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kydong77.tistory.com/17185

 

唐詩三百首 목차와 한문 국역 총정리

이태백의 채색 초상화 목차의 시인과 시 제목을 복사하여 검색하면 인테넷에서 쉽게 한문과 국역을 찾을 수 있습니다. 唐詩三百首 목차 http://kydong77.tistory.com/15119 唐詩三百首 목차 동영상 포스

kydong77.tistory.com

 

이 블로그에 아래 책의 번역을 추가합니다.

邱燮友 편저 · 安秉烈 역,韓譯 唐詩三百首,계명대학교출판부,1991.

한글 번역에서 字句를 다소 수정한 데 대하여 安秉烈님께 양해를 구합니다

 

이 번역의 장점은 한시 1행을 번역시 1행으로 처리하는

지금까지의 관습에서 벗어나

형식에서 한시 1행을 번역시에서는 4행으로 처리함으로써

의미 단위가 명료해 현대시처럼 의미나 이미지 연결이 용이한 점이다

현대시에 가까운 시행 처리를 시도한

安秉烈님께  감사한다.

 

[笙歌,笙詩]  6편

笙詩[가락만 남고 한시 작품 망실] 6편명  

170 小雅 녹명지십(鹿鳴之什) 10편 남해(南陔)[笙詩]  

171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1편 백화(白華) [笙歌,笙詩]  

172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2편 화서(華黍)[笙歌,笙詩]  

174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4편 유경(由庚)[笙歌,笙詩]  

176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6편 숭구(崇丘)[笙歌,笙詩]  

178 小雅- 南有嘉魚之什-유의(由儀) [笙歌,笙詩]

 

 

唐詩三百首 목차

http://kydong77.tistory.com/15119

 

唐詩三百首 목차

동영상 포스트 https://www.youtube.com/watch?v=6i908OSPphI 이 블로그에 아래 책의 번역을 추가합니다. 邱燮友 편저 · 安秉烈 역,韓譯 唐詩三百首,계명대학교출판부,1991. 한글 번역에서 字句를 다소 수정한

kydong77.tistory.com

 

卷一
五言古詩 ( 001-035)
 

001.張九齡感遇四首之一

002.張九齡感遇四首之二

003.張九齡感遇四首之三

004.張九齡感遇四首之四

005.李白下終南山過斛斯山人宿置酒

006.李白月下獨酌

007.李白春思

008.杜甫望岳

009.杜甫贈衛八處士

010.杜甫佳人

011.杜甫夢李白二首之一

012.杜甫夢李白二首之二

013.王維送別

014.王維送綦毋潛落第還鄕

015.王維靑溪

016.王維渭川田家

017.王維西施詠

018.孟浩然秋登蘭山寄張五

019.孟浩然夏日南亭懷辛大

020.孟浩然宿業師山房待丁大不至

021.王昌齡同從弟南齋 玩月憶山陰崔少府

022.邱爲尋西山隱者不遇

023.綦毋潛春泛若耶溪

024.常建宿王昌齡隱居

025.岑參與高適薛據登慈恩寺浮圖

026.元結賊退示官吏幷序

027.韋應物郡齋雨中與諸文士燕集

028.韋應物初發揚子寄元大校書

029.韋應物寄全椒山中道士

030.韋應物長安遇馮著

031.韋應物夕次盱眙縣

032.韋應物東郊

033.韋應物送楊氏女

034.柳宗元晨詣超師院讀禪經

035.柳宗元溪居

 

 

樂府( 036-45)

 

036.王昌齡塞上曲

037.王昌齡塞下曲

038.李白關山月

039.李白子夜四時歌春歌

040.李白子夜四時歌夏歌

041.李白子夜四時歌秋歌

042.李白子夜四時歌冬歌

043.李白長干行

044.孟郊烈女操

045.孟郊游子吟

 

 

卷二

七言古詩( 046-73)

 

046.陳子昂登幽州台歌

047.李頎古意

048.李頎送陳章甫

049.李頎琴歌

050.李頎聽董大彈胡笳聲兼寄語弄房給事

051.李頎聽安萬善吹篳篥歌

052.孟浩然夜歸鹿門山歌

053.李白廬山謠寄盧侍御虛舟

054.李白夢游天姥吟留別

055.李白金陵酒肆留別

056.李白宣州謝月兆樓餞別校書叔云

057.岑參走馬川行奉送封大夫出師西征

058.岑參輪台歌奉送封大夫出師西征

059.岑參白雪歌送武判官歸京

060.杜甫韋諷錄事宅觀曹將軍畫馬圖

061.杜甫丹靑引贈曹霸將軍

062.杜甫寄韓諫議

063.杜甫古柏行

064.杜甫觀公孫大娘弟子 舞劍器行幷序

065.元結石魚湖上醉歌幷序

066.韓愈山石

067.韓愈八月十五夜贈張功曹

068.韓愈謁衡岳廟遂宿岳寺題門樓

069.韓愈石鼓歌

070.柳宗元漁翁

071.白居易長恨歌

072.白居易琵琶行幷序

073.李商隱韓碑

 

 

樂府 (074-89)

 

074.高適燕歌行幷序

075.李頎古從軍行

076.王維洛陽女兒行

077.王維老將行

078.王維桃源行

079.李白蜀道難

080.李白長相思二首之一

081.李白長相思二首之二

082.李白行路難三首之一

083.李白行路難三首之二

084.李白行路難三首之三

085.李白將進酒

086.杜甫兵車行

087.杜甫麗人行

088.杜甫哀江頭

089.杜甫哀王孫 

 

 

卷三

五言律詩(090-169)

 

 

