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도천수관음가

 

禱千手觀音歌

분황사 천수대비 맹아득안

芬皇寺 千手大悲 盲兒得眼

 

 

景德王代 漢歧里女希明之兒

경덕왕 때에 한기리에 희명이란 여자 아이가 살았다.

生五稔而忽盲.

그녀는 태어난 지 5년 만에 문득 눈이 멀었다.

一日其母抱兒詣芬皇寺左殿北壁畵千手大悲前.

어느 날 그 어머니는 이 아이를 안고 분황사 좌전 북쪽 벽에 그린 천수관음 앞에 나아가

令兒作歌 禱之.

노래를 지어 아이애게 기도하게 했더니,

遂得明.

드디어 광명을 얻었다.

其詞曰,

 

膝 -肹-古-召-旀

二-尸-掌-音-毛-乎-攴-內-良

千手觀音-叱-前-良-肹

祈-以-攴-白-屋-尸-置-內-乎-多

千-隱-手-叱-千-隱-目-肹

一 -等-下-叱-放 -一 -等-肹-除-惡-攴

二-于-萬-隱-吾-羅

一 -等-沙-隱 -賜-以-古-只-內-乎-叱-等-邪

阿-邪-也, 吾-良-遺 -知-攴 -賜-尸-等-焉

放 -冬-矣-用-屋-尸-慈悲-也-根-古

 

무루플 고조며

둘손ㅅ바당 모호누아

千手觀音ㅅ 前아

비살발 두누오다

즈믄손ㅅ 즈믄눈흘

하단할 노하 하단할 더압디

둘 업는 내라

하단사 그스시 고티누옷다라

아으으, 나애 기티샬단

노태 쑬 慈悲여 큰고

비옵니다

 



 

무릎을 세우며

두 손을 모아

천수관음 앞에

천 손의 천 눈을

하나를 내놓고 하나를 덜겠사옵기에

둘 다 없는 이 내 몸이라

하나야 그윽히 고치올러라.

아, 내게 주시오면

두루두루 쓰올 자비 얼마나 큰고!

 

讚曰,

竹馬葱苼戱陌塵 대나무 말 타고 파피리 불며 거리에 놀더니

一朝雙碧失瞳人 뜻밖에 두 눈의 총기 잃은 아이.

不因大士廻慈眼 천수대비 자비로운 눈 돌려주지 않았던들

虛度楊花幾社春 그 몇 봄이나 버들꽃을 못 보고 지냈을고.

 

 

◇禱千手觀音歌 해설

󰋬경덕왕(재위 742-765) 한기리의 希明이 분황사의 관음보살 탱화에 기도하여 눈먼 五歲兒의 광명을 회복함.

 

 



[은자주]삼국유사 소재 향가 14수 중 <모죽지랑가>와 <도천수관음가>를 끝으로 유사 소재 향가 부분 고찰을 마치려 한다. 전자는 죽지랑이 남의 농장 부역에 매인 몸인 걸 보면 삼국통일 후 50년이 지나면서 화랑의 역할이 감소한 화랑쇠퇴기의 작품으로 보인다. 악덕 고용주 익선에 대한 징계는 타당하나 모량리 출신 전체에 연좌죄를 적용하여 나쁜 선례를 남겼다.

<도천수관음가>는 눈먼 5세 아이에게 향가를 부르게 하여 눈뜬 설화를 배경으로 한다. 향가 주술성의 위력이 아직도 건재함을 보여준다. 작자는 희명(希明)이다.

 

참고로 지적해 둘 것은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인명이 시호처럼 그의 행적과 일치한다. 표훈, 충담, 월명, 융천사... 행적을 남긴 후 이름임이 자명하다.

 

1.모죽지랑가

慕竹旨郞歌 -득오실

孝昭王代 竹旨郞

 

◇孝昭王代 竹旨郞(亦作竹曼 亦名智官)

第三十二代孝昭王代 竹曼郞之徒有得烏(一云谷)級干.

