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eqkhcbH5mu4 

 

https://www.youtube.com/watch?v=qBAdkHgkMOs 

 

 

https://www.youtube.com/watch?v=eZthAwu8Q4I 

 

https://www.youtube.com/watch?v=3rBFOn65mPM 

 

https://www.youtube.com/watch?v=DAvxUYx3TdE 

 

 

https://www.youtube.com/watch?v=Usa9ArwO2Ik 

 

하늘의 경고

https://www.youtube.com/watch?v=4ufdgD69pR4 

 

 

https://www.youtube.com/watch?v=7xqRe2tlJVM 

 

 

양평 두물머리 세미원/ 두물머리는 영화 촬영지로 유명해 여행객들이 언제나 붐빈다.

https://kydong77.tistory.com/21502

 

서정주, 연꽃 만나고 가는 바람 같이/ 세미원 1 재록(再錄)

연꽃 만나고 가는 바람 같이 ㅡ 서정주 섭섭하게 그러나 아조 섭섭치는 말고 좀 섭섭한 듯만 하게 이별이게 그러나 아주 영 이별은 말고 어디 내생에서라도 다시 만나기로 하는 이별이게, 연꽃

kydong77.tistory.com

 

연꽃 만나고 가는 바람 같이

ㅡ 서정주

 

섭섭하게

그러나 아조 섭섭치는 말고

좀 섭섭한 듯만 하게

 

이별이게

그러나

아주 영 이별은 말고

어디 내생에서라도

다시 만나기로 하는 이별이게,

 

연꽃

만나러 가는

바람 아니라

만나고 가는 바람같이…

 

엊그제

만나고 가는 바람 아니라

한두 철 전

만나고 가는 바람 같이…

 

https://www.youtube.com/watch?v=3bJF0Drv30g 

 

 

 

양평 세미원

https://www.youtube.com/watch?v=3OaDFP_3a7E 

 

 

https://kydong77.tistory.com/19720

 

행복= 소유÷소원/ 김용옥, 귀신과 제사 - 삼라만상에 대한 경외심

경제 기준 관점 : 행복= 소유(재산) ÷ 소원 (원하는 것) *소유는 확대하고 소원을 축소시킬수록 행복감은 높아진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도 성립하는데, 이것이 심리적 불행감이다. 절대빈곤게층

kydong77.tistory.com

 

윤항기 회고/ 6.25 당시, 겨울날 청계천 풍경과 두 남매의 기아직전의 참담한 생활상

https://www.youtube.com/watch?v=pOYc6TeOhb8 

 

 

 

https://www.youtube.com/watch?v=BfnFVlC0ovM 

 

 

https://www.youtube.com/watch?v=v9mubI3O6Jo 

 

https://namu.wiki/w/%EC%9C%A4%EB%B3%B5%ED%9D%AC

 

윤복희 - 나무위키

세상을 놀라게 한 보컬리스트 한국의 가수이자 뮤지컬 배우. 여러분 (작사 : 윤항기 / 작곡 : 윤항기) 윤복희의 히트곡인 '여러분'은 한 때 금지곡이 된 적이 있었는데, 이는 KBS 스펀지 190회 방송

namu.wiki

1946년 충청남도 보령군에서 태어났고, 어릴 적 식구들과 함께 서울로 이주했다. 부모님이 일찍 돌아가셔서 오빠와 고생을 굉장히 했다고 한다.

2.2. 데뷔

6살이던 1952년 뮤지컬 〈크리스마스 선물〉을 통해 뮤지컬 배우로 데뷔하였고, 루이 암스트롱을 통해 1963년 필리핀과 홍콩싱가포르를 거쳐 영국독일(서독), 스페인스웨덴미국 등지를 다니며 1964년 미국 네바다 주 라스베이거스에서 1976년까지 활동하였다. 1967년 〈웃는 얼굴 다정해도〉라는 곡들 외 7곡으로 판을 만들었다.
 
 

동상은 높이 4.2m, 너비 1.5m 크기로 제작, 동상은 2분에 360도 회전함(국토 방위의 경계 태세).

