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인석보(月印釋譜)는 세종이 석가의 일생을 서사시로 찬미한 월인천강지곡 전3권과 수양대군 자신이 1446년에 지은 석보상절* 전24권을 합하여 1459년(세조 5)에 편집한 것으로, 두 책제목의 앞 글자 2자씩을 따서 '월인석보(月印釋譜)'라 이름한 것이다.

* "세조를 도와 이 책[석보상절]의 편찬에 참여한 사람은 신미(信眉)·수미(守眉)·홍준(弘濬)·학열(學悅)·학조(學祖)·김수온(金守溫) 등이다. "에서도 밝혔듯이 세종의 어명을 받은 이는 수양대군이지만 편찬 실무자들은 불교를 신봉하는 신미, 김수온 등의 학자들이다.


  여기의 월인석보(月印釋譜) 권21은 15∼16세기경에 목판본으로 복각(復刻)된 중간본으로서, 상 하 2책으로 분책되어 있다. 권말에 간기가 있어  1562년 8월 18일 전라도 순창 무량굴에서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이 책의 첫머리에는 석가의 팔상도(八相圖)의 하나인 도솔내의상과 쌍림열반상(雙林涅槃相)의 변상도(變相圖)가 있다.

[참조]

훈민정음 창제와 신미대사  (0) 2018.11.04

월인석보 목판본

목판본. 세조를 도와 이 책의 편찬에 참여한 사람은 신미(信眉)·수미(守眉)·홍준(弘濬)·학열(學悅)·학조(學祖)·김수온(金守溫) 등이다. 〈석보상절〉로 미루어 모두 24권으로 추정되지만, 지금 전하고 있는 것은 중간본까지 합쳐도 완질(完帙)이 되지 못한다. 편찬동기는 죽은 부모와 일찍 죽은 아들을 위한다고 되어 있지만, 어린 조카 단종을 몰아내 죽이고 왕위에 올라 사육신 등의 많은 신하들을 죽인 뒤 겪는 고통에서 벗어나 구원을 얻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월인석보> 편차자 중 한 분이신 김수온(金守溫)은 당시 석학으로 신미대사의 동생이다.(운영자) 

〈용비어천가 龍飛御天歌〉의 방식을 따라서 〈월인천강지곡〉 몇 수를 먼저 싣고 주석(註釋)에 해당하는 〈석보상절〉을 붙여 지었는데, 조권(調卷)과 문장에 상당히 수정이 가해졌다. 조권의 경우 〈석보상절〉 권11·19의 내용이 〈월인석보〉 권21·18에 합치되며, 권13의 〈석보상절〉은 〈법화경 法華經〉 권1의 내용을, 〈월인석보〉는 〈법화경〉 권2·3의 내용을 보이는 등 권11부터 권차(卷次)가 다르다. 문장과 표기법의 경우 〈월인천강지곡〉은 한자와 독음(讀音)의 위치가 바뀌고 한자음 종성 '자'와 협주(夾註)가 추가되는 등 부분적으로 변개(變改)가 있으나, 〈석보상절〉은 대폭적으로 첨삭(添削)되었으므로 〈월인석보〉는 완전히 새로운 조선 초기 불교문화의 정수이며, 국어학과 국문학의 귀중한 연구자료이기도 하다. 특히 권1의 첫머리에 실린 〈훈민정음〉의 언해는 국어학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현전하는 책 가운데 초간본은 권1·2, 권9·10, 권13·14, 권17·18, 목각본은 1568년(선조 1)의 권1·2, 1572년의 권7·8, 1542(중종 37), 1562(명종 17), 1569년의 권21, 1559년의 권23 등 12권이 남아 있다. 이중 1568년 권1(통문관), 1572년의 권7(동국대학교), 권7~10, 권17·18, 권23(연세대학교 동방학연구소)은 영인되었다. 초간본 10권, 중간본 2권 3책이 보물 제745호로, 권11·12의 2권 2책이 보물 제935호로 지정되었다.