제32대 효소왕대에 죽만랑(죽지랑)이라는 무리 가운데에 득오(득곡)급간이 있었다.

隸名於風流黃卷. 追日仕進 隔旬日不見.

풍류황권에 이름을 올려놓고 날마다 사진(仕進)하더니 순일(旬日)동안 보이지를 아니하였다.

郞喚其母 問“爾子何在?”

죽만랑이 그의 어머니를 불러 물었다.,

"그대의 아들은 어디에 있는가?"

母曰“幢典牟梁益宣阿干 以我子差富山城倉直 馳去行急 未暇告辭於郞.”

어머니가 대답하였다.

"당진 모량부의 익선아간이 내 아들을 부산성의 창직(倉直)으로 임명을 하였습니다. 빨리 가느라고 미쳐 인사를 못하였을 것입니다."

郞曰“汝子若私事適彼 則不須尋訪. 今以公事進去 須歸享矣.”

죽만랑이 말하였다.

"그대의 아들이 사사로이 그 곳에 갔다면 찾아볼 필요도 없지만, 공사로 갔다니 마땅히 찾아가서 대접을 해야겠소."

乃以舌餠一合酒一缸 卒左人(鄕云皆叱知 言奴僕也)而行.

이에 설병(舌餠) 한 그릇과 술 한 병을 가지고 좌인(우리말에 개질지라고 하니 곧 노복을 말함이다.)을 거느리고 가니

郞徒百三十七人 亦具儀侍從

낭의 무리 백 삼십 칠인이 예의를 갖추고 따랐다.

到富山城. 問閽人

부산성에 도착하여 문지기에게 물었다.

“得烏失奚在?”

"득오실이 어디에 있느냐?"

人曰“今在益宣田 隨例赴役.”

문지기가 대답하였다.

"지금 익선의 밭에서 예에 따라 부역을 하고 있습니다."

 

郞歸田 以所將酒餠饗之.

낭이 밭으로 찾아가서 가지고 간 술과 떡을 배불리 먹이고

請暇於益宣 將欲偕還. 益宣固禁不許.

익선에게 휴가를 청하여 함께 돌아가고자 하였으나, 익선은 허락을 하지 아니하였다.

時有使侃珍管收推火郡 能節租三十石 輸送城中.

그때 사리(使吏)간진이 추화군 능절의 조(租) 30석을 거두어 성중으로 수송하다가

美郞之重士風味 鄙益宣暗塞不通

낭이 선비를 중히 여기는 풍미를 아름답게 여기고, 익선의 변통성 없음을 비루하게 여겨,

乃以所領三十石 贈益宣助請 猶不許.

가지고 가던 조 30석을 익선에게 주고 득오실을 보내주도록 청하였다. 그래도 허락을 하지 않았다.

又以珍節舍知騎馬鞍具貽之. 乃許.

또 진절 사지의 말안장을 주니 그 때야 비로소 허락을 하였다.

朝廷花主聞之 遣使取益宣 將洗浴其垢醜

조정의 화주가 이 말을 듣고 사자를 보내어 익선을 잡아다가 그 추하고 더러움을 씻어주려고 하니

宣逃隱. 掠其長子而去.

익선이 도망하여 숨었으므로 대신 그의 장자를 잡아갔다.

時仲冬極寒之日 浴洗於城內池中 仍合凍死.

때는 엄동의 몹시 차가운 날이었으므로 성내의 연못에서 목욕을 시켰는데 이내 얼어죽었다.

大王聞之 勅牟梁里人從官者 竝合黜遣

대왕이 이를 듣고 명하기를, 모량리 사람으로 벼슬을 한 사람은 모두 쫓아보내어

更不接公署 不著黑衣

다시는 관에 나오지 못하게 하고 검은 못을 입게 하였으며

若爲僧者 不合入鐘鼓寺中.

만약 중이 된 사람이라 할지라도 절에는 들어가지 못하게 하였다.

勅史上偘珍(註,使侃珍)子孫爲枰定戶孫 標異之.

