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 근세에 이현욱(李顯郁)이라는 이가 있어 시마(詩魔)에 걸렸는데 아계(鵝溪) [이산해(李山海)의 호] 상공(相公)은 그런 줄도 모르고 굉장히 칭찬을 하였다.

이익지(李益之:이달)가 어느 날 상공을 뵈러 가니 상공은 현욱(顯郁)의 시를 보여주며 그에게 고하(高下)를 품평케 하였다.

그러자 이익지는,

步復無徐亦不忙 보복무서역불망

東西南北遍春光 동서남북편춘광

봄이 오는 걸음걸인 느릴 것도 없고 서두는 것도 아닌데

봄빛은 동서남북으로 고루 비치네

라는 구절을 들어,

“이것은 정말 문장가의 말투입니다. 우리나라 서ㆍ이(徐李) 같은 분도 일찍이 이런 말은 못했습니다. 게다가 이 사람은 나이도 어리니 필경 시마(詩魔)가 붙은 것입니다.”

하였지만, 상공은 그렇게 여기질 않았으나 얼마 있다가 보니 과연 그러하였다.

그가 허영주(許郢州)에게 차운한 시에

春山路僻問歸樵 춘산로벽문귀초

爲指前峯石逕遙 위지전봉석경요

僧與白雲還暝壑 승여백운환명학

月隨滄海上寒潮 월수창해상한조

世情老去渾無賴 세정노거혼무뢰

遊興年來獨未銷 유흥년래독미소

回首孤航又陳迹 회수고항우진적

疏鐘隔渚夜迢迢 소종격저야초초

봄 산길 외져 돌아가는 나무꾼에게 물으니

손가락으로 앞산 돌길을 가리키네

중도 백운도 어두운 골짜기로 돌아간 뒤

달은 푸른 바다 찬 밀물을 따라 오르네

세상살이 늙을수록 도무지 믿을 수 없는데

유흥만은 요즘에도 삭을 줄 모르누나

둘러보니 외로운 배 벌써 자취 아득한데

물 건너 드문 종소리만 한밤에 은은해라

라 하였고,

이익지에게 차운한 시는 다음과 같다.

風驅驚雁落平沙 풍구경안락평사

水態山光薄暮多 수태산광박모다

欲使龍眠移畫裏 욕사용면이화리

其如漁艇笛聲何 기여어정적성하

바람에 휘몰려 놀란 기러긴 편편한 모래밭에 내려앉고

물맵시 산빛엔 어스름 빛 자욱해라

용면(龍眠)시켜 이 경치 그림폭에 옮기려 하는데

고깃배의 젓대소린 이를 어쩐다지

말들이 모두 속기가 없고 격이 또한 노숙하다. 시마(詩魔)가 떠난 뒤로는 일자무식이 되어 마치 추매(椎埋)처럼 되어버렸다.

아계(鵝溪) 이산해(李山海)의 자는 여수(汝受)이고 한산인(韓山人)인데 벼슬은 영의정에 이르렀다.

'한문학 > 학산초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정 & 허성 /학산초담 61  (0) 2010.03.23
정용 /학산초담 60  (0) 2010.03.23
한호 /학산초담 58  (0) 2010.03.20
이주 / 학산초담 57  (0) 2010.03.20
이달(李達) / 학산초담 56  (0) 2010.03.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