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소총 제179화 - 선비의 버릇은 종의 고민 (士習慣奴壅癖)

 

한 선비가 두 벗과 만나

더불어 앉아 있다가 말했다.

"사람은 누구나 한 가지 이상

고상한 버릇이 있기 마련이니

우리 각자 말해 보기로 하세."

 

한 벗이 말했다.

"나는 바야흐로

봄이 되어 따뜻해지면

나이 젊은 몰이꾼 몇 명과 더불어

팔뚝에 해동청 보라매를 올려놓고 나아가

산마루에 서서

방울을 찬 개를 놓아

채색빛 깃털에 아름다운 꿩을 찾아

수풀에서 날아오르게 하지.

그러면 금빛 눈동자와

칼 같은 깃을 가진 매가

번개처럼 날아

비단결 같은 꿩의 목을

푸른 절벽이나 푸른 시냇가에서

잡아채어 날아올 때

꿩을 수습하고

다시 팔뚝에 올려놓지.

이것이 나의 버릇일세."

 

다른 벗이 말했다.

"나는 천금을 쏟아

한 마리의 준마를 마련했네.

용과 같은 몸과 봉황의 가슴에

안개 바람 같은 갈기를 휘날리며

귀는 마치 깎아놓은 대쪽 같고

눈은 샛별 같지.

거기에 금색 굴레를 매달고

옥 안장으로 단장한 뒤에

손에는 산호로 만든 채찍을 들고

번화한 거리를 치닫지.

이것이 나의 버릇일세"

 

이윽고 선비가 말했다.

"나에게도 한 가지 버릇이 있는데

자네들이 가진 버릇과는 다르네."

 

두 벗이 물었다.

"무슨 버릇인가?'

"나에게는 종(奴婢)이 있는데

그의 아내가 무척 아름답다네.

진실로 진흙탕에서 피어난 연꽃 같고

두엄자리에서 피어난 흰 꽃 같지.

그녀를 대하면 마음이 미혹해지고

그녀를 생각하면

정신이 몽롱해질 정도라네.

밤이 깊어

사람의 자취가 조용해진 곳에서

북두칠성이 기울 시각에

남몰래 그녀와 더불어 즐기니

그 즐거움이란

필설로 표현할 길이 없다네.

이것이 내 버릇일세."

 

이때 선비의 종이

이 말을 몰래 엿듣고는

급작스럽게 앞으로 나와 아뢰었다.

"주인 선비님의 버릇이

소인에게는 진실로

옹벽(壅癖)이옵니다."

대개 "옹벽"이라 함은

속된 말로

몹시 고민스럽다는 뜻이었으니

이 말을 들은 두 벗은

배를 움켜잡고 웃었더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