칙사가 간진의 자손을 올려서 평정호손으로 삼고 특별히 표창하였다.

時园測法師是海東高德 以牟梁里人 故不授僧職.

이 때 원측법사가 해동의 고승이었으나 모량리 사람인 까닭으로 승직을 주지 않았다.

初述宗公爲朔州部督使 將歸理所.

처음에 술종공(죽지랑의 아버지)이 삭주도독사가 되어 그의 임지로 부임하러 가려하는데,

時三韓兵亂 以騎兵三千護送之.

이때에 삼한(三韓)의 병란이 있었으므로 기병 삼천명으로 그를 호송하게 하였다.

行至竹旨嶺 有一居士 平理其嶺路.

행렬이 죽지령에 이르자 한 거사가 길을 잘 닦고 있었다.

公見之歎美. 居士亦善公之威勢赫甚 相感於心.

공이 그것을 보고 매우 탄미하자 거사 또한 공의 위세가 매우 놀라운 것을 보고 존대하게 되어 서로가 마음으로 존경하게 되었다.

公赴州理 隔一朔

공이 고을의 임소에 부임한 지 한 달이 되었다.

夢見居士入于房中

꿈에 거사가 방에 들어오는 것을 보았다.

室家同夢 驚怪尤甚.

아내도 같은 꿈을 꾸었으므로 더욱 놀라고 괴이하게 여겨

翌日使人問其居士安否.

다음날 사람을 보내어 그 거사의 안부를 물었다.

人曰“居士死有日矣.”

사람들이 말하였다.

"거사가 죽은지 며칠이 되었습니다."

使來還告其死 與夢同日矣.

사자가 돌아와서 그 사실을 고하니 그 날이 꿈꾸었던 날과 같은지라,

公曰“殆居士誕於吾家爾.”

공이 말하였다.

"아마 거사가 우리집에 태어날 것 같소"

更發卒修葬於嶺上北峯.

다시 군사를 보내어 고개 위 북쪽 봉우리에 장사를 지내게 하고

造石彌勒一軀 安於塚前.

돌로 미륵불 한 분을 새겨 무덤 앞에 세우게 하였다.

妻氏自夢之日有娠旣誕 因名竹旨.

공의 아내는 꿈을 꾼 날부터 태기가 있더니 아이를 낳았는데 이런 이유로 죽지라 이름지었다.

壯而出仕 與庾信公爲副帥 統三韓.

이 죽지랑이 커서 벼슬을 하게 되니 유신공을 따라 부수(副帥)가 되어 삼국을 통일하였다.

眞德․太宗․文武․神文四代爲冢宰 安定闕邦.

진덕, 태종, 문무, 신문의 4대에 걸쳐 재상이 되어 이 나라를 안정시켰다.

初得烏谷 慕郞而作歌曰,

처음에 득오곡이 낭을 사모하여 노래를 지어 부르니 다음과 같다.

 

去-隱-春-皆-理-米

毛-冬-居-叱-沙-哭-屋-尸-以-憂-音

阿-冬-音-乃-叱-好-支-賜-烏-隱

皃-史-年-數-就-音-墮 -支-行-齊

目-煙-廻-於-尸-七-史-伊-衣

逢-烏-支-惡-知-作-乎-下-是

郞-也-慕 -理-尸-心 -未 行-乎-尸-道-尸

蓬-次-叱-巷 -中-宿-尸-夜-音-有-叱-下-是

 

간봄 그리매/: 간 봄 그리워

모든것아 우리 시름/ : 모든 것이 서러이 시름하는데

아름 나토샤온/: 아름다움 나타내신

즈시 살쭘 디니져 얼굴에/ : 주름살이 지려 하옵니다.

눈 돌칠 사이에/ : 눈 돌이킬 사이에나마

맛보압디 지소리/: 만나뵙기를 어떻게 만드리.