월인석보(月印釋譜)해석및 해설(일부 발췌)

*위 영인본의 현대역

 옛, 헤아릴 수 없이 먼 전 세상 시절에 한 보살이 왕이 되어 계시어, 나라를 아우에게 맡기시고, (부처의) 도리를 배우러 밖으로 나아가시어 구담 바라문을 만나시어 자기의 옷(왕복)을 벗고, 구담의 옷을 입으시어 깊은 산에 들어가 과실과 물을 잡수시고, 고요히 앉아 참선하시다가, (자기가 다스리던)나라에 빌 먹으로 오시니, (예전 왕인 줄을) 모두 몰라보았는데, (사람들이 그를) 소구담이라 (그담의 제자이므로) 하더라. - 보살의 출가-

 보살이 성 밖의 사탕수수 밭에 불도를 닦는 깨끗한 집을 만들고 혼자 앉아 계셨는데, 도둑 오백명이 관청 재물을 훔쳐 정사 곁으로 지나가니 그 도둑이 보살의 전 세상 원수이더라. 이튿날 나라에서 도둑의 발자취를 밟아가서 그 보살을 (도둑을 오인하여) 잡아 나무에 몸을 꿰어 두었더니, 대구담 (보살의 선생)이 신통한 눈으로 보고 허공에서 날아와 묻되, 그대 자식 없더니, (이렇게 죽는 것은)무슨 죄이요? 보살이 대답하시되, 멀쟎아 죽을 나인데 자손을 의론하리요? 그 왕(보살의 아우)이 사람을 시켜 활로 쏘아 죽이니라. - 수도하던 보살의 죽음-

 대구담이 슬퍼하여, (시체를) 염습하여 관에 넣고 피가 묻은 흙을 파 가지고 정사에 돌아와, 왼쪽 피를 따로 담고, 오른쪽 피를 따로 담아 두고 말하되, 이 도사가 정성이 지극하던 것이면 하늘이 마땅히 이피를 사람이 되게 하시리라. 열달 만에 왼쪽 피는 남자가 되고, 오른쪽 피는 여자가 되거늘, 성을 구담씨라 했는데, 이로부터 자손이 이으시니, 구담씨가 다시 일어나시니라. - 구담씨 탄생-

<출처>

https://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1001&docId=58062924&qb=7JuU7J247ISd67O0IDHqtowg7ZW07ISd&enc=utf8&section=kin&rank=2&search_sort=0&spq=0

 

 

<월인석보> 해설

https://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0801&docId=54016662&qb=7ISd67O07IOB7KCIIOq2jDI07JmAIOyblOyduOyEneuztCDqtowyNeydmCDsl63so7wg67CPIOu5hOq1kCDsl7Dqtaw=&enc=utf8&section=kin&rank=2&search_sort=0&spq=0

세조가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과 《석보상절(釋譜詳節)》을 합편(合編)하여 간행한 책이다. 체재는 <월인천강지곡>을 본문으로, <석보상절>을 그에 대한 주석의 형식으로 하였다. 책이름의 ‘월인’은 ‘월인천강지곡’에서 ‘석보’는 ‘석보상절’에서 각각 따온 것으로 이 책의 서문서명(序文書名)과 판심서명(版心書名)에 일치한다. 서지학적으로 엄격히 말한다면, 이 책의 이름은 권수제에 따라 ‘월인천강지곡/ 석보상절’이 되어야겠지만, 학계에서는 ‘월인석보’라는 서명이 관례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간혹 책 표지나 도서관의 표목(標目)에서 권수제의 첫 행인 ‘월인천강지곡’만으로 서명을 삼는 경우가 있는데, 《월인천강지곡》은 별개의 책이므로 이는 혼란의 우려가 있다.

이 책의 원간 연대는 <어제월인석보서>의 “天順 3年 己卯(1459) 7月 7日序”이라는 기록에 따라 1459년(세조 5)으로 추정된다. 편찬 간행의 경위는 서문에 자세히 나와 있다. 세조가 수양대군 시절에 세종의 명을 받아, 모후(母后)인 소헌왕후(昭憲王后)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석보상절>(전 24권)을 지었는데 그것을 보고 세종이 친히 찬불가인 <월인천강지곡>(전 3권)을 지었다는 것이다.