090.唐玄宗經鄒魯祭孔子而嘆之

091.張九齡望月懷遠

092.王勃送杜少府之任蜀州

093.駱賓王在獄詠蟬幷序

094.杜審言和晉陵路丞早春游望

095.沈全期雜詩

096.宋之問題大庾嶺北驛

097.王灣次北固山下

098.常建題破山寺后禪院

099.岑參寄左省杜拾遺

100.李白贈孟浩然

101.李白渡荊門送別

102.李白送友人

103.李白聽蜀僧浚彈琴

104.李白夜泊牛渚懷古

105.杜甫月夜

106.杜甫春望

107.杜甫春宿左省

108.杜甫至德二載甫自京金光門出問道歸鳳翔乾元初從左拾遺移華州掾與親

109.杜甫月夜憶舍弟

110.杜甫天末懷李白

111.杜甫奉濟驛重送嚴公四韻

112.杜甫別房太尉墓

113.杜甫旅夜書懷

114.杜甫登岳陽樓

115.王維輞川閑居贈裴秀才迪

116.王維山居秋暝

117.王維歸嵩山作

118.王維終南山

119.王維酬張少府

120.王維過香積寺

121.王維送梓州李使君

122.王維漢江臨眺

123.王維終南別業

124.孟浩然望洞庭湖贈張丞相

125.孟浩然與諸子登峴山

126.孟浩然淸明日宴梅道士房

127.孟浩然歲暮歸南山

128.孟浩然過故人庄

129.孟浩然秦中感秋寄遠上人

130.孟浩然宿桐廬江寄廣陵舊游

131.孟浩然留別王侍御維

132.孟浩然早寒江上有懷

133.劉長卿秋日登吳公台上寺遠眺

134.劉常卿送李中丞歸漢陽別業

135.劉長卿餞別王十一南游

136.劉長卿尋南溪常山道人隱居

137.劉長卿新年作

138.錢起送僧歸日本

139.錢起谷口書齋寄楊補闕

140.韋應物淮上喜會梁川故人

141.韋應物賦得暮雨送李冑

142.□):酬程延秋夜卽事見贈

143.劉脊虛闕題

144.戴叔倫江鄕故人偶集客舍

145.盧綸李端公

146.李益喜見外弟又言別

147.司空曙雲陽館與韓紳宿別

148.司空曙喜外弟盧綸見宿

149.司空曙賊平后送人北歸

150.劉禹錫蜀先主廟

151.張籍沒蕃故人

152.白居易賦得古原草送別

153.杜牧旅宿

154.許渾秋日赴闕題潼關驛樓

155.許渾早秋

156.李商隱

157.李商隱風雨

158.李商隱落花

159.李商隱涼思

160.李商隱北靑蘿

161.溫庭筠送人東游

162.馬戴灞上秋居

163.馬戴楚江懷古

164.張喬書邊事

165.崔涂巴山道中除夜有懷

166.崔涂孤雁

167.杜荀鶴春宮怨

168.韋庄章台夜思

169.僧皎然尋陸鴻漸不遇

 

卷四

七言律詩(170-222)

 

170.崔顥黃鶴樓

171.崔顥行經華陰

172.祖詠望薊門

173.李頎送魏萬之京

174.崔曙九日登望仙台呈劉明府

176.高適送李少府貶峽中王少府貶長沙

177.岑參奉和中書舍人賈至早朝大明宮

178.王維和賈舍人早朝大明宮之作

179.王維奉和聖制從蓬萊向興慶閣道中留春雨中春望之作應制

180.王維積雨輞川庄作

181.王維酬郭給事

182.杜甫蜀相

183.杜甫客至

184.杜甫野望

185.杜甫聞官軍收河南河北

186.杜甫登高

187.杜甫登樓

188.杜甫宿府

189.杜甫閣夜

190.杜甫詠懷古跡五首之一

191.杜甫詠懷古跡五首之二

192.杜甫詠懷古跡五首之三

193.杜甫詠懷古跡五首之四

194.杜甫詠懷古跡五首之五

195.劉長卿江州重別薛六柳八二員外

196.劉長卿長沙過賈誼宅

197.劉長卿自夏口至鸚洲夕望岳陽寄源中丞

198.錢起贈闕下裴舍人

199.韋應物寄李儋元錫

200.□:同題仙游觀

201.皇甫冉春思

202.盧綸晩次鄂州

203.柳宗元登柳州城樓寄漳汀封連四州刺史

204.劉禹錫西塞山懷古

205.元稹遣悲懷三首之一

206.元稹遣悲懷三首之二

207.元稹遣悲懷三首之三

208.白居易自河南經亂

209.李商隱錦瑟

210.李商隱無題

211.李商隱隋宮

212.李商隱無題二首之一

213.李商隱無題二首之二

214.李商隱籌筆驛

215.李商隱無題

216.李商隱春雨

217.李商隱無題二首之一

218.李商隱無題二首之二

219.溫庭筠利洲南渡

220.溫庭筠蘇武廟

221.薛逢宮詞

222.秦韜玉貧女

 

 

樂府 (223)

 

223.沈全期古意呈補闕喬知之

 

 

卷五

五言絶句(224-252)

 

224.王維鹿柴

225.王維竹里館

226.王維送別

227.王維相思

228.王維雜詩

229.裴迪送崔九

230.祖詠終南望餘雪

231.孟浩然宿建德江

232.孟浩然春曉

233.李白夜思

234.李白怨情

235.杜甫八陣圖

236.王之渙登鸛雀樓

237.劉長卿送靈澈

238.劉長卿彈琴

239.劉長卿送上人

240.韋應物秋夜寄邱員外

241.李端聽箏

242.王建新嫁娘

243.權德輿玉臺體

244.柳宗元江雪

245.元稹行宮

246.白居易問劉十九

247.張祜何滿子

248.李商隱登樂游原

249.賈島尋隱者不遇

250.李頻渡漢江

251.金昌緖春怨

252.西鄙人哥舒歌

 

 

樂府(253-260)

 