郎이여,그릴마아매 녀올길/: 죽지랑이여, 그리는 마음의 가는 길

다봊마살애 잘밤 이시리./: 다북쑥 우거진 마을에 잘 밤 있으리까.



 

◇慕竹旨郞歌 해설

󰋬32대 효소왕(재위692-702)대 득오실[谷]

󰋬죽지랑보다 큰 세력을 지닌 益善은 권력을 이용해 탐욕을 채우는 지배층의 횡포를 보여줌. 문무왕 다음 다음 대인 효소왕 때는 통일달성기의 고매한 이상은 무너지고 지배층의 횡포가 자행되자 이에 항거하여 이 노래를 지음.

󰋬(3-4구)“전각을 밝히시온 모습 해 갈수록 헐어가도다”로 해석하기도.(김완진)

전각:정치 무대상징. 죽지랑이 편 국민통합의 이상정치는 사라짐.

󰋬(5구)눈 돌칠 : 눈앞의 잘못된 세태를 부정하는 말.

󰋬(10구)다봊마을[굴헝;구렁]: 작자가 겪고 있는 험한 시련.





'고전문학 > 향가 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부촌장 신화  (0) 2008.08.27
희명(希明), 도천수관음가(禱千手觀音歌)  (0) 2008.08.27
려요 처용가  (0) 2008.08.24
처용가 -처용  (1) 2008.08.24
혜성가 -융천사  (0) 2008.08.23

려요 <處容歌>

鶴,蓮花臺,處容舞 合設, 樂學軌範 권5.

[은자주] 재독 작곡가 고 윤이상이 작곡하여 공연한 <심청 오페라>에서 무대 중앙에 마련한 연꽃 속에서 심청이 출현할 때 관객들은 일제히 기립박수로 호응했다는 기사를 읽은 적이 있다. 독인의 지식인들은 불교에 대한 이해도 깊어 윤회 재생에 아무런 거부감 없이 그 기적의 무대와 음악에 경이감으로 반응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악학궤범의 이 대목에는 출연자들의 숫자와 무대의상 처용가면 그림까지 갖춰져 오페라 무대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1.[前腔] 新羅盛代 昭盛代

2. 天下太平 羅候德

3. 處容아바

4. 以是人生애 相不語하시란대

5. 以是人生애 相不語하시란대

6.[附葉] 三災八難이 一時消滅하샷다

7.[中葉] 어와, 아븨즈시여 處容아븨즈시여

8.[附葉] 滿頭揷花 계오(우)샤 기울어신 머리예

9.[小葉] 아으, 壽命長願(遠)하샤 넙거신 니마해

10.[後腔] 山象이슷깃어신 눈섭에

11. 愛人相見하샤 오살어신 누네

12.[附葉] 風入盈庭하샤 우글어신 귀예

13.[中葉] 紅桃花가티 븕거신 모야해

14.[附葉] 五香마타샤 웅긔어신 고해

15.[小葉] 아으, 千金머그샤 어위어신 이베

16.[大葉] 白玉琉璃가티 해여신 닛바래

17. 人讚福盛하샤 미나거신 턱애(터개)

