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log.daum.net/thddudgh7/16534202?category=1425252
[5] 양주(揚州)의 치수(治水)와 부세(賦稅)
淮海惟揚州(회해유양주)
회수(淮水)와 바다 사이가 양주(揚州)이다.
彭蠡旣豬(팽려기저) 陽鳥攸居(양조유거)
팽려(彭蠡)라는 호수에 방죽을 쌓게 되자, 철새들이 그곳에 살게 되었다.
三江旣入(삼강기입)
세 갈래의 강물을 바다로 흘러 들어가게 하자,
震澤底定(진택저정) 篠簜旣敷(소탕기부)
진택(震澤)이란 못물이 일정해져, 호숫가에는 가는 대와 굵은 대가 자랐다.
厥草惟夭(궐초유요) 厥木惟喬(궐목유교)
그곳의 숲은 우거지고, 나무들은 높게 자랐다.
厥土惟塗泥(궐토유도니)
그곳의 흙은 진흙이었다.
厥田惟下下(궐전유하하) 厥賦下上(궐부하상)
그 밭은 하하(下下)의 9등급이고, 부세(賦稅)는 하상(下上)의 7등급이지만,
上錯(상착)
상등인 6등급도 섞여 있었다.
厥貢惟金三品(궐공유금삼품) 瑤琨篠簜(요곤소탕)
그곳의 공물은 금·은·동과, 곤(琨)이라는 구슬과 가늘고 굵은 대나무와,
齒革羽毛(치혁우모) 惟木(유목)
상아·짐승가죽·새깃털·소꼬리털과, 그리고 목재(木材)였다.
島夷卉服(도이훼복)
도이족(島夷族)들은 풀로 만든 옷을 입었는데,
厥篚織貝(궐비직패)
그들은 공물 바구니에 조개 무늬의 비단을 담고,
厥包橘柚(궐포귤유) 錫貢(석공)
그들의 보자기에는 귤과 유자를 싸서, 공물로 바쳤다.
沿于江海(연우강해) 達于淮泗(달우회사)
그들은 강과 바다를 따라, 회수(淮水)와 사수(泗水)에 이르렀다.
*양주(揚州)는 회하(淮河)의 이남을 가리키는 데,
지금의 절강성(折江省)과 강서성(江西省)이 모두 이에 포함이 된다.
'중국고전 > 書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경, 夏書 -1.禹貢篇(7) 예주(豫州)의 治水와 부세(賦稅) (0) | 2021.01.27 |
---|---|
서경, 夏書 -1.禹貢篇 (6) 형주의 治水와 부세(賦稅) (0) | 2021.01.27 |
서경, 夏書 -1.禹貢篇 (3)靑州의 治水와 賦稅 (0) | 2021.01.26 |
서경, 夏書 -1.禹貢篇 (2)연주의 治水와 賦稅 (0) | 2021.01.26 |
서경 우서, 5.익직편 - (5)임금이 힘쓰면 백성들도 따른다 (0) | 2021.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