 

https://www.nocutnews.co.kr/news/5971683

故 백선엽 장군 서거 3주기…장군 동상 제막식 개최

경북 칠곡 다부동전적기념관에서 故 백선엽 장군 서거 3주기 행사와 장군 동상 제막식이 열렸다. 경상북도는 백선엽 장군 동상 건립 사업을 완료하고 5일 동상 제막식 행사와 장군 서거 3주기 추모행사를 개최했다. ..

www.nocutnews.co.kr

 

故 백선엽 장군 서거 3주기…장군 동상 제막식 개최

경북 칠곡 다부동전적기념관에서 故 백선엽 장군 서거 3주기 행사와 장군 동상 제막식이 열렸다. 경상북도는 백선엽 장군 동상 건립 사업을 완료하고 5일 동상 제막식 행사와 장군 서거 3주기 추

www.nocutnews.co.kr

 

https://www.youtube.com/watch?v=yf5Ojy5LNLo

 

 

칠곡 ‘다부동전투’ 백선엽 장군 동상 제막식 열려

백선엽 장군 동상 제막식이 5일 오후 칠곡군 가산면 다부동전적기념관에서 열렸다.백선엽 장군 동상 제막식과 서거 3주기 추모행사가 5일 칠곡 다부동

www.idaegu.com

 

대구일보

대구의 변화 혁신을 주도하는 신문

www.idaegu.com

 

백선엽 장군 동상 제막식과 서거 3주기 추모행사가 5일 칠곡 다부동전적기념관에서 열렸다.

백 장군 동상 건립사업은 민간 주체로 지난해 12월 동상건립추진위원회를 구성한 후, 국비 등 총사업비 5억 원을 투입, 제작해 이날 제막식을 가졌다.

제막식에는 국민의힘 윤재옥 원내대표(대구 달서을), 이철우 경북도지사,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 이종섭 국방부장관, 박정환 육군참모총장, 김재욱 칠곡군수, 폴 J. 라카메라 한미연합사령관, 신희현 제2작전사령관 등이 참석했다.

백 장군 동상은 높이 4.2m, 너비 1.5m 크기로 제작됐다.

https://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8432635&code=61111911&sid1=pol

 

칠곡에 백선엽 장군 동상 제막…3주기 추모식도 거행

국가보훈부는 5일 경북 칠곡군 다부동전적기념관에서 6·25전쟁영웅 백선엽 장군의 동상 제막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동상은 높이 4.2m, 너비 1.56m 크기로 제작

news.kmib.co.kr

 

https://www.youtube.com/watch?v=7b_mwT0QHMg

 

 

 

 

백선엽 장군 동상 제막 230705ㅣTBC뉴스

https://www.youtube.com/watch?v=-IGnTEE3N5I

 

‘6·25 영웅’ 백선엽 장군, 73년 만에 다부동에 우뚝 서다

https://www.chosun.com/national/people/2023/07/05/ZW5C2XKCQJCQVCT3RM55YNQFJI/

 

‘6·25 영웅’ 백선엽 장군, 73년 만에 다부동에 우뚝 서다

6·25 영웅 백선엽 장군, 73년 만에 다부동에 우뚝 서다 4.2m 동상 제막식 열려...지게부대원 추모비도 들어서

www.chosun.com

 

https://ko.wikipedia.org/wiki/%EB%8B%A4%EB%B6%80%EB%8F%99_%EC%A0%84%ED%88%AC

 

다부동 전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부동 전투(多富洞戰鬪)는 1950년 한국 전쟁 당시 가장 치열했던 전투로 꼽히는 전투로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에서 전투를 벌인 끝에 대한민국 국군이 북한군

ko.wikipedia.org

 

다부동 전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부동 전투 4개 언어 문서 토론 읽기 편집 역사 보기 도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부동 전투 (多富洞戰鬪)는 1950년 한국 전쟁 당시 가장 치열했던 전투로 꼽히는 전투로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에서 전투를 벌인 끝에 대한민국 국군이 북한군의 대공세를 저지시키고 대구 로 진출하려던 세를 꺾었다. 배경 [ 편집 ]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 발발 후 북한 은 무기와 훈련이 부실한 국군을 연이어 물리치고 승리하여 3일 만인 6월 28일 서울 을, 7월 5일에는 오산 전투 에서 미군까지 격파하고 7월 24일 대전 을...

ko.wikipedia.or

다부동 전투(多富洞戰鬪)는 1950년 한국 전쟁 당시 가장 치열했던 전투로 꼽히는 전투로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에서 전투를 벌인 끝에 대한민국 국군이 북한군의 대공세를 저지시키고 대구로 진출하려던 세를 꺾었다.