18. 七寶 계우샤 숙거신 엇게예

19. 吉慶 계우샤 늘의어신 사맷길헤

20.[附葉] 설믜() 모도와 有德하신 가사매

21.[中葉] 福智俱足하샤 브르거신 배예

22. 紅鞓 계우샤 굽거 허리예

23.[附葉] 同樂太平하샤 길어신 허튀예

24.[小葉] 아으, 界面 도라샤 넙거신 바래

25.[前腔] 누고지어 셰니오 누고지어 셰니오

26. 바늘도 실도 어(업시) 바늘도 실도 어

27.[附葉] 處容아비 누고지어 셰니오

28.[中葉] 마아만 마아만하니여

29.[附葉] 十二諸國이 모다 지어셰온

30.[小葉] 處容아비 마아만 마아만니여

31.[後腔] 머자 외야자 綠李야

32. 빨리나 내 신()고를 야라

33.[附葉] 아니옷 매시면 나리어다 머즌말

34.[中葉] 東京 발기다래 새도록 노니다가

35. 드러 내 자리 보니 가라리 네히로섀라

36.[小葉] 아으 둘흔 내해어니와 둘흔 뉘해어니오

37.[大葉] 이런저긔 處容아비옷 보시면

38. 熱病神이 膾ㅅ가시로다

39. 千金을 주리여 처용아바

40. 七寶를 주리여 처용아바

41.[附葉] 千金七寶도 말오

42. 熱病神를(을) 날 자바 쥬쇼셔

43.[中葉] 산이여 매해여 천리외예

44. 處容아비를 어여러(녀)거져

45.[小葉] 아으 熱病大神의 發願이샷다.


[語釋]

10.깃어신:무성한.

11.오실어신:온전하신, 원만하신

14.웅긔어신:우멍하신

15.어위어신:넓으신

17.미나거신:밀+나(出)+거+시+ㄴ

19.늘의어신:늘(垂)+이(사역)+어신

20.설믜():知見, 知慧. 눈설미

22.홍정: 붉은 허리띠

23.허튀: 脚. 종아리, 정강이. 소멸됨.

28.마아만 마아만하니여:많고 많은 사람들이여.

33.머즌말: 험한 말

44.어여러(녀)거져:어이(避)+어+녀(行)+거져:피하여 갈지어다. 비켜 가고저!


◇양주동,여요전주,pp.148-149.

原歌의 前後部에 허다한 부연이 생겨 일종의 劇詩的 형식의 辭說로 변화함.

제1단 1-6행 全篇의 序詞

제2단 7-24행 처용(가면)의 모습을 頌揚하는 辭說

제3단 25-30행 처용의 제작에 관한 辭說

제4단 1) 31-33행 疫神의 科白

2) 34-38행 처용의 偉力에 대한 說話 해설

3) 39-42행 唱者와 처용과의 問答

4) 43-45행 疫神의 哀願辭 및 結辭


◇김완진[사설자,열병대신,처용아비 삼인극]

1-6행 序詞

7-30행 本詞: 서사와 함께 사설자의 辭說. 처용의 偉容

1) 7-24행 처용의 畵像

2) 25-30행 처용의 제작

31-45 結詞

1) 31-32행 열병대신

2) 33-40행 사설자의 열병대신에 대한 위협

3) 41-42행 처용아비

4) 43-45행 열병대신의 遁辭

5) 45행 사설자


◇조동일,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p.133.

장 또는 연의 구분 없음. 대체로 한 줄 네 토막이나 산만함.

巫歌에 흔한 형식. 민요에서도 기본형식의 하나가 표면화함. 후대의 가사와 상통함.

기준: 설명과 대화.

1) 1-30행 설명. 처용의 모습

2) 31-33행 처용의 말

3) 34-36행 처용의 독백. 돌아갔을 때의 광경(향가의 1-6행)

4) 37-38행 처용을 부추키는 말

5) 39-42행 서술자와 처용의 대사.

처용이 열병신을 물리치는 무신으로서의 기능 되살림

서술자: 千金을 주리여 처용아바 七寶를 주리여 처용아바

처 용: 千金七寶도 말오 熱病神를(을) 날 자바 쥬쇼셔

6) 43-45행 산이며 들이며 천리 밖으로 처용을 피해 달아나는 것이 열병신의 發願.


◇처용무는 재앙과 질병을 물리치는 굿으로서의 오랜 전통을 지님

1)『삼국유사』권2, 처용랑설화. 향가 처용가.

신라 헌강왕 때 망국의 불안한 조짐.

2)고려시대 강화도에 피난간 조정에서 처용놀이를 하며 몽고군의 격퇴를 기원함.

주술적 기능이 약화 됨: 복야 벼슬의 宋景仁은 평소 처용놀이를 잘하며 취했을 때는 처용춤을 추었다고 함.

장소:궁중, 절간, 고관의 저택.

󰋬『고려사』권71, 樂2.