253.崔顥長干行二首之一

254.崔顥長干行二首之二

255.李白玉階怨

256.盧綸塞下曲四首之一

257.盧綸塞下曲四首之二

258.盧綸塞下曲四首之三

259.盧綸塞下曲四首之四

260.李益江南曲

 

 

卷六

七言絶句(261-311)

 

261.賀知章回鄕偶書

262.張旭桃花溪

263.王維九月九日憶山東兄弟

264.王昌齡芙蓉樓送辛漸

265.王昌齡閨怨

266.王昌齡春宮曲

267.王翰涼州詞

268.李白送孟浩然之廣陵

269.李白早發白帝城

270.岑參逢入京使

271.杜甫江南逢李龜年

272.韋應物滁州西澗

273.張繼楓橋夜泊

274.한굉 韓翃寒食

275.劉方平月夜

276.劉方平春怨

277.柳中庸征人怨

278.顧況宮詞

279.李益夜上受降城聞笛

280.劉禹錫烏衣巷

281.劉禹錫春詞

282.白居易后宮詞

283.張祜贈內人

284.張祜集靈台二首之一

285.張祜集靈台二首之二

286.張祜題金陵渡

287.朱慶餘宮詞

288.朱慶餘近試上張水部

289.杜牧將赴吳興登樂游原

290.杜牧赤壁

291.杜牧泊秦淮

292.杜牧寄揚州韓綽判官

293.杜牧遣懷

294.杜牧秋夕

295.杜牧贈別二首之一

296.杜牧贈別二首之二

297.杜牧金谷園

298.李商隱夜雨寄北

299.李商隱寄令狐郎中

300.李商隱爲有

301.李商隱隋宮

302.李商隱瑤池

303.李商隱嫦娥

304.李商隱賈生

305.溫庭筠瑤瑟怨

306.鄭畋馬嵬坡

307.□:已涼

308.韋庄金陵圖

309.陳陶隴西行

310.張泌寄人

311.無名氏雜詩

 

 

樂府(312-320)

 

312.王維渭城曲

313.王維秋夜曲

314.王昌齡長信怨

315.王昌齡出塞

316.王之渙出塞

317.李白淸平調三首之一

318.李白淸平調三首之二

319.李白淸平調三首之三

320.杜秋娘金縷衣

 
 

독음이 달린 책의 목차도 소개합니다. 

 

 

  당시삼백수 목차

 

卷一

五言古詩 ( 001-035)

 

1장 오언고시五言古詩

 

장구령張九齡

001. 감우感遇 1

002. 감우感遇 2

003. 감우感遇 3

004. 감우感遇 4

   

이백李白

005. 하종남산과곡사산인숙치주 下終南山過斛斯山人宿置酒

006. 월하독작月下獨酌

007. 춘사春思

 

두보杜甫

008. 망악望岳

009. 증위팔처사贈衛八處士

010. 가인佳人

011. 몽이백夢李白 1

012. 몽이백夢李白 2

 

왕유王維

013. 송별送別

014. 송기무잠락제환향?毋潛落第還鄕

015. 청계靑溪

016. 위천전가渭川田家

017. 서시영西施詠

 

맹호연孟浩然

018. 추등란산기장오秋登蘭山寄張五

019. 하일남정회신대夏日南亭懷辛大

020. 숙업사산방대정대부지宿業師山房待丁大不至

 

왕창령王昌齡

021. 동종제남제완월억산음최소부同從弟南齋玩月憶山陰崔少府

 

구위邱爲

022. 심서산은자불우尋西山隱者不遇

 

기무잠毋潛

023. 춘범약야계春泛若耶溪

 

상건常建

024. 숙왕창령은거宿王昌齡隱居

 

잠삼岑參

025. 여고적설거등자은사부도與高適薛據登慈恩寺浮圖

 

원결元結

026. 적퇴시관리병서賊退示官吏幷序

 

위응물韋應物

027. 군재우중여제문사연집郡齋雨中與諸文士燕集

028. 초발양자기원대교서初發揚子寄元大校書

029. 기전초산중도사寄全椒山中道士

030. 장안우풍저長安遇馮著

031. 석차우이현夕次??

032. 동교東郊

033. 송양씨녀送楊氏女

 

유종원柳宗元

034. 신지초사원독선경晨詣超師院讀禪經

035. 계거溪居

 

樂府( 036-45)

2장 오언고시악부五言古詩樂府

 

왕창령王昌齡

036. 새상곡塞上曲

037. 새하곡塞下曲

 

이백李白

038. 관산월關山月

039. 자야사시가子夜四時歌 1

040. 자야사시가子夜四時歌 2

041. 자야사시가子夜四時歌 3

042. 자야사시가子夜四時歌 4

043. 장간행長干行

 

 

맹교孟郊

044. 열녀조烈女操

045. 유자음遊子吟

 

卷二

七言古詩( 046-73)

 

 

3장 칠언고시七言古詩

 

진자앙陳子昂

046. 등유주대가登幽州臺歌

 

이기李頎

047. 고의古意

048. 송진장보送陳章甫

049. 금가琴歌

050. 청동대탄호가성겸기어농방급사聽董大彈胡?聲兼寄語弄房給事

051. 청안만선취필률가聽安萬善吹??

