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Btaj7tlKyoY
https://kydong77.tistory.com/19510
한글 창제의 독창성/ 신숙주, 동국정운/ 신미대사 창제설, 불경譯의 범어
www.youtube.com/watch?v=tbcjsQX-DAY 한글의 독창성과 그 우수성은 자음은 발음기관의 형상에 따라 아설순치후를, 중성인 모음은 천지인을 형상화 한 점이다. 아설순치후 오음의 발음기관을 형상화하여
kydong77.tistory.com
신미대사의 법호는 『나옹화상(懶翁和尙)임(아래사진 제목의 오류 정정)
https://kydong77.tistory.com/18370
이색, 나옹화상 탑명 (塔銘)/ 청산은 나를 보고, 청산별곡
https://www.youtube.com/watch?v=lXZAOStsPY0 https://kydong77.tistory.com/17179 고려가요 총목 및 작품 해설 이참에 무애 양주동 선생님이 향가 다음으로 힘을 기울였던 고려가요 경기체가 등에 대하여 재정리해 본
kydong77.tistory.com
청산은 나를 보고 - 나옹선사 시, 송은 곡
www.youtube.com/watch?v=SHjtZpVonu4
위 노래는 한물간 인기곡의 가사로 나옹회상의 시는 아래와 같습니다.
靑山兮要我以無語
[청산혜요아이무어] 청산은 나를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蒼空兮要我以無垢
[창공혜요아이무구] 창공은 나를보고 티없이 살라하네
聊無愛而無憎兮
[료무애이무증혜] 사랑도 벗어놓고 미움도 벗어놓고
如水如風而終我
[여수여풍이종아]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靑山兮要我以無語
[청산혜요아이무어] 청산은 나를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蒼空兮要我以無垢
[창공혜요아이무구] 창공은 나를보고 티없이 살라하네
聊無怒而無惜兮
[료무노이무석혜] 성냄도 벗어놓고 탐욕도 벗어놓고
如水如風而終我
[여수여풍이종아]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한글 칭제 이전이어서 한자를 빌어 쓴 우리말 시구.
한자를 모르는 민중들에게 문자로 불교를 전하자니 얼마나 갑갑하면 이런 기록을 남겼을까요?
5행과 7행의 兮 : 어구를 맞추기 위해 덧넣은 字.
나머지 兮 는 7언한시가 아님을 나타낸, 우리말답게 표현한 덧글자.
위 청산시에서 훈민정음 창제이전에도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無常이라는 불교적 세계관에 의거하여 우리말의 의미전달에 고심한 나옹화상의 불심의 깊이를 헤아릴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Khcr7K8ugaU
https://www.youtube.com/watch?v=MxPTb961NZg&t=3174s
훈민정음-병음> 변문
https://kydong77.tistory.com/21371
신미대사, 산스크리트어> 한글창제/ 실담어(悉曇語,범어) 1편
수암화상 신미(1405?~1480?) 眞影, 조선 전기 승려이다. 우측에는 선교도총섭 밀전정법 비지쌍운 우국이세 원융무애 혜각존자 (禪敎都摠攝 密傳正法 悲智雙運 祐國利世 圓融無碍 慧覺尊者)라는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21372
신미대사, 산스크리트어> 한글창제/ 실담어(悉曇語,범어) 2편
수암화상 신미(1405?~1480?) 眞影, 조선 전기 승려이다. 우측에는 선교도총섭 밀전정법 비지쌍운 우국이세 원융무애 혜각존자 (禪敎都摠攝 密傳正法 悲智雙運 祐國利世 圓融無碍 慧覺尊者)라는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20997
훈민정음 해례본/ 신미대사, 범어의 영향
세종께서 왼손에 들고 계신 책이 훈민정음 해례본 https://www.youtube.com/watch?v=wnGt6IOnqmY https://www.youtube.com/watch?v=PLK6yBSRE_A&t=83s https://www.youtube.com/watch?v=XJV6URY-5BI https://www..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21523
천수경, 신묘장구대다라니경/信眉, 禪敎宗都摠攝 密傳正法 悲智雙運 祐國利世 圓融無礙 慧覺尊
[세종이 유언한 신미대사의 시호] 信眉, 禪敎宗都摠攝 密傳正法 悲智雙運 祐國利世 圓融無礙 慧覺尊者 * 密傳正法 - 범어[산스크리트어]를 통해 붓다의 가르침을 바로 접근할 수 있게 함. *
kydong77.tistory.com
[세종이 유언한 신미대사의 시호]
信眉, 禪敎宗都摠攝 密傳正法 悲智雙運 祐國利世 圓融無礙 慧覺尊者
* 密傳正法 - 범어[산스크리트어]를 통해 붓다의 가르침을 바로 접근할 수 있게 함.