新羅昔日處容翁 見說來從碧海中

見齒頳唇歌夜月 鳶肩紫袖舞春風 *頳정:붉다


󰋬『악학궤범』권5,鶴․蓮花臺․處容舞 合設. 속요 처용가.

󰋬『牧隱集』, 驅儺行

新羅處容帶七寶 花枝壓頭香露零

低回長袖舞大平 醉臉爛赤猶未醒

3)조선시대 섣달그믐날 궁중에서 거행하는 나례(儺禮)의 한 절차로 제도화함.

󰋬『東國歲時記』, 上元

“男女年値羅睺直星[제웅직성]者 造芻靈[제웅]. 方言謂之處容.(…중략…) 上元前夜初昏 棄于塗以消厄.”

󰋬사람의 行年을 따라 그의 운명을 맡은 9개의 별로 제웅직성, 土直星, 水直星, 金直星, 日直星, 火直星, 計都直星, 月直星, 木直星 등이 있다.

󰋬남자는 10세에 제웅직성이 들기 시작하여 19세에 다시 돌아오고 여자는 11세에 들기 시작함.

󰋬日直星, 月直星을 만난 사람은 해와 달의 모양을 오려 나무에 끼워 용마루에 꽂는다. 또 달이 뜰 때 횃불도구에 불을 붙여 달을 맞이하기도 한다. 水直星을 만난 사람은 종이에 밥을 싸 우물 속에 던져 액을 막는다.

󰋬“남녀의 나이가 三災를 당한 자는 세 마리의 매를 그려 문설주에 붙인다. 三災法이란 이런 것이다. 巳․酉․丑生은 亥․子․丑이 드는 해에, 申․子․辰生은 寅․卯․辰이 드는 해에, 亥․卯․未生은 巳․午․未가 드는 해에, 寅․午․戌生은 辛․酉․戌年에 각각 三災가 든다고 한다. 세속에서는 이 卜說을 믿고 이렇게 세 마리의 매를 그려 액을 막는다. 生年으로부터 9년만에 三災가 들기 때문에 이 三災의 해에 해당하는 삼년간에는 남을 범해도 안 되고 모든 일에 꺼리고 삼가는 일이 많다.”





處容歌

처용랑과 망해사

處容郞 望海寺

[은자주] 처용가는 벽사진경의 주제로 인하여 고려시대에는 樂學軌範 권5에 <鶴․蓮花臺․處容舞 合設> 조에 려요<처용가>가 나온다. 그 가운데 향가의 구절도 수용하였다. 다음 꼭지에서 확인하기 바란다.처용은 이방인이다. 위의 책에는 눈이 우멍하고 턱이 주걱턱인 아랍상인의 가면도 실렸는데[이 블로그의 이 꼭지 아래에사진 수록]경주 불국사 가는 길의 영지 반대편에 있는 괘릉의 수호무인상에도 그 얼굴이 조각되어 있어 지금껏 처용 얼굴의 확인이 가능하다

아래창에 괘릉석상 있음. 복사도 스크랩도 불가여서 주소창만 소개함.

http://blog.paran.com/ulgun/27055226

맨 아래 사진에서 처용과 유사한 얼굴형임을 확인할 수 있음. 결코 한국인 얼굴은 아님.


第四十九憲康大王之代 自京師至於海內 比屋連墻無一草屋

제49대 헌강대왕 때는 서울에서 지방에 이르기까지 집과 담이 연이어져 있었으며 초가는 하나도 없었다.

笙歌不絶道路 風雨調於四時.

풍악과 노래소리가 길거리에서 끊어지지 않았고, 바람과 비는 철마다 순조로웠다.

於是 大王遊開雲浦(在鶴城西南 今蔚州).

때마침 대왕이 개운포-지금의 울주-에 놀러왔다가

王將還駕 晝歇於汀邊

돌아가려고 물가에서 쉬고 있었는데

忽雲霧冥曀 迷失道路.