   

맹호연孟浩然

052. 야귀녹문산가夜歸鹿門山歌

 

이백李白

053. 여산요기로시어허주廬山謠寄盧侍御虛舟

054. 몽유천로음류별夢遊天?吟留別

055. 금릉주사유별金陵酒肆留別

056. 선주사조루전별교서숙운宣州謝眺樓餞別校書叔雲

 

잠삼岑參

057. 주마천행봉송봉대부출사서정走馬川行奉送封大夫出師西征

058. 윤대가봉송봉대부출사서정輪臺歌奉送封大夫出師西征

059. 백설가송무판관귀경白雪歌送武判官歸京

 

두보杜甫

060. 위풍녹사댁관조장군화마도韋諷錄事宅觀曹將軍?馬圖

061. 단청인증조패장군丹靑引贈曹?將軍

062. 기한간의寄韓諫議

063. 고백행古柏行

064. 관공손대낭제자무검기행병서 觀公孫大娘弟子舞劍器行幷序

 

원결元結

065. 석어호상취가병서石魚湖上醉歌幷序

 

한유韓愈 066. 산석山石

067. 팔월십오야증장공조八月十五夜贈張功曹

068. 알형악묘수숙악사제문루謁衡岳廟遂宿岳寺題門樓

069. 석고가石鼓歌

 

유종원柳宗元

070. 어옹漁翁

 

백거이白居易

071. 장한가長恨歌

072. 비파행병서琵琶行幷序

 

이상은李商隱

073. 한비韓碑

 

樂府 (074-89)

4장 칠언고시악부七言古詩樂府

 

고적高適

074. 연가행병서燕歌行幷序

 

이기李頎

075. 고종군행古從軍行

 

 

왕유王維

076. 낙양여아행洛陽女兒行

077. 노장행老將行

078. 도원행桃源行

 

이백李白

079. 촉도난蜀道難

080. 장상사長相思 1

081. 장상사長相思 2

082. 행로난行路難 1

083. 행로난行路難 2

084. 행로난行路難 3

085. 장진주將進酒

 

두보杜甫

086. 병거행兵車行

087. 여인행麗人行

088. 애강두哀江頭

089. 애왕손哀王孫

 

卷三

五言律詩(090-169)

 

5장 오언율시五言律詩

 

당현종唐玄宗

090. 경로제공자이탄지經魯祭孔子而嘆之

 

장구령張九齡

091. 망월회원望月懷遠

 

왕발王勃

092. 송두소부지촉주送杜少府之任蜀州

 

낙빈왕駱賓王

093. 재옥영선병서在獄詠蟬幷序

 

두심언杜審言

094. 화진릉륙승조춘유망和晉陵陸丞早春遊望

 

심전기沈全期

095. 잡시雜詩

 

송지문宋之問

096. 제대유령북역題大庾嶺北驛

 

왕만王灣

097. 차북고산하次北固山下

 

상건常建

098. 제파산사후선원題破山寺後禪院

 

잠삼岑參

099. 기좌성두습유寄左省杜拾遺

 

이백李白

100. 증맹호연贈孟浩然

101. 도형문송별渡荊門送別

102. 송우인送友人

103. 청촉승준탄금聽蜀僧浚彈琴

104. 야박우저회고夜泊牛渚懷古

 

두보杜甫

105. 월야月夜

106. 춘망春望

107. 춘숙좌성春宿左省

108. 지덕이재보자경금광문출至德二載甫自京金光門出

109. 월야억사제月夜憶舍弟

110. 천말회이백天末懷李白

111. 봉제역중송엄공사운奉濟驛重送嚴公四韻

112. 별방태위묘別房太尉墓

113. 여야서회旅夜書懷

114. 등악양루登岳陽樓

 

왕유王維

115. 망천한거증배수재적輞川閑居贈裴秀才迪

116. 산거추명山居秋暝

117. 귀숭산작歸嵩山作

118. 종남산終南山

119. 수장소부酬張少府

120. 과향적사過香積寺

121. 송재주이사군送梓州李使君

122. 한강림조漢江臨眺

123. 종남별업終南別業

 

맹호연孟浩然

124. 망동정호증장승상望洞庭湖贈張丞相

125. 여제자등현산與諸子登峴山

126. 청명일연매도사방淸明日宴梅道士房

127. 세모귀남산歲暮歸南山

128. 과고인장過故人莊

129. 진중감추기원상인秦中感秋寄遠上人

130. 숙동려강기광릉구유宿桐廬江寄廣陵舊遊

131. 유별왕시어유留別王侍御維

132. 조한강상유회早寒江上有懷

 

유장경劉長卿

133. 추일등오공대상사원조秋日登吳公臺上寺遠眺

134. 송이중승귀한양별업送李中丞歸漢陽別業

135. 전별왕십일남유餞別王十一南遊

136. 심남계상산도인은거尋南溪常山道人隱居

137. 신년작新年作

 

전기錢起

138. 송승귀일본送僧歸日本

139. 곡구서재기양보궐谷口書齋寄楊補闕

 

위응물韋應物

140. 회상희회양천고인淮上喜會梁川故人

141. 부득모우송이주賦得暮雨送李胄

 

한굉?

142. 수정연추야즉사견증酬程延秋夜卽事見贈

 

유신허劉脊虛

143. 궐제闕題

 

대숙륜戴叔倫

144. 강향고인우집객사江鄕故人偶集客舍

 

노륜盧綸

145. 송이단送李端

 

이익李益

146. 희견외제우언별喜見外弟又言別

 

사공서司空曙

147. 운양관여한유별숙雲陽館與韓紳宿別

148. 희외제로륜견숙喜外弟盧綸見宿

149. 적평후송인북귀賊平後送人北歸

 

유우석劉禹錫

150. 촉선주묘蜀先主廟

 

장적張籍

151. 몰번고인沒蕃故人

 

백거이白居易

152. 부득고원초송별賦得古原草送別

 

두목杜牧

153. 여숙旅宿

 

허혼許渾

154. 추일부궐제동관역루秋日赴闕題潼關驛樓

155. 조추早秋

 

이상은李商隱

156.

157. 풍우風雨

158. 낙화落花

159. 양사?

