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의 고뇌 -자아상실

제19장 山木편

[은자주]어떤 난제에도 거침없이 비유로 술술 답하던 장자가 조릉의 밤나무 숲에서 숲지기에게 쫓거난 이후, 장자 전편 중 유일하게 깊은 고뇌에 빠진다. 항시 양생(養生)의 도를 밥먹듯이 떠벌이던 자신이 이익을 쫓다가 자신이 위기에 처한 것조차 망각하고 먹이사슬의 한 부분을 차지한 자아상실감 때문이었다.

[먹이사슬, 약육강식의 도식]

[숲관리인]> 장자> 당랑> 사마귀> 매미


(572)

莊周遊於雕陵之樊하다가1) 1)樊(번):藩(번), 바자울타리.

장자가 조릉의 울타리에서 놀다가

覩一異鵲自南方來者라.

한 마리 이상한 까치가 남쪽으로부터 날아오는 것을 보았다.

翼廣七尺이요 目大運寸이나2) 2)目大運寸(목대운촌):眼睛의 直徑이 一寸.

날개 넓이가 7자나 되고, 눈동자의 직경도 한 치였는데

感周之顙하고3) 而集於栗林이라. 3)感:(감):觸.

장자의 이마를 스치고 밤나무 숲에 앉았다.

莊周曰

「此何鳥哉오 翼殷不逝하고4) 4)殷(은):大. 逝(서):往, 飛去.

이것은 어떤 새인가? 큰 날개를 가지고도 높이 날지 못하고

目大不覩아?」

한 치나 되는 눈동자로도 보지 못하는가?“

蹇裳躩步하여5) 執彈而留之라. 5)躩(곽):바삐 가다.

바지를 걷어붙이고 바삐 걸어가 화살을 메우고 머물렀다.

覩一蟬이 方得美蔭하여 而忘其身:

바야흐로 매미 한 마리가 시원한 그늘에서 자신을 잊은 걸 보았다.

螳螂이6) 執翳而搏之하려고7) 6)翳(예):隱蔽(은폐). 7)螳螂(당랑):사마귀.

사마귀가 몸을 숨기고 그것을 잡아먹으려고

見得而忘其形:

자신을 잊은 것을 보았다.

異鵲從而利之 見利하고

이상한 까치는 기회를 타서 당랑을 잡으려고 이익[사마귀]에 눈독을 들이느라

而忘其眞.

자신의 眞性을 잃어버렸다.

莊周怵然曰8) 8)怵(출):슬퍼하다, 가엾게 여기다.

장주는 슬퍼했다.

「噫라! 物固相累하고 二類相召也!」

「아, 만물은 진실로 서로 해를 끼치고 兩者는 서로 탐욕을 부르는구나.」

損彈而反走

장주는 활을 버리고 달리듯 돌아왔다.

虞人逐而誶之라.9)9)虞人(우인):守園囿之吏. 誶(수):욕하다.

숲 관리인이 뒤쫓으며 꾸짖었다.



(573)

莊周反入 三日[또는 三月]不庭.10)

10) 三日(삼일):통행본엔 三月. 不庭(불령):讀不逞(불령), 不愉快, 不快, 逞령:유쾌하다.

장주는 집에 돌아와 삼일간이나 언짢아했다.

藺且從而問之

인차가 가서 물었다.

「夫子何爲頃間甚不庭乎?」11)11)夫子(부자):老聃. 頃間(경간): 요즈음.

「선생님게서는 어찌하여 요즈음 심기가 불편하십니까?」


莊周曰 「吾守形而忘身라.

장주 「나는 외물에 마음을 빼앗겨 내 자신을 잊고

觀於濁水라가 而迷於淸淵.

흐린 물을 보다가 맑은 연못을 잊었다.

且吾聞諸夫子*하니 曰

또한 내 선생님에게 듣기를

󰡔入其俗하고 從其令하라.󰡕12) 12)令(량):禁令.

