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지신(支神)의 순서대로 배치된 조각상들을 찍어 보았습니다. '망공산' 시비가 있어 블로그에 수록된 김시습의 <금오신화> 5작품도 재록해 봅니다.
‘望 公山’
ㅡ 梅月堂 金時習
公山峭峻聳崢嶸(공산초준용쟁영) 팔공산이 험준하게 높이 솟아
碍却東南幾日程(애각동남기일정) 사방이 막혔으니 얼마나 가야 할까
多少風光吟不得(다소풍광음부득) 조금도 풍광을 읊지 못하였음은
只緣憔悴病中生(지연초췌병중생) 병으로 인해 초췌하였기 때문이네.
김시습의 시 <望公山>을 만나다니 반갑네요. 이 기회에 <금오신화>를 재록해 보았습니다. 이미 신라 말기
최치원(崔致遠, 857년 ~ 908년 이후)의 <雙女墳傳記>에도 인귀교환설화 소재의 전기소설이 그 효시로 등장합니다만
명나라 구우의 <전등신화> 소재의 인귀교환설화의 영향을 받아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소설로 정착시킨 5편의 단편소설집이 <금오신화>입니다. 책이름의 '금오'는 경주의 금오산으로, 지금은 흔히 경주남산으로 불리웁니다.
*<김시습 년보> 中에서
1454년(단종 2년) 20세 때,
훈련원도정(訓練院都正) 남효례(南孝禮)의 딸을 아내로 맞이하였다.
1455년(세조 1년) 21세에,
삼각산(三角山) 중흥사(重興寺)에서 글을 읽다가 단종(端宗)이 왕위를 빼앗겼다는 변보를 듣고
문을 닫고 3일 동안 밖에 나오지 않았다. 읽던 서적을 다 불에 태우고 거짓 미친 채 변소에 빠졌다가
도망하여 중이 되어 이름을 설잠(雪岑)이라 하였다.
1465년(세조 11년) 31세 때,
경주(慶州)에 정착하였고, 봄에 남산의 주봉인 금오산 용장사 아래 계곡에 금오산실을 지어 살았다.
3월말에 효령대군의 초청을 받아 서울로 나와 원각사(圓覺寺)의 낙성식에 참석하였다.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18316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
김시습, 금오신화/ 총정리
만복사저포기 상 -김시습 (0) 2008.08.05
만복사저포기 하 -김시습 (1) 2008.08.05
이생규장전 상 -김시습 (0) 2008.08.05
이생규장전 하 -김시습 (0) 2008.08.05
취유부벽정기 -김시습 (0) 2008.08.06
남염부주지 상 -김시습 (0) 2008.08.07
남염부주지 하--김시습 (0) 2008.08.07
용궁부연록 -김시습 (0) 2008.08.07
김시습전 -율곡 이이 (0) 2008.08.05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18316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
[관련작품 비교]
<금오신화> vs <전등신화>
만복사저포기-등목취유취경원기
이생규장전 1부-연방루기
이생규장전 2부-애경전
취유부벽정기-금호야범기
남염부주지-영호생명몽록
용궁부연록-수궁경회록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5439?category=487462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
[참고]
<전등신화(剪燈新話)>의 '剪燈'은 등불 심지를 자른다는 뜻으로, 책이름은 잠도 자지 않고 등불 심지를 잘라가며 밤새워 읽는 새로운 이야기라는 뜻입니다. 그 내용은 인귀 교환 설화(人鬼交歡說話), 곧 산사람이 죽은 귀신과 사랑을 나누는 줄거리입니다. 그래서 한 때 귀신 소재의 드라마가 인기였나 봐요.
ko.wikipedia.org/wiki/%EC%A0%84%EB%93%B1%EC%8B%A0%ED%99%94
전등신화(剪燈新話)는 중국 명대에 저술된 괴이소설집이다. 전 40권으로 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4권만이 남아 있다. 본래 《전등록》(剪燈錄)이라고도 하였다. 전21편을 수록하고 있으며, 홍무 11년(1378년)경 성립된 것으로 보인다.
찬자 구우(瞿佑, 1341-1427)는 자는 종길(宗吉), 호는 존재(存齋). 저장 성(浙江省) 전당(錢塘) 사람으로서 시인으로 이름이 알려졌다.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공산 동화사 금강계단 (0) | 2020.11.07 |
---|---|
팔공산 동화사 (0) | 2020.11.07 |
케이블카로 팔공산에서 하강하다 (0) | 2020.11.06 |
팔공산 주변 풍경 2 (0) | 2020.11.06 |
팔공산 주변 풍경 1 (0) | 2020.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