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5 여제자등현산(與諸子登峴山)-맹호연(孟浩然;689-740)
(여러 사람들과 현산에 올라)
人事有代謝,
(인사유대사),사람의 일이란 흥망이 바뀌는 법
往來成古今.
(왕내성고금).지난 일과 오는 일이 역사를 만든다
江山留勝跡,
(강산류승적),강산은 좋은 형적, 형산을 만들었나니
我輩復登臨.
(아배복등림).우리들 다시 올라왔다네
水落魚梁淺,
(수낙어량천),물 빠지니 어량은 바닥 드러나고
天寒夢澤深.
(천한몽택심).날 추워지니 몽택은 깊어진다
羊公碑字在,
(양공비자재),양공의 비문의 글자 그대로 인데
讀罷淚沾襟.
(독파누첨금).읽고 나니 눈물이 옷깃을 적신다
[안병렬 역]
125 맹호연(孟浩然;689-740)
여러 사람들과 현산에 오르다
사람의 일
흥하고 바뀜이 있고
지난 일과 이제 일이
고금을 이룬다.
강산은
좋은 자취 남겼나니
우리들은
다시 여기 오른다.
물 빠지니
어량은 드러나고
날이 차가와지니
몽택이 깊어진다.
양공의 비문은
아직도 그대로인데
읽고 나니
눈물이 수건을 적신다.
'중국고전 > 唐詩삼백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7 맹호연, 세모귀남산(歲暮歸南山) (0) | 2017.10.16 |
---|---|
126 맹호연,청명일연매도사방(淸明日宴梅道士房) (0) | 2017.10.15 |
124 맹호연, 망동정호증장승상(望洞庭湖贈張丞相) (0) | 2017.10.13 |
123 왕유, 종남별업(終南別業) (0) | 2017.10.13 |
122 왕유, 한강림조(漢江臨眺) (1) | 2017.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