󰡔어느 지방에 가거든 그곳의 풍속과 습관을 따르라.󰡕고 하셨다.

今吾遊於雕陵하다가 而忘吾身하고

이제 내가 조릉에 노닐다가 내 자신을 잊었고,

異鵲은 感吾顙하고

이상한 까치는 내 이마를 스치고

遊於栗林타가 而忘眞하다.

밤나무숲에 노닐다가 제 자신을 잊었다.

栗林虞人이 以吾爲戮하여13) 13)戮(륙):辱

밤나무 숲 관리인이 나를 욕하여

吾所以不庭也.」

내 기분이 유쾌하지 못하다.」





어떻게 살 것인가 -생존과 천수(天壽)

제19장 山木편

*자기 몸을 온전하게 하여 환란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자신을 공허하게 하여 천지자연과 시대의 변화에 순응할 것을 역설함.


(545)

莊子가 行於山中하다가

장자가 산 속을 가다가

見大木한대 枝葉盛茂라.

큰 나무를 만났는데 가지와 잎이 무성했다.

伐木者가 止其旁하여 而不取也.

나무를 베는 이가 그 곁에 멈춰서서 베려들지 않았다.

問其故하니 曰

그 까닭을 물었다.

「无所可用.」

“슬모가 없습니다.”

莊子曰 「此木以不材로 得終其天年夫인저!」

장자 “이 나무는 쓸모가 없기 때문에 하늘이 준 목숨을 마칠 수 있도다."


出於山하여 舍於故人家하다.

장자는 산을 나와 친구집에 묵었다.

故人喜하여 命豎者殺雁而烹之.1)

친구는 기뻐하여 하인에게 기러기를 잡아 삶으라고 했다.

豎者가 請하여 曰 1)豎(수):더벅머리.

하인이 도움을 청했다.

「其一能鳴하고 其一不能鳴한데

그중 한 놈은 잘 울고 한 놈은 잘 울지 못하는데

請奚殺고?」

어느 놈을 죽일까요?“

主人曰「殺不能鳴者.」

주인 “울지 못하는 놈을 잡아라.”

(545-546)

明日 弟子問於莊子曰

이튿날 제자가 장자에게 물었다.

「昨日山中之木 以不材로

어제 산 속의 나무는 쓸모가 없어서

得終其天年하고:

천수를 마칠 수 있었고

今主人之雁 以不材로 死하니:

오늘 주인의 기러기는 쓸모가 없어서 죽었으니

先生將何處?」

선생께서는 어느 곳에 몸을 두시겠습니까?“

莊子笑曰

장자가 웃었다.

「周將處乎材與不材之間.

나는 쓸모가 있는 것과 쓸모가 없는 것의 중간에 처신하리라.

材與不材之間은 似之나 而非也라

쓸모 있는 것과 쓸모 없는 것의 중간은 도에 가까운 듯하나 진실한 도는 아니다.

故未免乎累.

그러므로 화를 면할 수는 없다.


若夫乘道德하고 而浮遊則不然.

만약 저 도덕을 타고 떠돌며 노닌다면 그렇지 않다.

无譽无訾하고 一龍一蛇하며

그에게는 명예도 없고 비방도 없으며, 한 때는 용이 되고 한때는 뱀이 되며,

與時俱化하여 而无肯專爲:

때를 따라 함께 변화하면서 하나에 집착하지 않는다.

一上一下하고 以和爲量하며

한 때는 올라가고 한 때는 내려가며, 和順을 도량으로 하며,

浮遊乎萬物之祖:

만물의 근원에서 노닌다.

物物하고 而不物於物하니

外物을 主宰하고 外物에게 부림을 당하지 아니하니

則胡可得而累邪!

어찌 外物에게 화를 당하겠는가?

此神農黃帝之法則也.

이것은 신농과 황제의 법칙이다.


若夫萬物之情과 人倫之傳은 則不然.

