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간(天干)

육십갑자(六十甲子)의 윗 단위를 이루는 열가지 요소로 십간(十干)이라고도 한다.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 지지(地支)

육십갑자(六十甲子)의 아랫 단위를 이루는 열 두가지 요소로 동물을 상징하며,

십이지(十二支)라고도 한다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를 말한다

★ 육십갑자(六十甲子)

십간과 십이지를 하나씩 대응하여 최소공배수(最小公倍數)인 60개의 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며 60개가 모여서 일 갑자를 이룬다. 예전에는 연호나 나이를 육십갑자에 의해서 표현하였다. 갑자를 따지려면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의 십간과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의 십이지 정도는 외우고 있어야 하며, 한자로 쓸 수 있어야 한다.

★ 간지에 대한 기본 지식

干支(간지) 표기는 天干(천간)이 먼저 표기되고, 地支(지지)가 나중입니다. 甲子(갑자), 乙丑(을축)' 등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조합을 하면 60개가 되고, 이를 '六十甲子(육십갑자)'라고 합니다. 줄여서 '六甲'이라고 하지만 사용은 조심해야 합니다.( ~(?)이 육갑 떤다고 하죠) 자신의 출생 간지가 60년 후에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還甲(환갑-甲子가 돌아옴)'이라 하는데 환갑은 만 나이로 60세 생일날입니다.

- 육십갑자(六十甲子) : 천간(십간)을 축으로 지지(십이지)를 순서대로 돌린다.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사 경오 신미 임신 계유 갑술 을해 ~~~ 경신 신유 임술 계해 갑자 ~~

甲子 乙丑 丙寅 丁卯 戊辰 己巳 庚午 辛未 壬申 癸酉 甲戌 乙亥 ~~~ 庚申 辛酉 壬戌 癸亥 甲子 ~~

★ 실제 적용의 예

(실례1). 자신의 출생년의 干支(간지) 표기 알기

자신이 1965년에 태어난 경우에 간지년도 표기는?

1965년의 끝자리 5는 天干의 '乙'이 되고, 뒷자리 地支는 저의 띠가 뱀띠이기 때문에 '巳'가 되어 1965년의 간지는 '乙巳年'이 됩니다.

(실례2). 올해의 干支(간지) 알아 보기

올해는 2000년, 끝자리 0은 天干의 '庚(경)'이고, 설사 올해의 띠를 잘 모르더라도 자신의 띠를 활용 하면 됩니다. 같은 띠는 12년마다 오지요. 저의 돼지띠는 1971년, 1983년, 1995년 …입니다. 1995년의 5년 후가 올해(2000년), 그럼 산수 계산으로 地支는 '辰', 올해는 '庚辰年'입니다.

(실례3). 나이로 干支(간지) 알아 보기

예) 아무개 아버님의 연세가 50세라고 할 때 간지년도는 무엇일까?

50세의 나이가 만나이라면 1948년생이고, 우리나라 나이면 1949년생입니다. 1948년생이면 天干은 서기년도 끝자리 8의 '戊'가 되고, 地支는 자신의 띠(저는 65년 뱀띠)에서 동일한 띠인 12,24,36..을 더하거나 빼보면 근접한 때가 나옵니다. (65-24=41). 곧 41년이 뱀띠(지지의 巳)면 48년은 巳 다음 7번째의 '子'가 됩니다. 결국 1948년생의 간지는'茂子年'이고 1949년생이면 '戊'의 다음 '己' 천간과 '子'의 牡?'丑'으로 '己丑年'입니다.

(실례4). 干支(간지)로 나이 알아 보기

예) 친구 아버님의 연세가 몇이신지 잘 모르고 '乙亥年(을해년)'生이라고 할 때 연세는?

'乙卯年'은 서기년도 끝자리가 5입니다. 곧 근래 1995년 1985년 1975년 1965년 1955년 1945년 1935년 1925년… 이 되겠죠. 저의 친구 아버님이라고 했으니까 1945년 이하겠죠. 60년마다 환갑의 개념으로 올해(1998년)가 무인년(戊寅年)이면 1938년도 戊寅年입니다. 그러면 乙의 3년 뒤가 戊이고 또한 올해가 '寅(범띠)'이라면 '亥(돼지띠)'는 3년 전입니다. 그렇다면 바로 1935년이 乙亥年이 됩니다. 확인해 보는 방법은 1935년생이시라면 1995년에 환갑잔치를 하셨고 올해 연세가 만63세면 정확한 것입니다.

