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naver.com/osj1952/100008947199

엄처사전(嚴處士傳)-허균(許筠)


嚴處士名忠貞(엄처사명충정) : 엄 처사(嚴處士)는 이름이 충정(忠貞),

江陵人也(강릉인야) : 강릉(江陵) 사람이었다.

父早卒(부조졸) : 아버지가 일찍 돌아가시고

家甚貧(가심빈) : 집안이 무척 가난하여

躬薪水自給(궁신수자급) : 몸소 땔감과 먹을 것을 마련하였다.

養其母極孝(양기모극효) : 그 어머니를 봉양하는 데 효성을 다하여

晨夕不離側(신석불리측) : 새벽이나 저녁에는 곁에서 떠나지도 않았다.

母稍恙則不解帶寢(모초양칙불해대침) : 어머니가 조금만 편찮으면 마음 편하게 잠자리에 들지도 않으며,

手調膳以進(수조선이진) : 손수 음식을 만들어 드시게 하였다.

母嗜山雀(모기산작) : 어머니가 비둘기 고기를 즐겨하자,

結網膠竿(결망교간) : 그물을 짜고 간대에 갖풀을 붙여서라도

必獲以供之(필획이공지) : 기필코 잡아다가 대접하였다


其母勸令學取第(기모권령학취제) : 그 어머니가 글을 배워 과거를 보도록 타이르자,

益孜孜着力於問學(익자자착력어문학) : 더욱 열심히 글을 배우는 데에 힘을 기울였다.

爲詩賦甚古(위시부심고) : 시부(詩賦)를 아주 아건(雅健)하게 지어 내서

屢擢鄕解(루탁향해) : 여러번 향시(鄕試)에 뽑혔고,

得司馬以榮之(득사마이영지) :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여 어머니를 기쁘게 하였다.


於書無所不通(어서무소불통) : 책이라면 통하지 않은 것이 없었으나,

而尤遂於易中庸(이우수어역중용) : 유독《주역(周易)》과《중용(中庸)》에 깊이 파고들어

理致超詣(리치초예) : 이치에 높고 멀리 나아가,

所著文墨(소저문묵) : 저술한 글들이

與河洛相契(여하락상계) : 하도낙서와 서로 부합되는 경지였다.

母病殆(모병태) : 어머니 병환이 위독하여

以身禱於天(이신도어천) : 자기를 데려가고 어머니 살려 주기를 하늘에 기도했지만,

不獲祜(불획호) : 회생하지 못하자

水漿不御數旬(수장불어수순) : 여러날 동안 물도 마시지 않아

杖而起(장이기) : 지팡이를 짚어야 일어날 정도였다.

三年廬啜粥(삼년려철죽) : 3년간 여묘(廬墓) 살이에도 죽만 마셨다.


制訖(제흘) : 복제(服制)를 마치자,

朋友勸應擧(붕우권응거) : 벗들이 과거에 응하기를 권했다.

處士泣曰(처사읍왈) : 처사(處士)는 울면서. 이르기를

吾爲老母也(오위로모야) : "나는 늙은 어머니를 위해서 과거보려 하였다.

今奚赴爲(금해부위) : 이제 왜 과거를 보아

身榮而母不享(신영이모불향) : 내 몸만 영화롭게 하고 어머니는 누릴 수 없게 하랴.

吾不忍是(오불인시) : 나는 차마 그럴 수는 없다."하면서

悲咽不止(비인불지) :목메인 울음을 그치지 않으니,

人莫敢更言(인막감경언) : 남들이 감히 다시는 말하지 못하였다.


晩年移居羽溪縣(만년이거우계현) : 만년(晩年)에 우계현으로 이사와 살며

擇山水幽絶處(택산수유절처) : 산수(山水)가 유절(幽絶)한 곳을 택하여

構茆舍(구묘사) : 띠집[茆舍]을 짓고,

若將終身焉(약장종신언) :거기서 일생을 마치려 하였다.

窮乏不自聊(궁핍불자료) : 궁핍하여 제 몸을 의탁하지 못했으나

晏如也(안여야) : 마음만은 편안하게 살았다.


爲人和粹夷曠(위인화수이광) : 사람됨이 화평하고 순수하며, 평탄하고 툭 트여

不與人忤(불여인오) : 남들과 거슬리지 않았다.

恒居肫肫如也(항거순순여야) : 평상시에는 공손하고 지성스러웠으나

及至鄕評臧否(급지향평장부) : 고을에서의 잘잘못을 평하거나,

辭受取與之間(사수취여지간) : 사양하고 받으며 취하고 주어야 할 것들에 있어서는

截然不可犯(절연불가범) : 확고부동하여 범할 수가 없었고,

一切以義裁之(일절이의재지) : 일체를 의(義)로만 재단하자

鄕人皆受而敬之(향인개수이경지) : 고을 사람들이 모두 사랑하고 공경하였다.