그러나 만물의 私情과 인륜의 습관은 그렇지 않다.

合則離하고 成則毁하며

취합하면 분리되고 성공하면 훼손당하며

廉*則挫하고2) 尊則議하며 1)廉(렴):利. 예리하다.

예리하면 꺾이고(모난 돌이 정맞고) 존귀하면 비난을 받으며

有爲則虧하고 賢則謀하며

이룬 일은 이지러지며 어질면 음해를 받으며

不肖則欺하니 胡可得而必乎哉!

어리석으면 속임을 당하니 어찌 화를 면하겠는가?

悲夫인저! 弟子志之하라.

슬프다! 제자들이여 기억하라.

其唯道德之鄕乎인저!

오직 도덕의 고향이 있을 뿐이다.





인생이란 무엇인가 -장자 생각

http://blog.naver.com/osj1952/100025823759

 

장자 제물론편

*胡蝶之夢(호접지몽)

 

昔者莊周夢爲胡蝶

(석자장주몽위호접):지난 날,장주가 꿈에 나비가 되어 

栩栩然胡蝶也

(허허연호접야) : 훨훨 날아다니는 나비가 된 채

*栩栩(후후):기뻐하는 모양, 황홀한 모양.

自喩適志與

(자유적지여) : 유쾌하게 즐기면서도

不知周也

(부지주야) : 자기가 장주라는 것을 깨닫지 못했다.

俄然覺

(아연각) : 그러다가 문득 잠에서 깨어나 보니

則蘧蘧然周也

(칙거거연주야) : 자신은 놀랍게도 장주였다.

*蘧蘧(거거):놀라 깨닫는 모양, 마음 든든한 모양.

不知周之夢爲胡蝶

(부지주지몽위호접) : 그가 꿈에서 나비가 된 것인지

胡蝶之夢爲周與

(호접지몽위주여):나비가 꿈에 장주가 된 것인지 몰랐다.

周與胡蝶

(주여호접) : 장주와 나비는

則必有分矣

(즉필유분의) : 틀림없이 다른 존재일터이니

此之謂物化

(차지위물화) : 이를 ‘물화’라고 일컫는다네."

*物化(물화):사물의 변화, 곧 만물의 끝없는 流轉.

 

[융프라우 기슭 & 아랫마을]





양생(養生)의 이치 -포정의 소잡는 기술

http://blog.naver.com/osj1952/100025833515

장자(莊子) 양생주(養生主)편


庖丁爲文惠君解牛(포정위문혜군해우) : 소잡는 포정이 문혜군을 위해 소를 잡은 일이 있다.

手之所觸(수지소촉) : 그때 손을 대고

肩之所倚(견지소의) : 어깨를 기울이고

足之所履(족지소리) : 발로 밝고

膝之所踦(슬지소기) : 무릎을 구부리는 동작에 따라

砉然嚮然(획연향연) : 휙휙 울리는 뼈 발라내는 소리,

奏刀騞然(주도획연) : 칼로 가르는 소리가

莫不中音(막불중음) : 절도에 모두 맞았다.

合於桑林之舞(합어상림지무) : 포정의 몸놀림은 상림의 무악에도 조화되며

乃中經首之會(내중경수지회) : 칼을 움직이는 소리는 경수의 음절에도 맞았다.

文惠君曰(문혜군왈) : 이를 본 문혜군이 말했다.

譆善哉(희선재) : " 참으로 훌륭하구나.

技蓋至此乎(기개지차호) : 소잡는 기술이 어떻게 해서 이런 경지에 이르렀는가?"

庖丁釋刀對曰(포정석도대왈) : 포정이 칼을 놓고 대답했다.

臣之所好者道也(신지소호자도야) : " 제가 즐기는 바는 <도>입니다.

進乎技矣(진호기의) : <도>는 기술보다 우월합니다.

