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z4W3B0EUZ68
https://www.youtube.com/watch?v=0ntn3Q28BD4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가자 가자 피안으로 가자. 피안으로 완전히 건너 가, 개달음에 뿌리를 내리자.)
*위 주문(呪文)의 산스크리트어 원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본토말 : 가떼 가떼 빠라가떼 빠라상가떼 보디 스와하
가테 가테 파라가테 파라상가테 보디 스와하 <=== 억양을 부드럽게 했을 때
(한자 음역)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揭諦揭諦 波羅揭諦 波羅僧揭諦, 菩提 娑婆訶)
한국어 :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영 어 : Gate Gate paragate parasamgate bodhi svaha
해 석 :
Gate Gate
paragate
parasamgate
bodhi svaha
가자. 가자.
피안으로 건너가자.
피안으로 완전히 건너가자.
깨달음에 뿌리를 내려 주소서.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12912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4750
화암사(禾巖寺)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아래와 같이 출처를 표시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encykorea.aks.ac.kr), 한국학중앙연구원
encykorea.aks.ac.kr
강원도 고산군 토성면 설악산(雪嶽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진표가 창건한 사찰.
*주련에 대한 자세한 풀이는 하단에 있음
圓覺山中生一樹 *圓覺은 부처님의 깨달음
원각산중생일수, 원각산에 자라는 한 그루 나무
開花天地未分前
개화천지미분전, 하늘 땅 나눠지기 전에 꽃이 피었네
非靑非白赤非黑
비청비백적비묵, 푸르지도 희고 붉지도 검지도 않아
不在春風不在天
부재춘풍부재천, 봄바람 안 불어도 계절 없이 피어 있네
一切唯心造(일체유심조) 가 바른표기
知心生故種法生
(지심생고종법생) 마음이 생기면, 만물의 갖가지 현상이 일어나고,
心滅故龕墳不二
(심멸고감분불이) 마음이 멸하면, 무덤 해골물이 둘이 아님을 깨달았네.
– 원효대사 오도송(悟道頌)–
https://kydong77.tistory.com/21702
한국 역대 선사의 오도송(悟道頌)/ 붓다 열반송, '自燈明 法燈明'
男兒到處是故 (남아도처시고) 남아란 어드메나 고향인 것을 鄕幾人長在客 (향기인장재객) 그 몇 사람 객수 속에 길이 갇혔나 愁中一聲喝破 (수중일성갈파) 한마디 큰소리 질러 삼천대천세계 뒤
kydong77.tistory.com
https://www.youtube.com/watch?v=WOiakXpVCLo
화암사 대웅전의 주련 풀이
청남 권영한 홈페이지입니다
[일반 ] 禪詩(선시) 圓覺山中生一樹 (원각산중생일수) 청남 禪詩(선시) 圓覺山中生一樹 (원각산중생일수) 圓覺山中生一樹원각산중생일수 開花天地未分前개화천지미분전 <0281> 非靑非白亦非黑
www.andongkwon.pe.kr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3219
주련(柱聯)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아래와 같이 출처를 표시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encykorea.aks.ac.kr), 한국학중앙연구원
encykorea.aks.ac.kr
https://kydong77.tistory.com/20779
七佛通戒偈 - 諸惡莫作 衆善奉行 自淨其意 是諸佛敎/ 七佛 傳法偈
불교의 교의는 무었인가? 한 마디로 요약하면 마음을 청정히 하여 선악을 구분하여 항시 국리민복을 위한 삶을 선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아래의 七佛 傳法偈가 대변한다. 칠불통계게(
kydong77.tistory.com
諸惡莫作 衆善奉行 自淨其意
제악막작 중선봉행 자정기의
모든 악을 저지르지 말고, 모든 선을 행해 스스로 마음을 깨끗하게 하라.
是諸佛敎
시제불교
이것이 모든 부처님들의 가르침이다.
* 諸佛(모든 부처님 - 七佛)
경전에 의하면 석가모니 부처님 이전에 이미 여섯 명의 부처님이 이 세상에 출현했다.
첫 번째 부처님은 비바시불,
두 번째는 시기불,
세 번째는 비사부불,
네 번째는 구류손불,
다섯 번째는 구나함모니불,
여섯 번째가 가섭불이고
석가모니불이 일곱 번째다.
이 일곱 부처님을 총칭해 ‘과거칠불’이라고 하는데 칠불통계게는 과거칠불의 공통적인 가르침이다.
칠불통계게는 문헌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는데, 가섭불의 게송이라는 게 일반적이다.
경주 남산 칠불암 [3존불 + 4면석불]
https://www.youtube.com/watch?v=9Zf0jsSFDQo
https://www.youtube.com/watch?v=PrbF_AKByPg
'불교 불경 > 사찰 연등 유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해 보리암(菩提庵)/ 양양 낙산사, 강화 보문사와 한국 3대관음성지 (0) | 2023.03.31 |
---|---|
구례 화엄사 각황전 홍매 & 적멸보궁(寂滅寶宮) (0) | 2023.03.30 |
호암산 호압사(虎壓寺)/ 시흥역 호암산 - 관악산 일주문 코스 등반 (0) | 2022.10.24 |
함양6경, 지리산 서암정사(瑞巖精舍) / Angel's Trumpet (0) | 2022.10.03 |
終南山 彌陀寺(미타사) 극락전(極樂殿)·독성전(獨聖殿)/성동구옥수동 (0) | 2022.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