訓誨後進(훈회후진) : 제자들을 교육시킬 때도

必以忠孝爲先(필이충효위선) : 반드시 충효(忠孝)를 첫째로 하고

以其紛誶名利(이기분수명리) : 화려한 명리(名利) 따위야 완전히 벗어난 듯

則泊然不一出諸口(칙박연불일출제구) : 한마디도 말한 적이 없었다.


讀史至成敗治亂君子小人之辨(독사지성패치란군자소인지변) : 사서(史書)를 읽으며 성패(成敗)ㆍ치란(治亂)ㆍ군자(君子)ㆍ소인(小人)을 구별함에 이르러서는,

必慷慨論折(필강개론절) : 언제나 강개하여 명확히 판단하고

亹亹可聽(미미가청) : 막힘이 없어 들을 만하였다.

於武穆文山之死(어무목문산지사) : 두목이나 문산이 죽어간 대목에 있어서는

則輒掩卷流涕(칙첩엄권류체) : 별안간 책을 덮고 눈물을 흘리기도 하였다.


爲文簡切有致(위문간절유치) : 문장은 간결하고 절실하여 운치가 있었고,

而詩亦壯麗(이시역장려) : 시도 역시 장려(壯麗)하게 지어 냈다.

所傳誦者百餘篇(소전송자백여편) : 그래서 전해지고 외어지던 것들이 1백여 편이었는데,

皆合作家(개합작가) : 모두 시작(詩作)의 규범에 합치되었으나

處士不屑爲也(처사불설위야) : 처사 자신은 탐탁하게 여기지 않았었다.

朝廷聞而嘉之(조정문이가지) : 조정(朝廷)에서도 듣고, 가상히 여겨

再授齋郞(재수재랑) : 두 번이나 재랑을 제수(除授)했으나

終不赴焉(종불부언) : 끝내 부임하지 않고 말았다.


年七十八(년칠십팔) : 향년(享年) 78세였다.

將終之日(장종지일) : 생을 마치려던 무렵에

招所嘗往還者數人(초소상왕환자수인) : 오래 전부터 출입하던 몇 사람과

學者十餘人(학자십여인) : 학자 10여 명을 초대하였다.

設酒肴以飮之(설주효이음지) : 주안상을 차려 대접하고는

因言身後當葬先隴(인언신후당장선롱) : 이어서 자기 죽은 뒤의 일을 말했으니, 반드시 선산에다 장사지내 주고

而托其幼孫(이탁기유손) : 그의 어린 손자를 부탁한다는 것이었다.

以所玩圖書(이소완도서) : 아끼던 도서(圖書)들을

散給門人(산급문인) : 문인(門人)들에게 나누어 주고는

端坐穆然而逝(단좌목연이서) : 단정히 앉아 조용히 서거하였다.

閭巷爭來哭之(려항쟁래곡지) : 마을 사람들이 몰려와서 그의 죽음을 슬퍼하였고,

士夫識與不識(사부식여불식) : 평소에 알지 못하던 선비들까지도

皆相弔于家(개상조우가) : 모두 와서 조상(弔喪)해 주었다.

遺文散失(유문산실) : 유문(遺文)은 흩어지고 잃어버려

不克集也(불극집야) : 모아놓지를 못했다.


外史氏曰(외사씨왈) : 외사씨(外史氏)는 논한다.

處士孝於家廉於鄕(처사효어가렴어향) : 처사(處士)는 가정에서 효도를 다했고 고을에서 절도 있는 행실을 하였으니,

固當得位(고당득위) : 분명히 높은 지위에 오를 수 있었다.


而以母死不賓于王(이이모사불빈우왕) : 그러나 어머니가 돌아가셨다는 이유 때문에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卒窮以終(졸궁이종) : 끝까지 궁하게 살다가 세상을 마쳐

其才不少售(기재불소수) : 그의 훌륭한 재능이 조금도 쓰이질 못했으니,

惜哉(석재) : 애석하도다.


巖穴間有士如(암혈간유사여차) : 선비들이 묻혀 사는 암혈(巖穴)에는 이분처럼

名湮沒而不傳者(명인몰이불전자) : 이름이 인몰(湮沒)하여 전해지지 않는 선비들로는

非獨處士(비독처사) : 처사 한 사람만이 아니어서,

悲夫(비부) : 더욱 슬퍼진다



'한문학 > 허균, 성수시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균 / 성수시화인  (2) 2010.01.21
허균, 장산인전(張山人傳)  (0) 2008.08.03
남궁선생전(南宮先生傳)-허균  (0) 2008.08.03
홍길동전 [洪吉童傳] -허균  (0) 2008.08.02
장생전(蔣生傳)-허균  (0) 2008.08.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