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소총 제560- 버선이 작아 신기가 어려워 (襪小難着)

어느 고을에 한 부부가

서로 해학을 나누면서

단란하게 살고 있었다.

하루는 남편이 아내에게

이렇게 부탁했다.

"여보, 이제 겨울이 되어가니

솜을 톡톡하게 넣은

버선 하나만 잘 기워 주구려.

내 발에 맞게 잘 기워줘야 하오."

"알았어요.

늘 깁는 버선본이 있으니까

거기에 맞추어 깁지요."

이튿날 아침이었다.

아내가 새로 기운 버선을 내놓으며,

"여보, 버선 다 기웠어요.

한번 신어 봐요.

처음 신는 버선은 좀 빡빡해도,

자꾸 신다 보면 나중에는 헐거워진답니다."

하면서 신어 보라고 권했다.

이에 남편이 버선에 발을 끼워 넣고

아무리 잡아 당겨도

제대로 신어지지 않았다.

옛날부터 솜을 넣어

새로 기운 버선을 신을 때는

발이 잘 들어가지 않아

힘을 주고 잡아당기다 잘못하여

뒤로 넘어지기도 하고,

몸이 뒤틀리면서

온 방안을 헤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무명베로 버선을 기우니

탄력성이 전혀 없어,

앉아서 버선을 신을 때

잘 넘어지게 되는 것이었다.

그렇다고 처음부터 넉넉하게 기워 놓으면

며칠 지나지 않아 헐거워져

자꾸 벗어지므로,

새로 기울 때는

좀 작게 깁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에 얼른 신고 나가야 하는데

들어가질 않으니

남편은 벌컥 화가 났다.

그러자 버선을 빼서는

아내 앞으로 홱 집어 던지면서

퉁명스럽게 말했다.

"당신 재주는 참 이상한 데가 있어!

매사가 거꾸로니."

"여보, 발가락을 오므리고 잘 신어 봐요.

그런데 내가 뭘 거꾸로 했다고

매사가 거꾸로 라는 거에요?"

"글쎄, 들어 보구려.

당신은 작아야 좋을 그 곳은

커서 헐렁헐렁해 영 못쓰겠고,

발이 들어가야 할 버선은

작아서 안 들어가지 않소?

그러니 그게 거꾸로 된 게 아니고

무엇이오?"

 

이에 아내는 깔깔대고

크게 웃으며 말했다.

"뭐, 당신 것은 거꾸로 된 게 없고

모두 좋은 줄 알아요?

길고 커야 좋을 그 연장은

작고 물렁해 커지지를 않고,

크지 않아도 될 발만

세월이 갈수록 자꾸 커져서,

같은 본으로 만든 버선이

들어가질 않는다니

그 어찌된 일입니까?"

 

이 말에 남편은 아내를 껴안고 웃었더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