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log.daum.net/junos111/8052911?category=286363

 

告子章句下 第六章 : 先名實者

淳于髡曰 [先名實者, 爲人也. (순우곤 왈 선실명자,위인야)                後名實者, 自爲也. (후실명자,자위야)                夫子在三卿之中, (부자재삼경지중)       ..

blog.daum.net

 

淳于髡曰 [先名實者爲人也(순우곤 왈 선실명자,위인야)

               後名實者自爲也(후실명자,자위야)

               夫子在三卿之中(부자재삼경지중)

               名實未加於上下而去之(실명미가어상하이거지)

               仁者固如此乎? ] (인자고여차호?)

순우곤 : "자기의 명예와 실적을 자기 몸보다 앞세우는 자는 남을 위해서 봉사하는 사람이요,

          명예와 실적을 자기 몸보다 뒤로 돌리는 사람은 오로지 자기 몸만을 위하는 것입니다.

          선생님은 三卿(삼경) 중의 한 사람으로 계시면서

          선생님의 명예와 실적이 아직 위로 임금과 아래로 백성들에게 보탬이 되는 일이 없이

          떠나려 하시니,

          仁한 사람은 본래 그렇습니까?"

 

 

孟子曰 [居下位, 不以賢事不肖者, 伯夷也. (거하위,부이현사불초자,백이야)

           五就湯, 五就桀者, 伊尹也. (오취탕,오취걸자,이윤야)

           不惡汚君, 不辭小官者, 柳下惠也. (불요오군,불사소군자,유하혜야)

           三子者不同道, 其趨一也. 一者何也? (삼자자부동도,기추일야,일자하야?)

           曰 仁也. 君子亦仁而已矣, 何必同? ] (왈 인야,군자역인이이의,하필동?)

맹자 : "현량한 사람으로서 낮은 자리에 있으면서 불초한 자를 섬기지 않은 사람은 伯夷이오.

        다섯 번 탕임금한테 나아가 벼슬했고, 다섯 번 桀에게 나아가 벼슬한 사람은 이윤이오.

        더러운 임금을 싫어하지 않고 작은 벼슬도 사양하지 않은 사람은 유하혜이오.

        이 세 사람은 행한 방식은 달랐지만 뜻하는 바는 같았소. 그 같았다는 것이 무엇인가?

        그것은 仁이오. 군자는 오직 仁하여야 할 따름이오. 하필 그 처신하는 방식이

        같을 필요야 있겠소?"

 

 

曰 [魯繆公之時, 公儀子爲政, (왈,노목공지시,공의자위정)

     子柳子思爲臣, (자유자사위신)

     魯之削也滋甚. (노지삭야자심)

     若是乎賢者之無益於國也! ] (약시시호현자지무익어국야!)

曰 [虞不用百里奚而亡, (왈 우불용백리해이망)

      秦穆公用之而覇. (진목공용지이패)

      不用賢則亡, (불용현즉망)

      削何可得與? ] (삭하가득여?)

순우곤 : "노나라의 목공 때에 공의자가 재상으로 있었고,

          자유와 자사가 신하로서 벼슬을 하고 있었는데도,

          노나라의 땅이 매우 깍이었으니,

          그토록이나 현량한 사람도 나라에 유익함이 없는 것입니까?“

맹자  :  "우나라는 백리해를 등용하지 아니했기 때문에 망했고,

          진나라의 목공은 그를 등용해서 패자가 되었다。

          현량을 등용하지 않으면 망하게 되니,

          어찌 땅을 깍이는 정도조차 얻을 수가 있겠는가?"

 

 

曰 [昔者王豹處於淇而河西善謳(왈 석자왕표처기수,이하서선구)

     綿駒處於高唐而齊右善歌(면구처어고당,이제우선가)

     華周杞梁之妻善哭其夫而變國俗(화주기량지처선곡기부,이변국속)

     有諸內必形諸外(유제내필형제외)

     爲其事而無其功者髡未嘗覩之也(위기사이무기공자,곤미상도지야)

     是故無賢者也有則髡必識之. ] (시고무현자야,유즉곤필식지)

"옛날에 왕표가 기수가까이에서 살 때에는 하서지방의 사람들이 노래를 잘 부르게 되었고,

 면구가 고당에 살 때에는 제나라 서부 지방 사람들이 노래를 잘 부르게 되었고,

 화주와 기량의 아내는 자기 남편의 죽음을 슬피 울어서 그로 인해 나라의 풍속이

 변하게 되었습니다.

 안에 있는 것은 반드시 밖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일을 해도 아무 효과가 나지 않는다는 말을 나는 아직 들어 본 일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이 나라에는 현자가 없는 것입니다. 만약 있다면 나도 반드시 그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曰 [孔子爲魯司寇不用(왈 공자위노사구,불용)

     從而祭(종이제)

     燔肉不至不稅冕而行(번육부지,불세면이행)

     不知者以爲爲肉也(부지자이위위육야)

     其知者以爲爲無禮也(기지자이위위무례야)

     乃孔子則欲以微罪行 不欲爲苟去(내공자즉욕이미죄행,불욕위구거)

     君子之所爲衆人固不識也. ] (군자지소위,중인고불식야)

 "공자는 노나라의 사구(司寇)로 있었는데 별로 중용된 것도 아니요.

  제나라에서 제사를 지냈을 때 공자도 그 제사에 참석했는데,

  제사지낸 고기를 나누어 주지 않기에 예복을 벗지도 않고 노나라를 떠나가 버렸소.

  공자를 모르는 사람은 고기 때문이라고 하고,

  아는 사람들은 임금이 禮가 없기 때문이라고 했소.

  그러나 실은 공자는 작은 과실을 구실로 삼아 떠나가려 하신 것이오.

  이러한 군자가 하는 일을 보통 사람들은 본래 모르는 것이오."

 

m.blog.naver.com/sohoja/220588562267

 

맹자 165 – 고자 하 6

맹자 165 – 고자 하 6 淳于髡曰:「先名實者,爲人也;後名實者,自爲也。夫子在三卿之中,名...

blog.naver.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