문득 구름과 안개가 자욱해져 길을 잃게 되었다.

怪問左右 日官奏云

왕이 괴이하게 여겨 좌우 신하들에게 물으니 일관이 아뢰었다.

“此東海龍所變也. 宜行勝事以解之.”

“이것은 동해 용왕의 조화이오니 마땅히 좋은 일을 하여 풀어 주어야 할 것입니다.”

於是 勅有司爲龍創佛寺斤境.

이에 왕은 일을 맡은 관리에게 명하여 용을 위하여 근처에 절을 짓도록 했다.

施令已出 雲開霧散 因名開雲浦.

왕이 명령을 내리자 구름과 안개는 걷혔다. 이로 말미암아 그곳을 개운포라 이름했다.

東海龍喜 乃率七子現於駕前 讚德獻舞奏樂.

동해 용왕은 기뻐하며 아들 일곱을 데리고 왕 앞에 나타나 왕의 덕을 찬양하며 춤을 추고 음악을 연주했다.

其一子隨駕入京 輔佐王政 名曰處容.

그 중에서 일곱째 아들이 왕을 따라 서라벌로 들어가 왕의 정사를 도왔는데, 그의 이름을 처용이라 했다.

王以美女妻之 欲留其意. 又賜級干職.

왕은 아름다운 여자를 그의 아내로 삼게하여 그를 치하했으며, 또한 급간이란 관직을 주었다.

其妻甚美 疫神欽慕之 變爲人

그런데, 처용의 아내가 무척 아름다웠으므로 역신이 그녀를 흠모하여

夜至其家 竊與之宿.

변하여 사람이 되어 밤이면 그 집에 가서 몰래 그녀와 동침했다.

處容自外至其家 見寢有二人.

처용이 밖에서 자기집에 돌아와 잠자리 보니 두 사람이 있었다.

乃唱歌 作舞而退

노래를 부르며 춤을 추면서 물러나왔다.

歌曰,


東京-明-期-月-良

夜-入-伊-遊-行-如-可

入-良-沙-寢-矣-見-昆

脚 -烏-伊-四 -是-良-羅

二-肹-隱-吾-下-於-叱-古

二-肹-隱-誰-支-下-焉-古

本-矣-吾-下-是-如-馬-於-隱

奪-叱-良-乙-何如-爲-理-古


새벌 발긔 다래 서울 밝은 달 아래

밤드리 노니다가 밤 늦도록 노닐다가

드러사 자리 보곤 들어와 자리를 보니

가리리 네히어라 다리가 넷이러라.

둘흔 내해엇고 둘은 내 것인데

둘흔 뉘해언고 둘은 뉘 것인고

본대 내해다마란 본디 내 것이었다마는

아사늘 엇디하릿고 빼앗은 것을 어찌하리오.

時神現本形 跪於前曰

이 때 역신은 본디의 모습을 나타내며 처용 앞에 꿇어앉으며 말했다.

“吾羨公之妻 今犯之矣.

“제가 공의 아내를 선망하여 지금 그녀를 범했습니다.

公不見怒 感而美之

공은 노여움을 나타내지 않으시니, 감동하여 찬미합니다.

誓今已後 見畵公之形容 不入其門矣.”

맹세코, 이제부터는 공의 모습을 그린 것만 보아도 그 문안에 들어가지 않겠습니다.”

因此國人門帖處容之形 而僻邪進慶.

이 일로 말미암아 나라 사람들은 처용의 형상을 문에 그려 붙여서 사악함을 물리치고 경사로운 일을 맞아들였다.


王旣還 乃卜靈鷲山東麓勝地置寺 曰 望海寺.

서울로 돌아오자 왕은 이내 영취산 동쪽 기슭에 경치 좋은 곳을 골라 절을 세우고 망해사라 이름했다.

亦名新房寺. 乃爲龍而置也.

혹은 이 절을 신방사라고도 했는데, 이것은 용을 위해서 세운 것이다.


又幸鮑石亭 南山神現舞於御前.