이 두 책은 세종대에 모두 동활자(銅活字)로 간행되었으나, 간행된 직후부터 합편의 작업이 진행된 것으로 추측된다. 국립도서관 소장의 《석보상절》 교정본 권6, 9, 13, 19의 교정 내용과 난상(欄上)의 기록, 본문의 절단 상태, 그리고 <월인천강지곡> 낙장(落張)의 편입 위치 등이 저간의 사정을 잘 보여준다. 그러나 이 작업은 완결을 보지 못하고 중단되었다가 세조 즉위 후에 다시 사업이 시작되어 목판본(전 25권)으로 간행된 것으로 생각된다. 《월인석보》는 원간본과 복각본이 모두 영본(零本)으로 전하고 있다. 원간본으로는 권1,2(서강대 도서관 소장), 권7,8(동국대 도서관 소장), 권9,10(김민영 소장), 권11,12(호암미술관 소장), 권13,14(연세대 도서관 소장), 권15(성암문고 및 순창 구암사 소장), 권17(장흥 보림사 구장), 권17,18(평창 월정사 소장), 권19(가야대 박물관 소장), 권20(개인 소장), 권23(삼성출판박물관 소장), 권25(보림사 소장), 그리고 복각본으로는 권1,2(1568년 풍기 희방사판), 권4(간행지 미상, 16세기 중엽 간행 추정, 김병구 소장), 권7,8(1572년(선조5) 풍기 비로사판), 권21(1542년(중종37) 안동 광흥사판, 1562년(명종17) 순창 무량굴판, 1569년(선조2) 은진 쌍계사판), 권22(간행지 미상, 삼성출판박물관 소장), 권23(1559년(명종14) 무량굴판, 연세대 및 영광 불갑사 소장) 등이 전한다. 복각본이라 하더라도 인출의 시기가 오래된 책은 그리 흔하지 않다. 현전하는 《월인석보》는 원간본과 복각본을 다 합쳐도 권3, 5, 6, 16, 24의 5권이 결권이 된다. 이 책에 쓰인 한글 자형(字形)은 한글 창제 직후의 모습과 다르다. 《용비어천가》, 《석보상절》에 사용된 한글 자형과 달리, 글자의 획이 부드러운 직선으로 바뀌고, 방점과 아래아(?)가 권점(圈點)에서 점획(點劃)으로 바뀌어 나타난다. 이는 1455년(단종 3)의 《홍무정운역훈》에 사용된 한글목활자에서부터 비롯되는 한글 자형의 변화인데, 이후의 한글 문헌에서도 대체로 이 글자형이 사용된다.

《월인석보》가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을 합편한 것이라 하더라도 조권(調卷)과 내용에 있어서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조권에 있어서는 <법화경(法華經)>의 내용이 《석보상절》에서는 권13~21에 나타나지만 《월인석보》에서는 권11~19에 대응되고 있다. <지장경(地藏經)>의 내용도 《석보상절》에서는 권11에, 《월인석보》에서는 권21에 각각 나타난다. 또한 《석보상절》 권23, 24의 내용은 《월인석보》에서는 권24, 25에 대응된다. 체재면에 있어서 <월인천강지곡> 부분은 한자와 독음의 표기 위치(?功득德→功?德득), 한자음 종성 ㅇ표기 유무(셰世존尊→世솅尊존), 협주의 추가 등 부분적 변개와 곡차(曲次)의 변동이 있다. <석보상절> 부분은 내용 및 문장에 있어서 대폭적인 첨삭이 있다.

내용의 추가뿐만 아니라 표기법, 문법, 어휘 선택의 여러 가지 언어사실에서 차이점을 보인다. 이는 이들 문헌 편찬자들 간의 언어 사실 차이에 기인된 것도 있고(?/의 그?→ ?/의게, -긔→-게, 즉자히→즉재, ?니-→?지-, 미혹→迷惑 등), 또 한편으로는 《석보상절》과는 달리 《월인석보》를 불경(佛經)의 성격에 더 가깝게 하려는 편찬자의 의도에 기인된 것도 있다(“그지 업스며 數 업슨 비쳇 光明을 펴샤”(석19:38b)→ “無量無數色光? 펴샤”(월18:4a) 등). 그러나 이러한 변개(變改)가 일률적으로 적용되어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내용이 추가된 부분에서는 언어사실의 차이가 좀더 명확하지만 《석보상절》의 내용을 답습한 부분에 있어서는 언어사실이 혼합되어 있다. 개편 대상 문헌인 《석보상절》의 언어사실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월인석보》를 전혀 새로운 국어사 자료로 이용함에 있어서도 이 점은 항상 고려되어야 한다. 《월인석보》의 후대 복각본들은 그 대부분이 원간본을 판하(版下)로 하여 충실히 복각한 것들이므로 언어사실에 있어서 원간본의 그것과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오각(誤刻)과 탈각(脫刻)이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원간본이 전하지 않는 권차의 복각본을 15세기 국어 자료로 이용할 때에는 더욱 그러하다. 방점의 경우는 탈각이 특히 심하므로 이용이 거의 불가능하다. 방점을 논외로 하더라도 어형(語形)의 오각, 탈각은 복각본에서 흔히 보인다. 한 예로 1568년(선조1)의 희방사판 복각본 권1,2의 ‘?비리’(序2b), ‘다?기짓’(2:13b) 등은 각각 ‘?바리’, ‘다?가짓’에서 탈획된 것이다.