결과 및 영향

인천상륙작전을 통하여 투입된 미군의 대대적인 반격으로 이 지역에서 북한군을 완전히 몰아냈다. 이 전투에서 북한군의 공세를 막아냄에 따라, 북한군은 낙동강 전선을 돌파하는데 실패하였고 결과적으로 북한군의 공격의도를 좌절시키는데 성공하였다. 북한군은 이 전투에서 전력을 상당히 소진하여야 했고 이는 이후 전투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대한민국 국군에게 있어서는 낙동강 전선을 고수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부여하게 해준 결정적인 전투이기도 하였다.

 

 

3. 금지곡, 개사 논란> 아래의 주장은 풍문일 뿐 사실이 아님.

"아~아 잊으랴 어찌 우리 그날을~"

김대중 전대통령부터 노무현 전 대통령 정권까지 10년간 금지곡이었던 6.25노래 첫 소절이다.

현재는 '신 6.25노래'로 개사됐다.

[한 시인이 지역 신문에 올린 개사를 우파 인사들이 퍼 나름]

 

[행사주관부처] 국가보훈처/ 위와 같이 개사된 노래를 부른 적은 없었다.

 

6.25 전쟁을 기념하는 노래.

박두진 작사, 김동진 작곡

6.25 기념식에 합창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uCe3zXPFBSE

 

 

 

맥아더, 인천상륙작전

https://kydong77.tistory.com/18344

 

맥아더, 인천상륙작전

인천 상륙 작전(仁川上陸作戰, Battle of Incheon)은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0년 9월 15일 UN군 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의 주도로 시작된 상륙작전이다. 이 작전에는 7만 5천여 명의 병력과 261척의 해군

kydong77.tistory.com

 

 

일부 연예인도 유공자로 등록돼 있다. 한 중견가수는 자신이 부른 노래 중 한 곡이 ‘5·18을 연상시킬 수도 있다는 이유로 유공자가 됐다. 이 밖에도 5·18이나 광주에 연고가 없는 남녀 중견 탤런트도 3명이나 유공자로 등록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시인·소설가·평론가 등 문화예술계 인사도 적잖이 눈에 띤다. 1965년생 작가는 5·18을 소재로 시를 썼다는 이유로, 경기도 김포에 거주하는 1964년생 작가는 5·18을 소재로 소설을 썼다는 이유로 유공자가 됐는가 하면, 1963년생 영화평론가는 5·18 관련 평론을 했다는 명목으로 유공자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1955년생 사진작가 최모씨를 비롯한 상당수는 2014년 5·18기념순회사진전에 출품한 게 인정돼 유공자가 됐다.

이런 사례들은 한두 건이 아니다. 1968년생 조모씨는 1990년 박종철 3주기 추도식에 참가해 폭력정권 타도하자는 시위를 하다 집시법으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받은 게, 1975년생 오모씨는 양심적으로 병역을 거부했다는 이유로 5‧18 유공자가 됐다.

[참고] 1980년 5월 18일 ~ 5월 27일

5·18 민주화운동, 또는 광주 민주화운동은 1980년 5월, 광주 일원에서 일어난 시위에 대하여 군부 등에 의한 헌정질서 파괴범죄와 부당한 공권력 행사로 다수의 희생자와 피해자가 발생한 사건이다.[40]

 

5.18 민주화운동 - 나무위키

흔히 극우를 중심으로 광주 민주화운동 당시의 대통령이 전두환이 아니라 최규하라는 이유로 전두환과 하나회가 아닌 최규하 대통령에게로 책임을 돌리곤 하는데, 이는 12·12 군사반란과 5·17

namu.wiki

5.18가짜 유공자에 정치인 언론인 노조위원장 시위대학생 및 배우 시인 소설가 가수 등 문화예술인 포함

https://www.youtube.com/watch?v=2nlbGUae2AQ

 

https://www.youtube.com/watch?v=4hmY2aBVxVU

 

 

https://www.youtube.com/watch?v=LrvrvgXkqYU

 

https://www.youtube.com/watch?v=X7tluVkxkaM

 

윤석열 대통령이 6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8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추념사하고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ONmten7gYL0 

 

 

https://www.youtube.com/watch?v=ndk3tJoM55k 

 

 

 

https://kydong77.tistory.com/21379

 

