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레이크 없는 임제의 거침없는 사랑
*임제 [林悌, 1549~1587]
본관 나주. 자 자순(子順). 호 백호(白湖)·겸재(謙齋). 39세 사망.
저서에 《화사(花史)》 《수성지(愁城誌)》 《임백호집(林白湖集)》 《부벽루상영록(浮碧樓觴詠錄)》이 있다.
<황진이 추도시로 파직당하다>
청초(靑草) 우거진 골에 자난다 누엇난다
홍안(紅顔)을 어듸 두고 백골(白骨)만 무쳣난이
잔(盞) 자바 권(勸)하리 업스니 그를 슬허하노라.
35세 때 평안도사(종6품)로 부임하러 가는 길에 송도(지금의 개성)의황진이 묘에 들러 관복을 입은 채로 술잔을 올리고 제를 지내며 위의 추도시를 읊었다하여, 부임지에 가 보니 조정으로부터 파직통보가 먼저 도착해 있었다.
'청초(靑草)', '홍안(紅顔)', '백골(白骨)'의 색채 대비가 돋보인다.
<한우와의 철부지 사랑>
http://blog.naver.com/moony828/50033232121
사랑도, 세상도, 인생도 뜬 구름 같다며 뜬 구름 같이 한 세상을 살며 뜨거운 가슴의 여인 한우가 붙잡는 옷소매를 뿌리친 백호 임제 선생.
불같이 뜨거운 사랑과 일편단심으로 풀 섶의 바람처럼 스쳐간 짧은 한 순간의 사랑을 간직한 채 님이 돌아오기를 간절히 기다리다 일생을 마친 한우.
이들이 화답했던 유명한 시조 중 임제의 <한우가>부터 소개한다.
북천이 맑다커늘 우장 없이 길을 나니
산에는 눈이 오고 들에는 찬비로다
오늘은 찬비 맞았으니 얼어 잘까 하노라
당대의 풍류남아인 백호 임제(林悌)가 길을 나며 북쪽하늘이 맑음은 곧 날씨가 좋을 거라 예측하고 아무런 준비도 없이 비를 맞았으니 얼어 잘 수 밖에 없다는 말로 측은지심을 유발시키는 희극이 가볍지만은 않다.
기생 이름인 한우(寒雨)의 순수한 우리말은 곧 ‘찬비’가 되며, 찬비 맞았으니 얼어 자게 되었다는 임제의 재치에 한우는 이렇게 화답했다.
어이 얼어 자리 무슨 일로 얼어 자리
원앙침 비취금을 어디 두고 얼어 자리
오늘은 찬비 맞았으니 녹여 잘까 하여라
찬비 맞았으니 마땅히 언 몸을 녹여 자야지요, 하고 임제의 꽁꽁 언 손을 자기의 고운 손으로 감싸 쥐고 뜨거운 가슴에 묻게 하는 기생 한우의 다정다감한 모습은 우리의 숨결을 일 순 멈추게 한다.
비록 이름은 찬비이지만 실제로는 뜨거운 가슴을 지녔기에 아무리 꽁꽁 언 몸이라도 포근히 녹일 수 있다는 기생 한우의 풍류와 사랑은 그 뜨거움 속에 맴도는 그 절절함과 아련함의 정성에 우리를 눈뜨게 한다.
'한문학 > 허균, 성수시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균, 호민론(豪民論) (0) | 2008.08.02 |
---|---|
시대의 아침을 연 영원한 자유인 허균 (1) | 2008.08.02 |
손곡산인전(蓀谷山人傳) -허균 (0) | 2008.08.02 |
三唐派詩人 -孤竹 최경창 (1) | 2008.08.02 |
최경창과 홍랑의 목숨 건 사랑 (0) | 2008.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