왕이 또 포석정에 갔을 때 남산의 신이 나타나 왕 앞에서 춤을 추었다.

左右不見 王獨見之.

좌우의 사람들은 보지 못했고 왕만 홀로 그것을 보았다.

有人現舞於前. 王自作舞 以像示之.

사람(신)이 나타나 춤을 추므로 왕 자신도 이를 따라 춤을 추면서 그 형상을 나타내었다.

神之名 或曰祥審.

그 신의 이름은 혹 심상이라고 했으며,

故至今國人傳此舞 曰御舞祥審. 或曰御舞山神.

지금까지 신라 사람들은 이 춤을 전하여, 어무상심(御舞祥審), 또는 어무산신이라고 한다.

或云 旣神出舞 審象其貌. 命工摹刻 以示後代. 故云象審.

어떤 이는 말하기를 신이 이미 나와서 춤을 추엇으므로 그 모습을 살펴 공인에게 명하여 새기게 하여 후세 사람들에게 보이게 했기 때문에 상심이라고 했다고도 한다.

或云霜髥舞. 此乃以其形稱之.

혹은 상염무(霜髥舞-상염은 흰수염이다.)라고도 하니 그것은 그 형상에 따라 일컬은 것이다.

又幸於金剛嶺時 北岳神呈舞. 名玉刀鈴.

또 왕이 금강령에 갔을 때 북악의 신이 나타나 춤을 추었는데 이를 옥도령이라 했으며,

又同禮殿宴時 地神出舞 名地伯級干.

또 동례전에서 잔치를 할 때에는 지신이 나와서 춤을 추었는데 이 신의 이름을 지백급간이라 했다.

『語法集』云

어법집(語法集)에는 이렇게 말했다.

“于時 山神獻舞 唱歌云.

‘그 때 산신이 춤도 추고 노래부르기를,

『地理多都波』

지리다도파도파(智理多都波都波)라 했는데,

都波等者 盖言以智理國者 知而多逃

도파 등이라고 한 것은 대개 지혜로 나라를 다스리는 사람들이 미리 사태를 알고 도망하는 이들이 많아

都邑將破云謂也.”

도읍이 장차 파괴됨을 말한다.’

乃地神山神知國將亡 故作舞以警之.

곧, 지신과 산신은 장차 나라가 멸망할 것을 알았기 때문에 춤을 추어 이를 경계한 것이나,

國人不悟 謂爲現瑞

신라 사람들은 이를 깨닫지 못하고 도리어 상서(祥瑞)가 나타났다 하여

耽樂滋甚. 故國終亡.

술과 여색을 즐김이 더욱 심했으므로 나라가 마침내 망했다.


◇ 處容歌 해설

󰋬49대 헌강왕(재위 875-886)대

󰋬처용은 수호신의 성격을 상실한 神格으로서 특이한 존재. 疫神(질병을 일으키는 신)과의 대결에서 역신을 매몰차게 내몰지 못하는 나약한 인물로 설정되는 방향으로 성격이 바뀜. 처용과 역신은 가면 사용하여 표출함.

처용가면은 『악학쉐범(樂學軌範)』권5. <鶴․蓮花臺․處容舞> 合設에 나옴.

󰋬辟邪進慶.

󰋬고려속요 <처용가> 45행중 34-36행에 향가 <처용가> 1-6구 삽입.

󰋬고려속요 <처용가> 37-38행에서는

“[大葉] 이런저긔 處容아비옷 보시면

熱病神이사 膾ㅅ가시로다”

라 하여 처용의 수호신적 성격이 강화됨.

[주]바로 아래 그림이 악학궤범의 처용 탈임











'고전문학 > 향가 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 득오실(得烏失) 作  (0) 2008.08.27
려요 처용가  (0) 2008.08.24
혜성가 -융천사  (0) 2008.08.23
永才遇賊(영재우적), 삼국유사 피은(避隱)  (0) 2008.08.23
원가 -신충  (0) 2008.08.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