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최경창(崔慶昌)ㆍ백광훈(白光勳)ㆍ이달(李達) 3인의 시는 모두 정시(正始)의 법을 본받았는데, 최씨의 청경(淸勁)과 백씨의 고담(枯淡)은 귀히 여길 만하나, 기력(氣力)이 미치지 못하여 다소 후한 결점이 있었다.

이달의 부염(富艶)함은 그 두 사람에 비하면 범위가 약간 크긴 하나, 모두 맹교(孟郊)와 가도(賈島)의 테두리를 벗어나지는 못했다.

최경창ㆍ백광훈은 일찍 죽었고, 이달은 늙어서야 문장이 크게 진보하여 자기 나름대로 일가를 이루어, 그 기려(綺麗)를 거두고 평실(平實)로 돌아갔다.

나의 중형이 자주 칭찬하기를,

“수주(隨州: 당(唐)의 유장경(劉長卿)을 가리킴)와 어깨를 겨룬다고 하더라도 큰 손색이 없을 것이다.” 하므로

내가,

“문장이란 세상의 흥망을 따르는 것이니 송(宋)은 당(唐)만 못하고 원(元)은 송만 못한 것은 형세상 어쩔 수 없는데, 어찌 이대(二代)를 뛰어넘어 당시의 작가와 우열을 다툴 이치가 있겠습니까.” 하였다.

중씨는,

“한퇴지(韓退之)는 당 나라 사람인데 유자후(柳子厚)가 ‘곧장 자장(子長: 사마천(司馬遷)의 자)과 함께 달린다.’고 하였으니, 자후가 어찌 헛말을 할 사람인가? 이달도 또한 이와 같으니라.”

하였다.

그러나 나는 끝내 그렇게 여기지를 않았다.

5.

나의 중형의 시가 처음에는 동파(東坡)를 배워서 전아(典雅) 순실(純實)하고 온건(穩健) 노숙(老熟)하더니, 호당(湖堂)에 뽑히자 《당시품휘(唐詩品彙)》를 익히 읽어 시가 비로소 청건(淸健)해졌다.

늙마에 갑산(甲山)으로 귀양 갈 때, 이백시(李白詩) 한 부를 가지고 갔었기 때문에, 귀양이 풀려 돌아온 뒤의 시는 천선(天仙) 이백(李白)의 말을 깊이 체득하여 장편이고 단편이고 휘몰아치는 기세여서,

일찍이 이익지[이달]가 말하기를,

“미숙 학사(美叔學士, 미숙은 허봉의 자)의 시를 읽으면 공중에 흩날리는 꽃을 보는 것 같다.”

하더니,

중씨가 불행히 일찍 죽어 원대한 포부를 제대로 펴보지 못했고, 남긴 글마저 흩어져 미처 수습하지도 못했는데, 임진왜란에 찾아낼 겨를도 없이 다 병화(兵火)에 타버렸으니 죽어도 잊지 못할 슬픔이 어찌 끝이 있겠느냐.

내가 경호(鏡湖, 강릉(江陵)의 별칭)에 살 때, 놀라움이 우선 가라앉자, 일찍이 외던 것을 생각해 내어 보니 겨우 5백여 편이라, 베껴서 세상에 전하여 사라지지 않도록 기대하고자 한다. 그러나 다만 태산(泰山)의 일호(一毫)일 뿐이다.

'한문학 > 학산초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광훈 / 학산초담 07  (0) 2010.02.08
최경창 / 학산초담 06  (0) 2010.02.08
조선시대 한시의 흐름 / 학샅초담 03  (0) 2010.02.07
광해군의 시 / 학산초담02  (0) 2010.02.07
선조의 시 / 학산초담 01  (0) 2010.02.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