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log.daum.net/thddudgh7/16534187?category=1425252

 

<서경>(24)우서(虞書)(24)고요모편(皐陶謨篇)(3) 고요가 자신의 정치 이념을 제시하다.

           <서경(書經)>(24) 우서(虞書)(24)         우서(虞書)는 요순(堯舜)의 치적을 기록한 것이라 한다. 우(虞)는 유우(有虞)씨라는 순(舜)의 씨족명(氏   族名)에서부터 유래했다. 내용.

blog.daum.net

 

 

제4편 고요모(皐陶謨)(3)

   이편은 고요가 순임금 앞에서 우와 나누엇던 여러 가지 정책과 의견을 수록한 대목이다. 앞의 몇 편에서

   본바와 같이 고요는 순임금의 신하로 활약하였다. 그는 병권과 형벌을 관장하는 사(士)라는 벼슬을 지낸

   사람으로서,법이 무엇인가를 명확히 파악하여 맡은바 직분을 충실히 이행했으며, 덕으로써 백성들을 다

   스리려고 노력하였다. 뒤에 우(禹)가 왕이 되어 그를 재상으로 삼았으나,곧 죽고 말았다. 그래서 우왕은

   그의 덕을 사모하여, 그의 아들에게 벼슬을 주었다. 고요모는 <금문상서>와 <위고문상서>에 모두 수록

   이 되어 있는 작품이다.

 

 [3] 고요가 자신의 정치 이념을 제시하다. 

    無敎逸欲有邦(무교일욕유방)

   "안일과 욕심으로 나라를 다스리려 하지 말고,

   兢兢業業(긍긍업업)

   삼가 조심을 거듭하고 두려워 해야 합니다.

   一日二日萬幾(일일이일만기)

   하루나 이틀에 만 가지 사단이 비롯되는 것이니,

   無曠庶官(무광서관)

   모든 관리들로 하여금 해야 할 일을 저버리지 않도록 하십시오.

   天工人其代之(천공인기대지)

   하늘의 일을 사람이 대신해야 합니다.

   天敍有典(천서유전)

   하늘에는 질서를 지키는 상법(常法)이 있어서,

   勑我五典五惇哉(내아오전오돈재)

   우리에게 오륜을 삼가 지키도록 하였으니 오륜을 두터이 하십시오.

   天秩有禮(천질유례) 自我五禮有庸哉(자아오례유용재)

   하늘의 위계에도 예가 있어서, 스스로 오례를 떳떳이 할 것이요.

   同寅協恭和衷哉(동인협공화충재)

   함께 이를 받들고 서로 공경하여 화목하고 참되도록 하십시오.

   天命有德(천명유덕)

   하늘의 명에도 덕이 있으니, 

   五服五章哉(오복오장재)

   천자(天子)·제후(諸侯)·경(卿)·대부(大夫)·사(士)등

   다섯 등급으로 오복(五服)을 밝히십시오.

   天討有罪(천토유죄) 五刑五用哉(오형오용재)

   하늘의 토벌은 죄가 있기 때문이니, 오형을 다섯 가지로 사용하십시오.

   政事(정사) 懋哉懋哉(무재무재)

   정사에, 힘쓰시고 또 힘쓰십시오"

 

   *이 절은 앞절에서 계속되는 고요(皐陶)의 말인데,

임금된 자는 단 한 순간 이라도 마음을 놓지 말고 정사에 임해야하며,

하늘의뜻과 질서에 따라서 백성들을 예와 법으로써 다스려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할 만한 것은 오형과 오복을 표명한 것이다.

오복을 제정하여 누구나 첫 눈에 알아 볼수 있도록 관직의 등급을 나타내고,

하늘의 형벌인 오형을 집행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당시의 오형(五刑)은 앞서의 순전(舜典)에 나온 바와 같이 ‘유유오형(流宥五刑)’에서 비롯 되었다.

주나라 형서(刑書)인 <여형(呂刑)>에는,

묵(墨:刺字)·의(劓:코베기)·궁(宮:거세)·비(剕: 발뒤꿈치 베기)·살(殺:사형)의 다섯 가지 형벌이 소개되는데,

이는 신체를 훼손하는 체형이다. 

그러므로 고요는 자기의 정치이념을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있는 셈이다.

그래서 고요편은 고요의 사상과 이념을 전개해놓고

임금에게 올린 좋은 말들을 수록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무릇 한 사람의 말이 일시에 행하여 졌으리라고만은 볼 수가 없겠지만,

한 편으로 수록된 것은 이 글을 지은 저자의 편의에 의한 것이라고도 보여진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