안중근, 내가 이토를 죽인 15가지 이유/ 윤봉길, 상해의 홍구공원 폭탄 투척 사건

https://www.youtube.com/watch?v=yEO3NNOvaXk 내가 이토를 죽인 15가지 이유 https://www.youtube.com/watch?v=hOcB0pngL6g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3/26/2014032600457.html 안중근 의사의 ‘이토를 죽인 15가지 이유

kydong77.tistory.com

 

 

내가 이토를 죽인 15가지 이유

https://www.youtube.com/watch?v=hOcB0pngL6g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3/26/2014032600457.html

 

안중근 의사의 ‘이토를 죽인 15가지 이유’ 보도한 영어매체 기사 첫 발견

안중근 의사의 이토를 죽인 15가지 이유 보도한 영어매체 기사 첫 발견

www.chosun.com

 

 1909년 스트레이츠 타임즈에 보도된 안중근 의사의 "내가 이토를 처단한 열 다섯가지 이유"
 
첫째, 명성황후를 시해한 죄
둘째, 1905년 11월 한국을 일본의 보호국으로 만든 죄
셋째. 1907년 정미7조약을 강제로 맺게 한 죄
넷째, 고종황제를 폐위시킨 죄
다섯째, 군대를 해산시킨 죄
여섯째, 무고한 사람들을 학살한 죄
일곱째, 한국인의 권리를 박탈한 죄
여덟째, 한국의 교과서를 불태운 죄
아홉째, 한국인들을 신문에 기여하지 못하게 한 죄
열 번째, (제일은행) 은행지폐를 강제로 사용한 죄
열한번째, 한국이 300만파운드의 빚을 지게 한 죄
열두번째, 동양의 평화를 깨뜨린 죄
열세번째, 한국에 대한 일본의 보호정책을 호도한 죄
열네번째, 일본천황의 아버지인 고메이 천황을 죽인죄
열다섯번째, 일본과 세계를 속인 죄 등이다.

 

https://kydong77.tistory.com/21378

 

남산 안중근의사기념관공원과 김구 백범광장/‎내가 이토를 죽인 15가지 이유

▲ 양력 2월14일은 우리나라에는 또 다른 큰 의미가 있는 날이다. 지난 1910년 2월14일 오전 10시 30분 안중근 의사는 사형을 언도받는다. 1909년 10월26일 하얼빈역에서 이토히로부미를 저격한 후 약 4

kydong77.tistory.com

 

 

https://www.youtube.com/watch?v=xE45XOC5HAQ

 

 

https://www.youtube.com/watch?v=rnyHdE14_cs

 

https://m.khan.co.kr/politics/politics-general/article/202306051005001#c2b

 

국민의힘 “문재인 정부, 개 사룟값은 아끼면서 시민단체 보조금은 펑펑”

윤석열 대통령이 민간단체 보조금 비리에 대한 단죄를 지시한 5일 국민의힘은 “시민을 참칭한 ...

m.khan.co.kr

“정치적 이해로 가짜 NGO와 결탁”

시민단체 비리로 전 정부 공격

윤석열 “비리 단죄, 보조금 환수”

대통령실은 전날 1만2000여개의 민간단체 보조금을 감사한 결과 1865건의 부정·비리를 적발했으며 내년 시민단체 보조금을 5000억원 이상 감축하겠다고 발표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감사 결과를 보고받고 “보조금 비리에 대한 단죄와 환수 조치를 철저히 하라”고 지시했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시민단체를 ‘혈세 도둑질 전문조직’이라고 칭하면서 “정권에 빌붙어 빨대를 꽂는 ‘시민 참칭’ 흡혈 기생집단은 국민의 이름으로 심판받아야 한다”고 썼다. 김 대표는 “시민단체라는 허울을 쓴 채 실제로는 (문재인 정부의) 호위무사 역할을 했다”며 “심각한 국정농단”이라고 비난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n5_EpEbYE_U 

 

 

https://m.khan.co.kr/politics/defense-diplomacy/article/202305300644001#c2b

 

북한 군부 1위 리병철 “군사정찰위성 1호기 6월 곧 발사”

북한 군부 서열 1위인 리병철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이 30일 군사정찰위성 1호기를 “오...

m.khan.co.kr

북한 군부 서열 1위인 리병철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이 30일 군사정찰위성 1호기를 “오는 6월에 곧 발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미국 정찰자산의 상시적인 대북 감시 활동을 비난하며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정당화했다. 새로운 정찰 수단을 다양하게 만들어내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N64UUMXH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