그런데 복각본 가운데에는 간행자가 의도적으로 변개를 가한 판본도 있다. 광흥사판 권21과 쌍계사판 권21이 그것이다. 이 변개는 한자음 독음에 한정된다. 광흥사판은 동국정운식 한자음 종성 ‘ㄹㆆ’이 ‘ㄹ’로 바뀌고(佛뿔, 一?, ···), 종성 ‘ㅇ’의 표기가 삭제된 (地띠藏?菩뽀薩살, 爲위?야, ···) 예가 상당수 존재한다. 원간본과 같이 ‘ㄹㆆ, ㅇ’이 그대로 나타나는 부분도 있으나 이는 원간본의 영향일 뿐이다. 이 판본에서는 그것이 오히려 실수라 할 수 있다. ‘ㄹㆆ→ㄹ’로의 변개는 한자음 독음에만 적용되고 고유어 표기에는 적용되지 않았다(처??제). 한자음 종성 ㅇ의 삭제는 종성 ‘ㅱ’에도 적용되었다(求굼(←?), 道똠(←?)). 이는 광흥사판의 종성 ㅇ의 삭제가 기계적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말해 주기에 충분하다. 쌍계사판은 광흥사판보다 한 걸음 더 나아간 변개를 보여 준다. 한자음 종성의 ‘ㄹㆆ→ㄹ’의 변화와 종성 ㅇ의 삭제뿐만 아니라, 부분적이지만 현실한자음으로 고쳐서 판각한 부분이 눈에 띈다. ‘阿아僧?祇기’(31a)←??낑, 地디藏?菩보薩살(15b)←띵?뽕?, 解해脫탈(30a)←갱?, ···. 동국정운식 한자음을 따르지 않고 현실한자음으로 독음을 표기한 문헌은 이미 15세기말부터 나타났다.

그러나 그것은 그 문헌이 원간본인 경우에 한한다. 복각본의 경우는 원간본의 언어사실을 그대로 따르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임에 비추어 볼 때 이들 판본은 특이한 예라 할 수 있다. 복각본이 아닌 개간본(改刊本)이라 할 수도 있겠으나 그 변개가 고유어 표기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한자음에 있어서도 철저하지 못한 점에서 개간본의 일반적인 성격과는 구별된다. 현전 《월인석보》 원간본과 중간본은 그 상당수가 영인되어 학계의 연구에 이용되고 있다.

원간본 가운데는 권1·2(서강대 인문과학연구소, 1972), 권7·8(동국대), 권9·10(연대 동방학연구소, 1956), 권13·14(홍문각, 1982), 권15(성암문고본, 서지학보21, 1998), 권17·18(연대 동방학 연구소, 1957), 권17(보림사 구장본, 장태진, 교학연구사, 1986), 권20(강순애, 아세아문화사, 2001) 등이 영인되었고, 그들의 재영인본도 여러 차례 간행되었다. 원간본이 전하지 않는 권차의 중간본 권4(경북대, 1997), 권21(홍문각, 1983) 등의 영인본도 있다. (이호권) ① 참고문헌 고영근(1993), 석보상절·월인천강지곡·월인석보, 국어사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문학과 지성사. 김영배(2000), 국어사자료연구: 불전언해 중심, 도서출판월인. 안병희(1992), 국어사 자료 연구, 문학과 지성사. 진단학회(1993), 월인석보의 종합적 검토(제20회 한국고전연구 심포지엄), 진단학보 75. ② 관련항목: 석보상절, 월인천강지곡, 홍무정운역훈, 법화경언해, 지장경언해 ③ 키워드: 세조, 소헌왕후, 한글자형, 복각본, 변개 ④ 원전보기: [서강대 소장 원간본 권1,2] [김병구 소장 복각본 권4] [국립도서관 소장 광흥사판 권21] [불갑사 소장 무량굴판 권23] [보림사 소장 원간본 권25]


옛, 헤아릴 수 없이 먼 전 세상 시절에 한 보살이 왕이 되어 계시어, 나라를 아우에게 맡기시고, (부처의) 도리를 배우러 밖으로 나아가시어 구담 바라문을 만나시어 자기의 옷(왕복)을 벗고, 구담의 옷을 입으시어 깊은 산에 들어가 과실과 물을 잡수시고, 고요히 앉아 참선하시다가, (자기가 다스리던)나라에 빌 먹으로 오시니, (예전 왕인 줄을) 모두 몰라보았는데, (사람들이 그를) 소구담이라 (그담의 제자이므로) 하더라. - 보살의 출가-