160. 북청라北靑蘿

 

온정균溫庭筠

161. 송인동유送人東遊

 

마대馬戴

162. 파상추거?上秋居

163. 초강회고楚江懷古

 

장교張喬

164. 서변사書邊事

 

최도崔涂

165. 파산도중제야유회巴山道中除夜有懷

166. 고안孤雁

 

두순학杜荀鶴

167. 춘궁원春宮怨

 

위장韋莊

168. 장대야사章臺夜思

 

승교연僧皎然

169. 심육홍점불우尋陸鴻漸不遇

 

卷四

七言律詩(170-222) 

 

6장 칠언율시七言律詩

 

최호崔顥

170. 황학루黃鶴樓

171. 행경화음行經華陰

 

조영祖詠

172. 망계문?

 

이기李頎

173. 송위만지경送魏萬之京

 

최서崔曙

174. 구일등마언대영유명부九日登望仙臺呈劉明府

 

이백李白

175. 등금릉봉황대登金陵鳳凰臺

 

고적高適

176. 송이소부폄협중왕소부폄장사 送李少府貶峽中王少府貶長沙

 

잠삼岑參

177. 봉화중서사인가지조대명궁 奉和中書舍人賈至早朝大明宮

 

 

왕유王維

178. 화가사인조조대명궁지작和賈舍人早朝大明宮之作

179. 봉화성제종봉래향흥경각도중류춘우중춘망지작응제

奉和聖制從蓬萊向興慶閣道中留春雨中春望之作應制

180. 적우망천장작積雨輞川莊作

181. 수곽급사酬郭給事

 

두보杜甫

182. 촉상蜀相

183. 객지客至

184. 야망野望

185. 문관군수하남하북聞官軍收河南河北

186. 등고登高

187. 등루登樓

188. 숙부宿府

189. 각야閣夜

190. 영회고적詠懷古跡 1

191. 영회고적詠懷古跡 2

192. 영회고적詠懷古跡 3

193. 영회고적詠懷古跡 4

194. 영회고적詠懷古跡 5

 

유장경劉長卿

195. 강주중별설육류할이원외江州重別薛六柳八二員外

196. 장사과가의댁長沙過賈誼宅

197. 자하구지앵주석망악양기원중승 自夏口至鸚洲夕望岳陽寄源中丞

 

전기錢起

198. 증궐하배사인贈闕下裴舍人

 

위응물韋應物

199. 기이담원석寄李?元錫

 

한굉?

200. 동제선유관同題仙遊觀

 

황보염皇甫?

201. 춘사春思

 

노륜盧綸 202.

만차악주晩次鄂州

 

유종원柳宗元

203. 등유주성루기장정봉련사주자사 登柳州城樓寄?汀封連四州刺史

 

유우석劉禹錫

204. 서새산회고西塞山懷古

 

원진元稹

205. 견비회遣悲懷 1

206. 견비회遣悲懷 2

207. 견비회遣悲懷 3

 

백거이白居易

208. 자하남경란自河南經亂

 

이상은李商隱

209. 금슬錦瑟

210. 무제無題 1

211. 수궁隋宮

212. 무제無題 2

213. 무제無題 3

214. 주필역籌筆驛

215. 무제無題 4

216. 춘우春雨

217. 무제無題 5

218. 무제無題 6

 

온정균溫庭筠

219. 이주남도利洲南渡

220. 소무묘蘇武廟

 

설봉薛逢

221. 궁사宮詞

 

진도옥秦韜玉

222. 빈녀貧女

 

樂府 (223)

7장 칠언율시악부七言律詩樂府

 

심전기沈全期

223. 독불견獨不見

 

卷五

五言絶句(224-252)

 

 

8장 오언절구五言絶句

 

왕유王維

224. 녹채鹿柴

225. 죽리관竹里館

226. 송별送別

227. 상사相思

228. 잡시雜詩

 

배적裴迪

229. 송최구送崔九

 

조영祖詠

230. 종남망여설終南望餘雪

 

 

맹호연孟浩然

231. 숙건덕강宿建德江

232. 춘효春曉

 

이백李白

233. 정야사靜夜思

234. 원정怨情

 

두보杜甫

235. 팔진도八陣圖

   

왕지환王之渙

236. 등관작루?雀樓

 

유장경劉長卿

237. 송령철送靈澈

238. 탄금彈琴

239. 송상인送上人

 

위응물韋應物

240. 추야기구원외秋夜寄邱員外

 

이단李端

241. 청쟁聽箏

 

왕건王建

242. 신가낭新嫁娘

 

권덕여權德輿

243. 옥대체玉臺體

 

유종원柳宗元

244. 강설江雪

 

원진元稹

245. 행궁行宮

 

백거이白居易

246. 문유십구問劉十九

 

장호張祜

247. 하만자何滿子

 

이상은李商隱

248. 등낙유원登樂遊原

 

가도賈島

249. 심은자불우尋隱者不遇

 

이빈李頻

250. 도한강渡漢江

 

김창서金昌緖

251. 춘원春怨

252.서비인西鄙人 가서가哥舒歌

 

樂府(253-260)

   

9장 오언절구악부五言絶句樂府

   

최호崔顥

253. 장간행長干行 1

254. 장간행長干行 2

 

이백李白

255. 옥계원玉階怨

 

노륜盧綸

256. 새하곡塞下曲 1

257. 새하곡塞下曲 2

258. 새하곡塞下曲 3

259. 새하곡塞下曲 4

 

이익李益

260. 강남곡江南曲

 

卷六

七言絶句(261-311)

 

 

10장 칠언절구七言絶句

   

하지장賀知章

261. 회향우서回鄕偶書

 

장욱張旭

262. 도화계桃花溪

 

 

왕유王維

263. 구월구일억산동형제九月九日憶山東兄弟

 

 

왕창령王昌齡

264. 부용루송신점芙蓉樓送辛漸

265. 규원閨怨

266. 춘궁곡春宮曲

 

왕한王翰

267. 양주사 涼州詞

 

 

이백李白

268. 송맹호연지광릉送孟浩然之廣陵

269. 조발백제성朝發白帝城

 

 

잠삼岑參

270. 봉입경사逢入京使

 