(실례5). 간지로 표기된 역사 속의 사건 연도 알기

예) 우리나라 구한말의 역사속 사건들 중에 '壬午軍亂(임오군란)', '甲申政變(갑신정변)', '甲午更張(갑오경장)'은 서기 연도로 몇 년 일까?

壬午軍亂(임오군란)은 1882년이고[아래 참고], 甲申政變(갑신정변)은 천간 甲(갑)은 서기년도 끝자리 4이고 구한말의 사건이므로 1864년이 甲子年이라면 地支의 申은 4년전, 곧 1860년의 地支가 申이 됩니다. 그렇다면 서기년도 끝자리 4와 地支의 申이 일치하는 1860년의 24년 뒤인 1884년이 '甲申年'이 되겠지요. 또한 甲午更張(갑오경장)은 당연하게 갑신년의 10년 뒤가 되겠지요.(申에서 10을 더하면 午) 1894년입니다.

 

간지와 서력기원

甲子 1804, 1864, 1924, 1984

乙丑 1805, 1865, 1925, 1985

丙寅 1806, 1866, 1926, 1986

丁卯 1807, 1867, 1927, 1987

戊辰 1808, 1868, 1928, 1988

己巳 1809, 1869, 1929, 1989

庚午 1810, 1870, 1930, 1990

辛未 1811, 1871, 1931, 1991

壬申 1812, 1872, 1932, 1992

癸酉 1813, 1873, 1933, 1993

甲戌 1814, 1874, 1934, 1994

乙亥 1815, 1875, 1935, 1995

丙子 1816, 1876, 1936, 1996

丁丑 1817, 1877, 1937, 1997

戊寅 1818, 1878, 1938, 1998

己卯 1819, 1879, 1939, 1999

庚辰 1820, 1880, 1940, 2000

辛巳 1821, 1881, 1941, 2001

壬午 1822, 1882, 1942, 2002

癸未 1823, 1883, 1943, 2003

甲申 1824, 1884, 1944, 2004

乙酉 1825, 1885, 1945, 2005

丙戌 1826, 1886, 1946, 2006

丁亥 1827, 1887, 1947, 2007

戊子 1828, 1888, 1948, 2008

己丑 1829, 1889, 1949, 2009

庚寅 1830, 1890, 1950, 2010

辛卯 1831, 1891, 1951, 2011

壬辰 1832, 1892, 1952, 2012

癸巳 1833, 1893, 1953, 2013

甲午 1834, 1894, 1954, 2014

乙未 1835, 1895, 1955, 2015

丙申 1836, 1896, 1956, 2016

丁酉 1837, 1897, 1957, 2017

戊戌 1838, 1898, 1958, 2018

己亥 1839, 1899, 1959, 2019

庚子 1840, 1900, 1960, 2020

辛丑 1841, 1901, 1961, 2021

壬寅 1842, 1902, 1962, 2022

癸卯 1843, 1903, 1963, 2023

甲辰 1844, 1904, 1964, 2024

乙巳 1845, 1905, 1965, 2025

丙午 1846, 1906, 1966, 2026

丁未 1847, 1907, 1967, 2027

戊申 1848, 1908, 1968, 2028

己酉 1849, 1909, 1969, 2029

庚戌 1850, 1910, 1970, 2030

辛亥 1851, 1911, 1971, 2031

壬子 1852, 1912, 1972, 2032

癸丑 1853, 1913, 1973, 2033

甲寅 1854, 1914, 1974, 2034

乙卯 1855, 1915, 1975, 2035

丙辰 1856, 1916, 1976, 2036

丁巳 1857, 1917, 1977, 2037

戊午 1858, 1918, 1978, 2038

己未 1859, 1919, 1979, 2039

庚申 1860, 1920, 1980, 2040

辛酉 1861, 1921, 1981, 2041

壬戌 1862, 1922, 1982, 2042

癸亥 1863, 1923, 1983, 2043

 

'생활 > 지식 상식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支 신상  (0) 2013.02.15
10간12지  (0) 2012.12.15
만물은 서로 같다는 관점에서 보면 모두가 한 가지이다  (0) 2011.03.25
태극기의 음양과 팔괘  (0) 2011.03.21
주역의 기본 개념들  (0) 2011.03.21


만물은 서로 다르다는 관점에서 보면

몸의 담과 간도 초나라와 월나라만큼 먼 것이고,

서로 같다는 관점에서 보면

만물이 모두가 한가지입니다.

- 장자(내편) ; 제5편 덕충부[2]-

常季曰:

상계왈:상계가 말했다.

「何謂也?」

「하위야?」“무슨 뜻입니까?”

仲尼曰:

중니왈:공자가 말했다.