보살이 성 밖의 사탕수수 밭에 불도를 닦는 깨끗한 집을 만들고 혼자 앉아 계셨는데, 도둑 오백명이 관청 재물을 훔쳐 정사 곁으로 지나가니 그 도둑이 보살의 전 세상 원수이더라. 이튿날 나라에서 도둑의 발자취를 밟아가서 그 보살을 (도둑을 오인하여) 잡아 나무에 몸을 꿰어 두었더니, 대구담 (보살의 선생)이 신통한 눈으로 보고 허공에서 날아와 묻되, 그대 자식 없더니, (이렇게 죽는 것은)무슨 죄이요? 보살이 대답하시되, 멀쟎아 죽을 나인데 자손을 의론하리요? 그 왕(보살의 아우)이 사람을 시켜 활로 쏘아 죽이니라. - 수도하던 보살의 죽음-

대구담이 슬퍼하여, (시체를) 염습하여 관에 넣고 피가 묻은 흙을 파 가지고 정사에 돌아와, 왼쪽 피를 따로 담고, 오른쪽 피를 따로 담아 두고 말하되, 이 도사가 정성이 지극하던 것이면 하늘이 마땅히 이피를 사람이 되게 하시리라. 열달 만에 왼쪽 피는 남자가 되고, 오른쪽 피는 여자가 되거늘, 성을 구담씨라 했는데, 이로부터 자손이 이으시니, 구담씨가 다시 일어나시니라. - 구담씨 탄생-

 

[알림] 아래 포스트 추가분

그동안 아래 글 이용에 불편을 드려 미안합니다.

법륜스님 - 반야심경 해설  (0) 2018.07.13

[추가]

아래에 순서대로 정리한 포스트 주소를 클릭하면 저작권 침해로 연결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러나 바로 아래  빨간 글씨를 클릭하면 화면 오른쪽에서 유튜브 창에 지금도 연결할 수 있어 법륜스님의 말씀을 들 수 있습니다.

아래 빨간 글씨를 클릭하여 유튜브 창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7riWLOwH4X8&index=5&list=PL9O_DAnSPnfo6ZJBfiwdHjCN9ZzYtk34l

여기에도 제7, 8, 23강 [비공개]로 나오네요.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17888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석보상절>

https://ko.wikipedia.org/wiki/%EC%84%9D%EB%B3%B4%EC%83%81%EC%A0%88

 

석보상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석보상절》(釋譜詳節)은 1447년(세종 29년)에 석가모니의 일대기와 주요설법을 뽑아 한글로 편역한 서적이다. 불교서적중에 한글로 번역, 편찬된 최초의 책으

ko.wikipedia.org

석보상절》(釋譜詳節)은 1447년(세종 29년)에 석가모니의 일대기와 주요설법을 뽑아 한글로 편역한 서적이다. 불교서적중에 한글로 번역, 편찬된 최초의 책으로[1] 소헌왕후의 명복을 기리기 위해 그의 아들 수양대군이 세종의 명을 받아 만들었다. ‘석보’(釋譜)는 석가모니의 전기(傳記)를 의미하고, ‘상절'(’詳節)은 중요로운 내용은 자세히(詳) 쓰고, 그렇지 않은 내용은 줄여서(節) 쓴다는 뜻이다.[1] 금속 활자에 의한 15세기 한글 산문 자료로서 한국 어학, 한국 문학, 한국 서지학, 한국 불교학에서 귀중한 자료 중의 하나이다.

 

https://kydong77.tistory.com/21576

 

한말연구회,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

https://ko.wikipedia.org/wiki/%EC%84%9D%EB%B3%B4%EC%83%81%EC%A0%88 석보상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석보상절》(釋譜詳節)은 1447년(세종 29년)에 석가모니의..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21523

 

천수경, 신묘장구대다라니경/信眉, 禪敎宗都摠攝 密傳正法 悲智雙運 祐國利世 圓融無礙 慧覺尊

https://www.youtube.com/watch?v=0ntn3Q28BD4 [산스크리트어 해석] 아제 아제 바라아제 (가자 가자 피안으로 가자. 바라승아제 피안으로 완전히 건너 가, 모지 사바하 깨달음의 뿌리를 내려 주소서.) *모지>보

kydong77.tistory.com

[세종이 문종에게 유언한 신미대사의 시호]

信眉, 禪敎宗都摠攝 密傳正法 悲智雙運 祐國利世 圓融無礙 慧覺尊者

신미, 선교종도총섭 밀전정법  비지쌍운 우국리세 원융무애 혜각존자

 

* 密傳正法 - 범어[산스크리트어]를 통해 붓다의 가르침을 바로 접근할 수 있게 함.

* "悲智雙運"- '悲智'는 '자비'와 '지혜'의 의미임.

*'祐國利世' - 표음문자인 한글 창제를 선도함.

세종이 지은 시호를 종합해 보면, 범어에 능통한 信眉는 '祐國利世'한 한국의 붓다였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