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is not growing like a tree In bulk, doth make man better be;
Or standing long an oak, three hundred year, To fall a log at last,dry,bald,and sere:
A lilly of a day Is fairer far in May, Although it fall and die that night --
It was the plant and flower of Light. In small proportions we just beauties see; And in short measures life may perfect be
벤 존슨 Ben Jonson ( 1572-1637)
영국의 시인, 극작가, 평론가 세익스피어 희극에 대한 반항으로 풍자적이고 사실적인 최초의 기질희극(氣質喜劇) ' 십인십색(十人十色 Every Man in His Humour) (1598)' 을 선 보이며 크게 인기를 얻었다. 제임스 1세의 총애를 받으며 사실상 최초의 계관시인이 되었다.
후기: Henry Vaughan, Thomas Traherne, Andrew Marvell
후에 18세기 비평가인 사무엘 존슨이 ‘형이상학파’라고 명명한 이 시인들은 당대에는 너무 복잡하고 어려워서 대중적으로 사랑받지 못했다고 한다. 그러나 20세기에 시인이자 비평가인 T.S 엘리엇이 ‘현대의 시는 어려워야 한다’는 말과 함께 그들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비로소 주목받기 시작했다. 형이상학적 시들은 주로 종교적인 주제를 다루었는데, 직접 신에게 말을 거는 등의 방법을 통해 신을 인격화함으로써 신과 인간사이의 친밀한 관계를 그들의 시 속에 구축하였다. 이러한 시들의 종교적인 주제는 쉽게 다른 주제로 전환되는데 성시(Holy Sonnet)가 연애시로 전환되기도 하고, 죽음에 도전하던 화자가 종교에 대한 더 두터운 신의를 다짐하기도 한다.
형이상학파 시인들은 이전과는 달리 과감하게 당대의 지적·감정적·종교적 문제들을 시에 담았다. 그들은 근대적인 어조로 삶의 기쁨과 절망 등의 내적 갈등을 드러냈는데, 여기에 풍부하고 참신한 심상을 접목하였다. 이를 기상(Conceit)이라 하는데, 기발한 상상이라는 뜻의 기상(奇想)은 본질적 사실에 의거하여 어떤 사상성을 발견하고 놀라움을 주어 깨달음을 얻는 방법이다. 특히 후기 형이상학파 시인 중 가장 중요한 앤드루 마블(Andrew Marvell)은 기존 형이상학 시가 가지는 종교적이고 세속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시의 본질과 당대의 관심사까지 더한, 복잡하면서도 참신한 형이상학 시를 완성해냈다는 문학적 업적을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