*신미대사의 시호중 "悲智雙運"의 '悲智'는 '자비'와 '지혜'의 의미임.
*'祐國利世' - 표음문자인 한글 창제를 선도함.
세종이 지은 시호를 종합해 보면, 범어에 능통한 信眉는 '祐國利世'한 한국의 붓다였다.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147258
세종대왕은 왜 불교경전을 한글번역 했을까 - 불교신문
훈민정음, 그리고 불경언해김무봉 지음/ 역락한글 창제 후 국가 주도로총 30여 종 언해본 발행그 중 80%가 불교 경전반야심경 금강경 능엄경 등언해로 불교 대중화 노력역대 국왕 가운데 가장 위
www.ibulgyo.com
경전 언해는 1447년 석보상절을 시작으로 월인석보, 금강경, 반야심경, 능엄경 등 20여 종에 걸쳐 진행됐다.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nh/view.do?levelId=nh_026_0020_0020_0060_0030
우리역사넷
(3) 간경도감의 불경언해 세종 6년(1460) 6월에 설치된 刊經都監은 정음 창제 이후에 이 문자로 책을 간행한 가장 큰 기관이었으니 정음의 초기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이다.
contents.history.go.kr
간경도감에서 간행된 중요한 책들을 들어 보면 다음과 같다.
≪楞嚴經諺解≫ 능엄경언해10권(세조 7년;1462)
≪妙法華經諺解≫ 묘법화화경언해 7권(세조 8년)
≪金剛經諺解≫ 금강경언해 1권(세조 9년)
≪佛說阿彌陀經諺解≫ 불설아미타경언해1권(세조 9년)
≪禪宗永嘉集諺解≫ 선종영가집언해 2권(세조 9년)
≪般若心經諺解≫ 반야심경언해 1권(세조 9년)
≪圓覺經諺解≫ 원각경언해 12권(세조 10년)
≪牧牛子修心訣諺解≫ 목우자수심결언해 1권(세조 13년)
[참고] 언문(諺文) 에 대하여.
언문청(諺文廳): 조선 시대에, 훈민정음 창제 후 서적의 편찬과 인쇄를 위하여 궁중에 임시로 설치한 관아. 세종 때 설치하여 단종 때 없앴다가, 연산군 때 다시 설치하여 중종반정 후 다시 없앴다.
언문지(諺文志): 조선 순조 24년(1824)에 유희가 지은 한글 연구서. 훈민정음의 자모(字母)를 초성ㆍ중성ㆍ종성의 세 가지로 나누어 해설한 것으로, 종래의 한자음 위주의 연구 방법을 지양하고 우리말 위주로 훈민정음을 다룬 첫 연구서이다. 1권 1책.
*언문청(諺文廳)은 국가설립의 관청을 의미하므로 '언문'이란 '우리말과 글'의 뜻이었다. 결코 비하하는 의미는 없었다.