「自其異者視之,

「자기이자시지,“만물은 서로 다르다는 관점에서 보면

肝膽楚越也;

간담초월야; 몸의 담과 간도 초나라와 월나라만큼 먼 것이고,

自其同者視之,

자기동자시지, 서로 같다는 관점에서 보면

萬物皆一也。

만물개일야。 만물이 모두가 한가지입니다.

夫若然者,

부약연자, 이런 것을 아는 사람은

且不知耳目之所宜,

차불지이목지소의, 귀와 눈을 즐겁게 하는 아름다운 것도 알지 못하게 되며,

而遊心乎德之和;

이유심호덕지화; 마음을 덕의 조화 속에 노닐게 합니다.

物視其所一

물시기소일 만물이 한가지인 것만 보지

而不見其所喪,

이불견기소상, 그것들이 어긋나는 점은 보지 않습니다.

視喪其足猶遺土也。」

시상기족유유토야。」 그는 그의 발을 잃은 것을 마치 흙을 털어 버린 것과 같이 여기고 있는 것입니다.”

常季曰:

상계왈:상계가 말했다.

「彼為己以其知,

「피위기이기지,“그는 자기 자신을 닦음에 있어 그의 지각으로써

得其心以其心,

득기심이기심, 그의 마음을 얻었고, 그의 마음으로써

得其常心。

득기상심。 그의 한결같은 마음을 이루었습니다.

物何為最之哉?」

물하위최지재?」 사람들은 어째서 그에게로 모여드는 것입니까?”

仲尼曰:

중니왈:공자가 말했다.

「人莫鑒於流水,

「인막감어류수 “사람들은 흐르는 물을 거울로 삼지 않고

而鑒於止水。

이감어지수。 멈춰 있는 물을 거울로 삼습니다.

唯止能止眾止。

유지능지중지。 멈춰 있는 것만이 멈춰 있음으로서 사람들을 모여들게 합니다.

受命於地

수명어지,땅에서 성명을 받고 있는 것 중에서

唯松柏獨也正,

유송백독야정, 소나무와 잣나무만이 올바르므로

在冬夏青青;

재동하청청; 겨울에나 여름에나 늘 푸른 것입니다.

受命於天,

수명어천, 하늘에서 성명을 받고 있는 것 중

唯堯舜獨也正,

유요순독야정, 오직 요순임금만이 홀로 올발라서

在萬物之首。

재만물지수。 만물의 우두머리가 되어 있습니다.

幸能正生、

행능정생, 다행히도 삶을 올바르게 할 수 있었기 때문에

以正眾生。

이정중생。 여러 사람들의 삶을 바로잡아 줄 수 있었던 것입니다.

夫保始之徵,

부보시지징,근본적인 성명을 보존하는 효험은

不懼之實,

불구지실, 두려움이 없는 결실을 이룩합니다.

勇士一人,

용사일인, 한 사람의 용사가

雄入於九軍。

웅입어구군。 많은 군사들 속으로 돌진해 들어갑니다.

將求名

장구명, 용감하다는 명성을 스스로 추구하기 위해서

而能自要者,

이능자요자 스스로 실천하는 사람들이라 할지라도

而猶若是,

이유약시, 이 같은 것입니다.

而況官天地,

이황관천지, 하물며 하늘과 땅을 다스리고

府萬物,

부만물,만물을 감싸며

直寓六骸,

직우륙해,자신의 육체는 임시로 빌린 것에 불과하며

象耳目,

상이목,귀와 눈도 가상이며,

一知之所知,

일지지소지, 아는 것과 알지 못하는 것이 한가지라고 여김으로써

而心未嘗死者乎!

이심미상사자호! 마음이 죽어버리는 일이 없는 사람이야 어떻겠습니까?

彼且擇日而登假,

피차택일이등가, 그는 또한 날을 골라 이승을 떠나려 하고 있기 때문에

人則從是也。

인칙종시야。 사람들이 그를 따르는 것입니다.

彼且何肯以物為事乎!」

피차하긍이물위사호!」 그가 어찌 사물로써 자기 일을 삼으려 하겠습니까?”

'생활 > 지식 상식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간12지  (0) 2012.12.15
天干地支  (1) 2012.12.15
태극기의 음양과 팔괘  (0) 2011.03.21
주역의 기본 개념들  (0) 2011.03.21
인생은 아름답고 역사는 발전한다  (3) 2009.08.21

태극기

태극기는 태극에서 음양이 분리되고 팔괘 중 건곤감리의 방위를 배치하였다.