 

두보杜甫

271. 강남봉이구년江南逢李龜年

 

위응물韋應物

272. 저주서간 滁州西澗

 

장계張繼

273. 풍교야박楓橋夜泊

 

한굉 韓翃

274. 한식寒食

 

유방평劉方平

275. 월야月夜

276. 춘원春怨

 

유중용柳中庸

277. 정인원征人怨

 

고황顧況

278. 궁사宮詞

 

이익李益

279. 야상수항성문적夜上受降城聞笛

 

유우석劉禹錫

280. 오의항烏衣巷

281. 춘사春詞

 

백거이白居易

282. 후궁사後宮詞

 

 

장호張祜

283. 증나인贈內人

284. 집령대集靈臺 1

285. 집령대集靈臺 2

286. 제금릉도題金陵渡

 

 

주경여朱慶餘

287. 궁사宮詞

288. 근시상장수부近試上張水部

 

 

두목杜牧

289. 장부오흥등락유원將赴吳興登樂遊原

290. 적벽赤壁

291. 박진회泊秦淮

292. 기양주한작판관寄揚州韓綽判官

293. 유회遣懷

294. 추석秋夕

295. 증별贈別 1

296. 증별贈別 2

297. 금곡원金谷園

 

 

이상은李商隱

298. 야우기북夜雨寄北

299. 기영호낭중寄令狐郎中

300. 위유爲有

301. 수궁隋宮

302. 요지瑤池

303. 상아嫦娥

304. 가생賈生

 

온정균溫庭筠

305. 요슬원瑤瑟怨

 

정전?

306. 마외파馬嵬坡

 

한악韓偓

307. 이량已凉

 

위장韋莊

308. 금릉도金陵圖

 

진도陳陶

309. 농서행?西行

 

장필張泌

310. 기인寄人

 

무명씨無名氏

311. 잡시雜詩

 

樂府(312-320) 

11장 칠언절구악부 七言絶句樂府

   

왕유王維

312. 위성곡渭城曲

313. 추야곡秋夜曲

 

왕창령王昌齡

314. 장신원長信怨

315. 출새出塞

 

왕지환王之渙

316. 출새出塞

 

 

이백李白

317. 청평조淸平調 1

318. 청평조淸平調 2

319. 청평조淸平調 3

 

 

두추낭杜秋娘

320. 금루의金縷衣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17185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17184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중국고전, 시경 · 초사 · 당시삼백수 · 장자 · 사기열전

[사마천] 중국고전 (904) 시경 (328) 초사 (37) 장자 (370) 사기열전 (78) 당시삼백수 (53) 시경시 총목차 [원문&번역] http://kydong77.tistory.com/9127 시경시 311편 총목차/ 원문과 국역& 해설 https://kydong77.tistory.c

kydong77.tistory.com

 

 

 

李白 - 月下獨酌

 

이백(李白, 701~762)은 당나라의 저명한 시인으로 자는 태백, 호는 청련거사. 오늘날까지도 그는 11세 연하의 두보(杜甫, 712~770])와 함께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된다. 그는 도교사상을 용해한 낭만주의의 천재성에 바탕한 詩仙으로, 두보는 유학사상에 충실한 사실주의의 詩聖으로 추앙되는 것이다.당시 문단의 거장 하지장(賀知章, 659-744)은 이백을 ‘적선(謫仙)’이라 찬탄했다, 작품에서도 만취한 이백은 ‘적선’답게 신선세계로 승천한다.

 

* 月下獨酌 (월하독작) 1

花間一壺酒

화간일호주, 꽃 사이 놓인 한 동이 술을

獨酌無相親

독작무상친, 친한 이 없이 혼자 마시네.

擧盃邀明月

거배요명월, 잔 들어 밝은 달을 맞이하고

對影成三人

대영성삼인, 그림자를 대하니 셋이 되었구나.

月旣不解飮

월기불해음, 달은 전부터 술 마실 줄 모르고

影徒隨我身

영도수아신, 그림자는 부질없이 흉내만 내는구나.

暫伴月將影 

잠반월장영, 한동안 달과 그림자 벗해

行樂須及春

행락수급춘, 행락은 모름지기 봄에 맞추었다.

我歌月排徊

아가월배회, 내가 노래하니 달은 거닐고

我舞影凌亂,

아무영능란, 내가 춤을 추니 그림자 어지러워

醒時同交歡

성시동교환, 깨어서는 모두 같이 즐기고

醉後各分散

취후각분산, 취한 뒤에는 제각기 흩어진다.

影結無情遊

영결무정유, 길이 무정한 놀음 저들과 맺어

相期邈雲漢

상기막운한, 아득한 은하에서 다시 만나길.

 

* 月下獨酌(월하독작) 2

天若不愛酒

천약불애주 하늘이 술을 즐기지 않았다면

酒星不在天주성부재천 하늘에 주성이 있을 리가 없고

地若不愛酒지약불애주 땅이 술을 즐기지 않았다면

地應無酒泉지응무주천 땅에 어찌 주천이 있겠는가

天地旣愛酒

천지기애주 천지가 이미 술을 즐겼으니

愛酒不愧天

애주불괴천 술 즐김이 어찌 부끄러우랴

已聞淸比聖

이문청비성 듣기에 청주는 성인과 같고

復道濁如賢

복도탁여현 탁주를 일러 현인과 같다 하니

聖賢旣已飮

성현기이음 성현을 이미 다 마신 후에

何必求神仙

하필구신선 신선을 더 구하여 무엇하랴

三盃通大道

삼배통대도 석 잔 술로 큰 도를 통하고

一斗合自然

일두합자연 한 말 술에 자연과 하나 되나니

俱得醉中趣

구득취중취 취하고 취하여 얻는 즐거움을

勿謂醒者傳

물위성자전 깨어 있는 이에게 전하지 말라

 