始臣之解牛之時(시신지해우지시) : 처음 제가 소를 잡을 때에는

所見无非全牛者(소견무비전우자) : 보이는 소밖에 없었읍니다.

三年之後(삼년지후) : 3년이 지나자

未嘗見全牛也(미상견전우야) : 소가 온전한 모습 그대로 보이지 않았습니다.

方今之時(방금지시) : 요즘에 이르러서는

臣以神遇而不以目視(신이신우이불이목시) : 저는 마음으로 만나지 눈으로 보지 않습니다.

官知之而神欲行(관지지이신욕행) : 눈의 감각 기능을 멈추고 마음의 눈에 따라 손을 놀립니다.

依乎天理(의호천리) : 천리에 따라

批大卻(비대각) : 큰 틈새를 열어제치고

導大窾因其固然(도대관인기고연) : 빈 곳에 칼을 놀리고 움직여 소 몸의 생긴 그대로를 따라갑니다

枝經肯綮之未嘗(지경긍계지미상) : 그 기술의 미묘함은 아직 한번도 뼈와 살이 연결된 곳을 지나지 않았습니다.

而況大軱乎(이황대고호) : 하물며 큰 뼈가 무슨 장애가 되겠습니까!

良庖歲更刀(량포세갱도):재주있는 소잡이가 해마다 칼을 바꾸는 것은

割也(할야) : 살을 가르기 때문입니다.

族庖月更刀(족포월갱도) : 많은 소잡이가 다달이 칼을 교체하는 것은

折也(절야) : 뼈를 자르기 때문입니다.

今臣之刀十九年矣(금신지도십구년의) : 저의 칼은 지난 19년 줄곧 사용했어도

所解數千牛矣(소해수천우의) : 소 수천마리를 잡았어도

而刀刃若新發於硎(이도인약신발어형) : 칼날이 지금 막 새로 숫돌에 간 것 같습니다.

彼節者有閒(피절자유한) : 소의 뼈마디에는 틈새가 있고

而刀刃者無厚(이도인자무후) : 칼날은 두께가 없을 정도로 날카롭습니다.

以無厚入有閒(이무후입유한) : 두께 없는 칼로 벌어져 있는 뼈마디 사이에 삽입하므로

恢恢乎其於遊刃必有餘地矣(회회호기어유인필유여지의) : 공간이 널찍해서 칼날을 움직이는 데도 여유가 있습니다

是以十九年而刀刃若新發於硎(시이십구년이도인약신발어형) : 그래서 19년이 되어도 칼날을 방금 숫돌에 간 듯합니다.

雖然(수연) : 하지만

每至於族(매지어족) : 칼날이 근육과 골반이 연결된 곳에 이를 때마다

吾見其難爲(오견기난위) : 어려움을 절감합니다.

怵然爲戒(출연위계) : 저는 근심하고 경계를 늦추지 않고서

視爲止(시위지) : 눈길을 고정시키고

行爲遲(행위지) : 손놀림을 천천히 하면서

動刀甚微(동도심미) : 칼날을 매우 세심하게 움직입니다.

謋然已解(획연이해) : 어느 결에 뼈와 살이 확연하게 갈라져

牛不知其死也(우부지기사야) : 소는 자신이 죽은 줄도 모르고

如士委地(여사위지) : 살이 뼈에서 떨어지는 소리가 마치 흙덩이가 땅에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提刀而立(제도이립) : 칼을 든 채 일어나서

爲之四顧(위지사고) : 사방 둘레를 살펴보며

爲之躊躇滿志(위지주저만지) : “잠시 머뭇거리다가 만족한 기분으로

善刀而藏之(선도이장지) : 칼을 씻어 챙겨 넣습니다."

文惠君曰(문혜군왈) : 문혜군은 말했다

善哉(선재) : " 훌륭하구나.

吾聞庖丁之言(오문포정지언) : 내가 포정의 말을 듣고

得養生焉(득양생언) : 양생의 이치를 얻었도다."

[융프라우 & 스위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