문제의 발단은 한자를 아는 지식인들이 '眞書'라는 단어를 만들자 언청(諺文)은 자연 비하의 관념이 추가된 것으로 추정된다.
https://ko.wikipedia.org/wiki/%EC%84%9D%EB%B3%B4%EC%83%81%EC%A0%88
석보상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석보상절》(釋譜詳節)은 1447년(세종 29년)에 석가모니의 일대기와 주요설법을 뽑아 한글로 편역한 서적이다. 불교서적중에 한글로 번역, 편찬된 최초의 책으
ko.wikipedia.org
《석보상절》(釋譜詳節)은 1447년(세종 29년)에 석가모니의 일대기와 주요설법을 뽑아 한글로 편역한 서적이다. 불교서적중에 한글로 번역, 편찬된 최초의 책으로[1] 소헌왕후의 명복을 기리기 위해 그의 아들 수양대군이 세종의 명을 받아 만들었다. ‘석보’(釋譜)는 석가모니의 전기(傳記)를 의미하고, ‘상절'(’詳節)은 중요로운 내용은 자세히(詳) 쓰고, 그렇지 않은 내용은 줄여서(節) 쓴다는 뜻이다.[1] 금속 활자에 의한 15세기 한글 산문 자료로서 한국 어학, 한국 문학, 한국 서지학, 한국 불교학에서 귀중한 자료 중의 하나이다.
https://kydong77.tistory.com/21576
한말연구회,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
https://ko.wikipedia.org/wiki/%EC%84%9D%EB%B3%B4%EC%83%81%EC%A0%88 석보상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석보상절》(釋譜詳節)은 1447년(세종 29년)에 석가모니의..
kydong77.tistory.com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21523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0505
간경도감(刊經都監)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오늘날의 시각에서 그 사업이 지니는 의의는, 첫째 귀중한 국어학 자료를 많이 생산하여 국어학사의 체계화에 크게 기여한 점에 있다. 특히, 국역본 불전은 훈민정음 창제 직후의 일이므로 오늘
encykorea.aks.ac.kr
연번/ 서명 /권수 /저자 /간행연도 /비고
1 | 금강반야경소개현초(金剛般若經疏開玄鈔) | 6 | 공철(公哲) | 1461 | 본사 |
2 | 대반열반경의기원지(大般涅般經義記圓旨) | 14 | 공공(鞏空) | 1461 | 본사 |
3 | 대승아비달마집집논소(大乘阿毘達磨雜集論疏) | 16 | 현범(玄範) | 1461∼1462 | 낙질본 |
4 | 묘법연화경찬술(妙法蓮華經讚述) | 2 | 혜정(慧淨) | (?) | 낙질본 |
5 | 정명경집해관중소(淨名經集解關中疏) | 4 | 도액(道液) | 1461∼1462 | 낙질본 |
6 | 관세음보살보문품삼현원찬과문(觀世音菩薩普門品三玄圓贊科文) | 1 | 사효(思孝) | 1461∼1462 | 낙질본 |
7 | 대반열경경소(大般涅槃經疏) | 20 | 법보(法寶) | 1461∼1462 | 낙질본 |
8 | 개사분율종기의경초(開四分律宗記義鏡鈔) | 20 | 행만(行滿) | (?) | 낙질본 |
9 | 수능엄경의소주경(首楞嚴經義疏注經) | 20 | 자선(子璿) | (?) | 낙질본 |
10 | 화엄경론(華嚴經論) | 100 | 영변(靈辯) | (?) | 낙질본 |
11 | 원각예참약본(圓覺禮懺略本) | 4 | 종밀(宗密) | 1461∼1462 | 낙질본 |
12 | 사분율상집기(四分律詳集記) | 14 | 징연(澄淵) | 1461 | 상주·안동분사 |
13 | 능엄경계환해산보기(楞嚴經戒環解刪補記) | 1 | (?) | 1461 | 본사 |
14 | 대승기신론필삭기(大乘起信論筆削記) | 6 | 자선(子璿) | 1462 | 전주분사 |
15 | 대방광불화엄경합론(大方廣佛華嚴經合論) | 120 | 이통현(李通玄) | 1462 | 전주분사 |
16 | 대비로자나성불신변가지경의석연밀초(大毘盧遮那成佛神變加持經義釋演蜜鈔) | 10 | 각원(覺苑) | 1462 | 본사 |
17 | 유가론소(瑜伽論疏) | 40 | 지주(智周) | 1462 | 안동분사 |