* 月下獨酌 월하독작 3

三月咸陽城

삼월함양성 삼월이라 함양성에

千花晝如錦

천화주여금 갖가지 꽃핀 낮이 비단 같구나

誰能春獨愁

수능춘독수 뉘라서 이 봄 수심에 잠기리

對此徑須飮

대차경수음 이 풍경 마주하여 마시리로다

窮通與修短

궁통여수단 궁핍하거나 형통함, 명의 길이가 짧음도

造化夙所稟

조화숙소품 일찍이 조물주로부터 받은 것이니

一樽齊死生

일준제사생 한 잔의 술이면 삶과 죽음이 같은 것이요

萬事固難審

만사고난심 세상만사는 원래 알기가 힘든 것이다

醉後失天地

취후실천지 술에 취하여 천지를 잃어버리고

兀然就孤枕

올연취고침 쓰러져 홀로 잠에 빠지면

不知有吾身

부지유오신 이 내 몸이 있음도 모르게 되니

此樂最爲甚

차락최위심 이 즐거움이 으뜸이로다

 

* 月下獨酌 월하독작 4

窮愁千萬端

궁수천만단 근심걱정은 천만 가지요

美酒三百杯

미주삼백배 아름다운 술은 삼 백잔이라

愁多酒雖少

수다주수소 근심은 많고 비록 술은 적으나

酒傾愁不來

주경수불래 술잔을 기울이면 근심은 오질 않네

所以知酒聖

소이지주성 하여 술을 성인에 비유함을 알겠구나

心自開

주감심자개 술을 마시면 마음이 절로 열리고

辭粟臥首陽

사속와수양 수양산에서 먹기를 사양했던 백이숙제나

屢空飢顔回

누공기안회 빈 쌀뒤주에 굶주린 안회나

當代不樂飮

당대불락음 살아 생전 술 마시기를 즐기지 않았다면

虛名安用哉

허명안용재 헛된 이름 남겨 어디 쓰겠나

蟹螯卽金液

해오즉금액 게의 집게발 안주는 황금액이요

糟丘是蓬萊

조구시봉래 술지게미 더미는 봉래산이라

且須飮美酒

저수음미주 모름지기 아름다운 술을 마시며

乘月醉高臺

승월취고대 달을 타고 취하여 놓은 대에 오르리

 

 

 

https://kydong77.tistory.com/20979

 

月下獨酌(월하독작)

달밤에 홀로 술마시다

-李白

 

[4련중 其一]

 

花間一壺酒 꽃 사이 한 동이 술 놓아두고 ⋅壺(호);병단지

獨酌無相 짝할 이 없어 혼자서 마신다.

擧杯邀明月 잔 들고 밝은 달 맞이하니 ⋅邀(요);맞다.초대하다.

對影成三 그림자까지 세 사람 되었구나.

月旣不解飮 달은 이미 술 마실 줄 모르니

影徒隨我 그림자만 날 따라 마신다.

暫伴月將影 잠시나마 달을 짝하고 그림자 함게 하니

行樂須及[眞韻] 이 즐거움 모름지기 봄까지 가야지.

我歌月徘徊 내가 노래하면 달도 배회하고

我舞影零 내가 춤추면 그림자도 덩실덩실. ⋅零(령);조용히 오는 비.떨어지다

醒時同交歡 술이 깨면 함께 기뻐하고

醉後各分 취한 후엔 각기 흩어진다.

永結無情遊 영원히 情을 잊은 교유 맺어

相期邈雲[去聲 翰韻] 은하수에서 만날 것을 서로 기약한다. ⋅邈(막);멀다. 운한;은하수

 

중국역사의 미인들 http://cafe.naver.com/smnazarene/39582












行路難
(三首中 其一)
살아가기 어려워라

-李白

金樽淸酒斗十

금항아리 맑은 술 한 말에 만냥

玉盤珍羞値萬

옥반의 좋은 안주 그 값이 만냥이라.

停杯投筯不能食

잔 멈추고 젓가락 던지며 먹지 못하고 ⋅筯저;젓가락

拔劍四顧心茫

칼 빼어 사방을 둘러봐도 마음은 아득해라.

欲渡黃河氷塞

황하를 건너자니 얼음이 내를 막고 ⋅塞변방새,막을색

將登太行雪暗

태행산 오르자니 눈내려 암울한 하늘.

閑來垂釣碧溪上

한가로이 푸른 시내에 낚싯대 드리우다

忽復乘舟夢日

홀연히 배타고 장안 가는 꿈을 꾼다.

行路難 行路[先韻]

살아가기 어려워라 살아가기 어려워라.

多歧路 今安

갈림길도 많았으니 지금 어디 있는 거냐?

長風破浪會有時

그 큰 뜻 때가 오리니

直挂雲帆濟滄[上聲 賄韻]

높은 돛 바로 달고 창해를 건너리라.

 

*장풍파랑;소년이 大志 품은 것을 비유.

乘風破浪.종각의 희망;願乘長風 破萬里波.

⋅賄회;뇌물.회뢰(賄賂)]

 

[섬서성 화산]









이백 [, 701~762]

중국 최대의 성당 기() 시인. ‘성당()의 기상을 대표하는 시인으로서의 ‘만고()의 우수’를 언제나 마음속에 품었다. 현존하는 최고()의 시문집은 송 대()에 편집된 것이며, 주석으로는 원대() 소사빈(??)의 《분류보주 이태백시()》, 청대() 왕기()의 《이태백전집()》 등이 있다.

 

자 태백(). 호 청련거사(). 두보()와 함께 ‘이두()’로 병칭되는 중국 최대의 시인이며, 시선()이라 불린다. 1,100여 편의 작품이 현존한다. 그의 생애는 분명하지 못한 점이 많아, 생년을 비롯하여 상당한 부분이 추정에 의존하고 있다. 그의 집안은 간쑤성[] 룽시현[隴西]에 살았으며, 아버지는 서역(西)의 호상이었다고 전한다. 출생지는 오늘날의 쓰촨성[]인 촉()나라의 장밍현[] 또는 더 서쪽의 서역으로서, 어린 시절을 촉나라에서 보냈다.

