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최경창(崔慶昌)의 자는 가운(嘉運)이니 융경(隆慶 명 목종(明穆宗)의 연호) 무진년(1568, 선조1)에 진사(進士)를 하고 여러 벼슬을 거쳐 종성 부사(鍾城府使)가 되었는데, 어떤 일로 강등(降等)되었다가 국자 직강(國子直講)을 제수받고는 세상을 떠났다.

언젠가 북경(北京)에 가 조천궁(朝天宮)에서 시를 다음과 같이 지었다.

午夜瑤壇埽白雲 오야요단소백운

焚香遙禮玉宸君 분향요례옥신군

月中拜影無人見 월중배영무인견

琪樹千重鎖殿門 기수천중쇄전문

한밤이라 구슬단에 백운을 쓸고

향 피우고 멀리 옥신군에게 절한다

달 아래 절하는 모습 보는 이 없고

아름다운 나무만 겹겹이 궁문 가리웠네

또,

三淸露氣濕珠宮 삼청로기습주궁

鳳管裵廻月在空 봉관배회월재공

苑路至今香輦絶 원로지금향련절

碧桃紅杏自春風 벽도홍행자춘풍

삼청의 이슬기운 주궁을 적시고

봉피리 부는 신선 달밤에 배회했건만

동산길에 지금은 향기로운 수레 끊기고

푸른 복사 붉은 살구 봄바람 한창일세

하였다.

어떤 도사(道士)가 있었는데 성은 진씨(秦氏)이고 이름은 지금 기억에 없다. 그 또한 시를 잘 지었다. 이 시를 크게 칭찬하여 통주(通州) 하청관(河淸觀)까지 쫓아와 그 책에 제(題)해주기를 청하였는데 시를 다음과 같이 지었다.

碧宇標眞界 벽우표진계

玄壇近太淸 현단근태청

鸞棲珠圃樹 란서주포수

霞繞紫微城 하요자미성

寶籙三元秘 보록삼원비

金丹九轉成 금단구전성

芝車人不見 지차인불견

空外有簫聲 공외유소성

벽우는 진계를 상징하고

현단은 태청과 가깝네

난새는 주포수에 깃들고

노을은 자미성을 감돌았네

삼원의 보록은 비장되어 있고

금단은 구전으로 이루어졌네

난초수레탄 사람 보이지 않고

공중 저 밖에 피리 소리만

이 시가 중국에 전파되어 왕봉주(王鳳洲)[명(明) 왕세정(王世貞)의 호] 선생이 대단히 칭찬하였다.

충장공(忠壯公) 양조(楊照)의 무덤에 지은 시는 다음과 같다.

日沒雲中火照山 일몰운중화조산

單于已近鹿頭關 단우이근록두관

將軍獨領千人去 장군독령천인거

夜渡遼河戰未還 야도료하전미환

운중에 해 지자 불빛이 산을 비치니

선우는 이미 녹두관에 다가왔네

장군이 홀로 천 명을 거느리고 나아가서

한밤에 요하 건너 싸우다 돌아오지 않았구려

이 시는 당인(唐人)의 수준에 못지 않으니 중원(中原)에서 사랑을 받는 것이 당연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