괘의 위치 &상징

[(乾)]-하늘 天,[(坎)]-물 水

[리(離)]-불 火, [(坤)]-땅 地

[(乾)] 원(元)하고 형(亨)하고 이(利)하고 정(貞)하다

(乾)은 크게 형통한다, 일이 옳고 곧다’이다

[리(離)]

육십사괘 중 이(離)괘가 상(上)과 하(下)에 있는 괘이다.

이위화(離爲火)라고도 하며 원문에 따르면

이정(利貞)하니 형(亨)하니 축빈우(畜牝牛)하면 길하리라.

곧음이 이로우니 형통하고 암소를 기르듯 하면 좋으니라.

바른 길을 쫓으면 좋고 유순한 암소같이 순종할 줄도 알아야 한다.

[(坎)]

육십사괘 중 감괘(坎卦)가 상(上)과 하(下)에 있는 괘로서 감위수(坎爲水)라고도 한다.

원문에 따르면

유부(有孚)면 유심형(維心亨)이니 행(行)하면 유상(有尙)이리라.

믿음이 있으면 마음은 형통하고 행하면 숭상함이 있다.

[(坤)]

땅을 상징하는 음(陰)의 괘로, 유순하고 사물을 성장시키는 덕을 나타낸다.

괘사(卦辭)는 "크게 형통한다, 암말의 곧음이 이롭다,

갈 데가 있을 때 먼저 가면 방황하고, 뒤에 가면 주인을 얻어서 이롭다"고 되어 있다.



 

 

팔괘 [八卦]

역(易)을 구성하는 64괘의 기본이 되는 8개의 도형(圖形).건(乾:)·태(兌:)·이(離:)·진(震:)·손(巽:)·감(坎:)·간(艮:)·곤(坤:)을 말한다. 괘(卦)는 걸어 놓는다는 괘(掛)와 통하여, 천지만물의 형상을 걸어 놓아 사람에게 보인다는 뜻으로, 그 구성은 음효(陰爻:- -,六)와 양효(陽爻:―, 九)를 1대 2, 또는 2대 1 등의 비율로 셋이 되게 짝지어 이루어진다. 《사기(史記)》 <삼황기(三皇紀)>에 보면, 팔괘는 중국 최고(最古)의 제왕 복희(伏羲)가 천문지리를 관찰해서 만들었다고 하며, 뒤에 이 괘 두 개씩을 겹쳐 중괘(重卦) 육십사괘(六十四卦)를 만들어 이로써 사람의 길흉 ·화복(禍福)을 점치게 되었다.

 

육십사괘 [六十四卦]

운명 판단의 원리.복희(伏羲)가 처음으로 8괘를 만들고, 그 뒷사람이 그 중 2괘씩을 겹쳐 중괘(重卦) 64개를 만들었다고 한다. 중괘가 이루어짐으로써 6효(爻)가 비로소 성립되었다.《주역(周易)》 상경(上經)에 30괘, 하경(下經)에 34괘를 싣고, 괘마다 괘상(卦象)을 설명한 괘사(卦辭)와 효를 풀이한 효사(爻辭)가 있어서, 점을 쳐서 괘를 얻으면 누구나 다 일의 길흉화복을 판단하게 된다. 64괘를 만든 인물에 대해서는 신농(神農)을 말하는 이도 있고, 하(夏)의 우왕(禹王)을 말하는 이도 있고, 주(周)의 문왕(文王)을 말하는 이도 있어서 확실한 것을 알 수 없다.

 

上卦 [ 상괘 ] 두 괘로 된 육효(六爻)에 있어서의 위(上)의 괘.

 

下卦 [ 하괘 ] 주역(周易)의 육효(六爻)의 아래에 있는 세 괘.

 

양의 [ 兩儀 ]양(陽)과 음(陰), 또는 하늘과 땅. 이를 효로 나타내면 양효와 음효가 되고, 숫자로는 九[陽]와 六[陰]으로 표현된다.

 

사상[四象]태음(太陰)•태양(太陽)•소음(少陰)•소양(少陽) 으로 표현됨. 六六[陰陰] • 九九[陽陽] • 六九[陰陽] • 九六[陽陰]을 상하로 포개어 나타냄.

 

팔괘(八卦) 중국 상고 시대에 복희씨가 지었다는 여덟 가지의 괘. <주역>에서 세상의 모든 현상을 음양을 겹치어 여덟 가지의 상으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태극기는 태극에서 음양이 분리되고 팔괘 중 건곤감리의 방위를 배치하였다.

 

 

태극> 양의> 사상> 팔괘(八卦)

 

 

 

사상[四象]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