18 | 능엄경의소(楞嚴經義解) | 30 | 함휘(咸輝) | 1462 | 본사 |
19 | 오삼련약신학비용(五杉練若新學備用) | 3 | 응지(應之) | 1462 | 본사 |
20 | 진실주집(眞實珠集) | 3 | 묘행(妙行) | 1462 | 본사 |
21 | 지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 | 2 | 실차난타(實叉難陀) | 1462 | 본사 |
22 | 구사론송소초(俱舍論頌疏鈔) | 8 | 상진(常眞) | 1463 | 진주·상주분사 |
23 | 노산집(盧山集) | 10 | 혜원(慧遠) | 1463 | 본사 |
24 | 보리달마사행론(菩提達磨四行論) | 1 | 달마(達磨) | 1464 | 남원분사 |
25 | 선문삼가염송집(禪門三家拈頌集) | 6 | 구암(龜庵) | 1464 | 본사 |
26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 3 | 종밀주해(宗密注解) | 1464 | 본사 |
27 | 자애화상광록(慈愛和尙廣錄) | 2 | (?) | 1466 | 본사 |
28 | 무주묘법연화경(無注妙法蓮華經) | 7 | 구마라습(鳩摩羅什) | 1467 | 본사 |
29 | 원종문류집해(圓宗文類集解) | 22 | 의천(義天) | 1468 | 개성분사 |
30 | 석문홍각범림한록(石門洪覺範林閒錄) | 2 | 각범(覺範) | 1468 | 상주분사 |
31 | 금강명경문구소록(金光明經文句疏) | 3 | 지의(智顗) | (?) | 낙질본 |
1 | 대불정수능엄경언해(大佛頂首楞嚴經諺解) | 10 | 반자밀제역(般刺密帝譯), 계환해(戒環解) | 1462 | 본사 |
2 | 묘법연화경언해(妙法蓮華經諺解) | 7 | 구마라습역(鳩摩羅什譯), 계환해(戒環解), 일여집주(一如集注) | 1463 | 본사 |
3 | 선종영가집언해(禪宗永嘉集諺解) | 2 | 현각찬(玄覺撰), 연정정원수정(衍靖淨源修正), 세조구결(世祖口訣) | 1464 | 본사 |
4 | 금강반야바라밀경언해(金剛般若波羅密經諺解) | 2 | 구마라습역(鳩摩羅什譯), 혜능주해(慧能註解) | 1464 | 본사 |
5 |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般若波羅密多心經諺解) | 1 | 현장역(玄奬譯), 중희술(仲希述) | 1464 | 본사 |
6 | 불설아미타경언해(佛說阿彌陀經諺解) | 1 | 구마라습역(鳩摩羅什譯), 지의주석(智顗註釋), 세조역해(世祖譯解) | 1464 | 본사 |
7 | 대방광원각수다라료료의경언해(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諺解) | 10 | 종밀소초(宗密所抄), 세조구결(世祖口訣) | 1465 | 본사 |
8 | 목우자수심결언해(牧牛子修心訣諺解) | 1 | 지눌찬(知訥撰), 비현각결(丕顯閣訣), 신미역(信眉譯) | 1467 | 본사 |
9 | 법어언해(法語諺解) | 1 | 신미역(信眉譯) | 1467 | 본사 |
10 | 몽산화상법어약록(蒙山和尙法語略錄) | 1 | 신미역(信眉譯) | 1467 | 본사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간경도감(刊經都監))]의의와 평가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간경도감(刊經都監))]
'고전문학 > 훈민정음 악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훈민정음 동국정운/정광, 한글 이야기 1-12회/신미대사, 한글창제 주역 (0) | 2022.09.13 |
---|---|
훈민정음과 불교 : 33쪽>33天, 서문 한문54자, 언해문108자>108번뇌 (0) | 2022.09.12 |
世宗御製訓民正音(세종어제훈민정음), 訓民正音解例(해례) (0) | 2022.08.30 |
한말연구회,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 (0) | 2022.08.30 |
정광, 소리글자 - 6회 산스크리트어, 7회 파스파 문자의 영향外 (0) | 2022.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