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소총 제559- 흔들리는 배에는 이중탕 (用理中湯)

서울 노량진에서 배를 타고

한강을 건너는데,

너무 많은 사람과 가축을 실었다.

이에 강 중간쯤 오니

갑자기 회오리바람이 일어,

배가 흔들리면서

물이 넘쳐 들어와

뒤집힐 지경에 이르렀다.

그러자 사람들이 모두

아우성을 치는데,

마침 배 안에는

스님과 무당, 맹인, 의원도 타고 있어

각기 자신들의 노력으로

배를 진정시키려고 했다.

이에 스님은 목탁을 치면서 염불을 하고,

무당은 성조풀이1)를 하는가 하면,

1)성조풀이:(민간에서 무당이 성주받이를 할 때 복을 빌어 부르는 노래.

맹인은 옥추경(玉樞經)을 외우고,

의원은 이중탕(理中湯)을 조제하여

계속 부르짖는 등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그러자 바람이 진정되고

배는 무사히 나루에 닿았다.

 

사람들이 배에서 내리면서

환호를 지르는데,

앞서 배를 진정시키려고 노력했던

네 사람은

서로들 자기의 노력에 의해

무사히 건넜다며 공을 다투었다.

 

먼저 맹인이 나서서 이렇게 말했다.

"오늘 우리가 무사히 강을 건너게 된 것은,

모두 내가 옥추경을

열심히 외운 덕분이라오."

하면서 뽐내니,

 

스님이 나서며 말했다.

"나무관세음보살!

무사히 강을 건넌 것은

내 염불 덕이랍니다."

이러고는 계속 염불을 하면서

목탁을 두드렸다.

 

이에 무당이 나서면서 손을 흔들었다.

"아니오, 모두들 아니랍니다.

배가 흔들린 것은 귀신의 장난이니,

내 성조풀이에 의해

귀신이 쫓겨간 까닭이라오."

이와 같이 무당이

자기의 덕이라고 우기니,

 

가만히 듣고만 있던

의원이 나서면서

천천히 말했다.

"모두들 잘 들어 보시오.

뭐니 뭐니 해도

사람이 음식을 잘못 먹어

배가 울렁거리고

쿨쿨 소리를 내면서 아플 때에는

이중탕으로 다스리는 법이랍니다.

곧 사람의 배나

한강에 떠 있는 배나

모두 같은 '배'니까,

내 이중탕이 효력을 발휘한 것이지요."

 

이에 듣고 있던 사람들이

그 말이 맞는다고 했더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