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log.daum.net/junos111/8053011?category=286352
대학은 중용과 예기의 한 장이었습니다. 이를 주자가 책으로 독립시킨 것입니다.
예기 49편 중에 중용과 대학만이 독립하여 4서의 지위를 획득하게 됩니다.
이 출발이 주자의 ‘4서집주’입니다. 옆의 목록에서 예기를 클릭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럼 예기 42편으로 가면 대학이 보입니다.
31편으로 가면 중용이 보입니다.
m.blog.daum.net/junos111/8053010?category=286352
본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송(宋)의 사마 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다.
그 후 주자(朱子)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만들어 경(經) 1장(章), 전(傳) 10장으로 구별하여
주석(註釋)을 가하고 이를 존숭(尊崇)하면서부터 널리 세상에 퍼졌다.
주자는, 경은 공자의 말을 증자(曾子)가 기술(記述)한 것이고,
전은 증자의 뜻을 그 제자가 기술한 것이라고 단정하였다.
경에서는 명명덕(明明德:명덕을 밝히는 일) ·신민(新民:백성을 새롭게 하는 일) ·
지지선(止至善:지선에 머무르는 일)을 대학의 3강령(三綱領)이라 하고,
격물(格物) ·치지(致知) ·성의(誠意) ·정심(正心) ·수신(修身) ·제가(齊家) ·치국(治國) ·평천하(平天下)의
8조목(八條目)으로 정리하여 유교의 윤곽을 제시하였다.
실천과정으로서는 8조목에 3강령이 포함되고, 격물 즉 사물의 이치를 구명(究明)하는 것이
그 첫걸음이라고 하였다. 이것이 평천하의 궁극 목적과 연결된다는 것이 대학의 논리이다.
전은 경의 설명이라는 뜻이다.
주자는 본문에 착간(錯簡)과 오탈(誤脫)이 있다 하여 교정하고, 또 ‘격물’의 전을 보충하였다.
명(明)의 왕양명(王陽明)이 주자학을 비판하면서부터 주자의 《대학장구》,
특히 그 보전(補傳)은 유학자간의 논쟁(論爭)의 중심문제가 되었다.
왕양명은 대학고본(大學古本)에 의거하여 대학고본방석(大學古本旁釋)을 지었다.
m.blog.daum.net/junos111/8053011?category=286352
大學之道(대학지도)는 在明明德(재명명덕)하며
在親民(재천민)하며 在止於至善(재지어지선)이니라.
대인이 학문하는 도는 밝은 덕을 밝히는데 있으며,
백성을 새롭게 하는데 있으며, 지극히 선한데서 그치는데 있다.
知止而后(지지이후)에 有定(유정)이니
定而后(정이후)에 能靜(능정)하며 靜而后(정이후)에 能安(능안)하며
安而后(안이후)에 能慮(능려)하며 慮而后(려이후)에 能得(능덕)이니라.
머무르는 곳을 안 후에 정함이 있고
정함이 있은 후에 고요할 수 있고 고요한 후에 편안할 수 있고
편안한 후에 생각할 수 있고 생각한 후에 얻을 수 있다.
物有本末(물유본말)하고 事有終始(사유종시)하니
知所先後(지소선후)면 則近道矣(즉근도의)리라.
사물에는 근본과 말단이 있고, 일에는 마침과 시작이 있으니
먼저할 바와 나중에 할 바를 안다면 곧 도에 가까울 것이다.
古之(고지)에
欲明明德於天下者(욕명명덕어천하자)는 先治其國(선치기국)하고
欲治其國者(욕치기국자)는 先齊其家(선제기가)하고
欲齊其家者(욕제기가자)는 先修其身(선수기신)하고
欲修其身者(욕수기신자)는 先正其心(선정기심)하고
欲正其心者(욕정기심자)는 先誠其意(선성기의)하고
欲誠其意者(욕성기의자)는 先致其知(선치기지)하나니
致知(치지)는 在格物(재격물)하니라.
옛날에
明德(밝은 덕)을 밝히고자 하는 사람은 먼저 자기의 나라를 다스리고
나라를 다스리고자 하는 사람은 먼저 자기의 집안을 가지런히 하고
집안을 가지런히 하고자 하는 사람은 먼저 자신을 수양하고
자신을 수양하고자 하는 사람은 먼저 그 마음을 바르게 하고
마음을 바르게 하고자 하는 사람은 먼저 그 뜻을 참되게 하고
뜻을 참되게 하고자 하는 사람은 먼저 자기의 아는 바를 극진히 하나니
아는 바를 극진히 하는 것은 사물의 이치를 지극한 데까지 궁구하는 데 있다.
物格而后(격물이후)에 知至(지지)하고
知至而后(지지이후)에 意誠(의성)하고
身修而后(수신이후)에 家齊(가제)하고
家齊而后(가제이후)에 國治(국치)하고
國治而后(국치이후)에 天下平(천하평)이니라.
사물의 이치가 지극한 데까지 이른 뒤에 아는 바가 분명해지고
아는 바가 분명해진 뒤에 뜻이 참되게 되고
몸이 닦여진 뒤에 집안이 가지런해지고
집안이 가지런해진 후에 나라가 다스려지고
나라가 다스려진 뒤에 천하가 평화롭게 된다.
自天子至於庶人(자천자지어서인)이 壹是皆以修身爲本(일시개이수신위본)이니라.
其本(기본)이 亂而(난이)면서 末治者否矣(말치자부의)하며
其所厚者(기소후자)에 薄(박)이요,
而其所薄者(이기소박자)에 厚(후)할 이 未之有也(미지유야)이니라.
천자로부터 서인에 이르기까지 하나같이 다 수신으로 근본을 삼는다.
근본이 어지러우면서 말단이 다스려지는 경우는 없으며
두터이 할 바에 엷게 하고,
엷게 할 바에 두터이 할 사람은 지금까지 없었다.
'중국고전 > 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學, 5.格物致知 (0) | 2021.01.21 |
---|---|
大學, 4.本末 (0) | 2021.01.21 |
大學, 3.止於至善 (0) | 2021.01.21 |
大學, 2.新民(신민) (0) | 2021.01.21 |
大學, 1.明明德(명명덕), '밝은 덕(明德)을 밝힌다.' (0) | 2021.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