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log.daum.net/thddudgh7/16534225?category=1425252

 

<서경>(43)하서(夏書)(13)우공편(禹貢篇)(13) 우(禹)가 구주(九州)의 모든 역사(役事)를 완수하였다.

             <서경(書經)>(43) 하서(夏書)(13)         하(夏)는 우(禹)를 비롯한 그의 자손들이 중국을 다스렸던 왕조를 가리킨다. 하서(夏書)는 하 왕조(夏王   朝)의 사관(史官)이 기록하.

blog.daum.net

 

 

[13] 우(禹)가 구주(九州)의 모든 역사(役事)를 완수하였다. 

   

   九州攸同(구주유동) 

   아홉 주가 이와 같이 잘 다스려지게 되자,

   四隩旣宅(사오기댁) 

   사방의 바닷가까지 사람이 살수 있게 되었다.

   九山刊旅(구산간려) 

   9산(九山)의 모든 산은 나무를 베어 젖혀 정돈이 되고,

   九川滌源(구천척원) 

   9천(九川)의 모든 하천이 수원(水源)부터 잘 소통이 되어, 

   九澤旣陂(구택기피) 

   9택(九澤)의 모든 호수는 방죽을 쌓게 되었다.

   四海會同(사해회동) 

   이어 사해(四海)의 제후들이 함께 모여 임금을 받들고,

   六府孔修(륙부공수) 

   여섯 가지 물자인 육부(六府)가 크게 다스려져,

   庶土交正(서토교정) 

   모든 지방이 다 같이 바로 잡혔다.

   底愼財賦(저신재부) 

   재물과 부세(賦稅)를 신중히 다루어,

   咸則三壤(함칙삼양) 成賦中邦(성부중방)

   모두 세 가지 등급의 땅에 따라, 중국의 부세(賦稅)를 정하였다.

   錫土姓(석토성) 祗台德先(지태덕선) 

   땅을 백성들에게 내려 주고, 공경히 덕을 먼저 하니,

   不距朕行(부거짐행) 

   ‘내가 하는 일에 거역하는 사람이 없다’고 하시기에 이르렀다.   

   

     *이 절에서는 우(禹)의 업적을 크게 칭송함으로써 그 결론을 맺는 대목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