和叔을 幽都로 보내다 (0) | 2021.01.23 |
---|---|
서경 , 우서 - 요전, 제2장. 羲仲은 暘谷, 羲叔은 明都로 보내다 (0) | 2021.01.23 |
채침(蔡沈), 서경집전서(書經集傳序), 二帝三王治天下之大經大法이 皆載此書 (0) | 2021.01.23 |
현토완역 서경집전(懸吐完譯 書經集傳)/ 채침(蔡沈), 書經集傳序 (0) | 2021.01.23 |
書經 4書, 虞書(우서)·夏書(하서)·商書(상서)·周書(주서)총목차/書經集傳序 (0) | 2021.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