남성적이고 용감한 것을 좋아한 그는 25세 때 촉나라를 떠나 양쯔강[]을 따라서 장난[] ·산둥[] ·산시[西] 등지를 편력하며 한평생을 보냈다. 젊어서 도교()에 심취했던 그는 산중에서 지낸 적도 많았다. 그의 시의 환상성은 대부분 도교적 발상에 의한 것이며, 산중은 그의 시적 세계의 중요한 무대이기도 하였다. 안릉(:) ·남릉(:) 동로(:)의 땅에 체류한 적도 있으나, 가정에 정착한 적은 드물었다. 맹호연() ·원단구() ·두보 등 많은 시인과 교류하며, 그의 발자취는 중국 각지에 닿지 않은 곳이 없을 정도이다.

불우한 생애를 보내었으나 43세경 현종()의 부름을 받아 창안[]에 들어가 환대를 받고, 한림공봉()이 되었던 1, 2년이 그의 영광의 시기였다. 도사() 오균()의 천거로 궁정에 들어간 그는 자신의 정치적 포부의 실현을 기대하였으나, 한낱 궁정시인으로서 지위를 감수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의 《청평조사(調)》 3수는 궁정시인으로서의 그가 현종 ·양귀비의 모란 향연에서 지은 시이다. 이것으로 그의 시명()은 장안을 떨쳤으나, 그의 분방한 성격은 결국 궁정 분위기와는 맞지 않았다. 이백은 그를 ‘적선인()’이라 평한 하지장() 등과 술에 빠져 ‘술 속의 팔선()’으로 불렸고, 방약무인한 태도 때문에 현종의 총신 고역사()의 미움을 받아 마침내 궁정을 쫓겨나 창안을 떠났다. 창안을 떠난 그는 허난[]으로 향하여 뤄양[] ·카이펑[] 사이를 유력하고, 뤄양에서는 두보와, 카이펑에서는 고적()과 지기지교를 맺었다.

두보와 석문(:西)에서 헤어진 그는 산시[西] ·허베이[]의 각지를 방랑하고, 더 남하하여 광릉(:현재의 ) ·금릉(:)에서 노닐고, 다시 회계(:)를 찾았으며, 55세 때 안녹산(祿)의 난이 일어났을 때는 쉬안청[:]에 있었다. 적군에 쫓긴 현종이 촉나라로 도망하고 그의 황자() 영왕() 인()이 거병, 동쪽으로 향하자 그의 막료로 발탁되었으나 새로 즉위한 황자 숙종과 대립하여 싸움에 패하였으므로 그도 심양(:西)의 옥중에 갇히었다. 뒤이어 야랑(:)으로 유배되었으나 도중에서 곽자의()에 의하여 구명, 사면되었다(59세). 그 후 그는 금릉 ·쉬안청 사이를 방랑하였으나 노쇠한 탓으로 당도(:)의 친척 이양빙()에게 몸을 의지하다가 그 곳에서 병사하였다.

이백의 생애는 방랑으로 시작하여 방랑으로 끝났다. 청소년 시절에는 독서와 검술에 정진하고, 때로는 유협()의 무리들과 어울리기도 하였다. 쓰촨성 각지의 산천을 유력()하기도 하였으며, 민산()에 숨어 선술()을 닦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의 방랑은 단순한 방랑이 아니고, 정신의 자유를 찾는 ‘대붕()의 비상()’이었다. 그의 본질은 세속을 높이 비상하는 대붕, 꿈과 정열에 사는 늠름한 로맨티시스트에 있었다. 또한 술에 취하여 강물 속의 달을 잡으려다가 익사하였다는 전설도 있다. 그에게도 현실 사회나 국가에 관한 강한 관심이 있고, 인생의 우수와 적막에 대한 절실한 응시가 있었다.

그러나 관심을 가지는 방식과 응시의 양태는 두보와는 크게 달랐다. 두보가 언제나 인간으로서 성실하게 살고 인간 속에 침잠하는 방향을 취한 데 대하여, 이백은 오히려 인간을 초월하고 인간의 자유를 비상하는 방향을 취하였다. 그는 인생의 고통이나 비수()까지도 그것을 혼돈화()하여, 그 곳으로부터 비상하려 하였다. 술이 그 혼돈화와 비상의 실천수단이었던 것은 말할것도 없다. 이백의 시를 밑바닥에서 지탱하고 있는 것은 협기()와 신선()과 술이다. 젊은 시절에는 협기가 많았고, 만년에는 신선이 보다 많은 관심의 대상이었으나, 술은 생애를 통하여 그의 문학과 철학의 원천이었다. 두보의 시가 퇴고를 극하는 데 대하여, 이백의 시는 흘러나오는 말이 바로 시가 되는 시풍()이다. 두보의 오언율시()에 대하여, 악부() 칠언절구()를 장기로 한다.

‘성당()의 기상을 대표하는 시인으로서의 이백은 한편으로 인간 ·시대 ·자기에 대한 커다란 기개 ·자부에 불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 기개는 차츰 전제와 독재 아래의 부패 ·오탁의 현실에 젖어들어, 사는 기쁨에 정면으로 대하는 시인은 동시에 ‘만고()의 우수’를 언제나 마음속에 품지 않을 수 없었다. 현존하는 최고()의 그의 시문집은 송대()에 편집된 것이며, 주석으로는 원대() 소사빈(??)의 《분류보주 이태백시()》, 청대() 왕기()의 《이태백전집()》 등이 있다.

http://100.naver.com/100.nhn?docid=12617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