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mu.wiki/w/%EA%B9%80%EC%A0%95%ED%98%B8

 

김정호 - 나무위키

김정호가 지도 제작과 지리학에 재능이 많았으나 국가는 지도 제작에 전혀 뜻이 없어 김정호 자신이 직접 전 국토를 답사하여 지도를 만들었지만, 쇄국 정책을 취하던 흥선대원군이 이에 분노

namu.wiki

 

 

 

 

 

 

www.youtube.com/watch?v=eWdDSpaZmhU&feature=emb_title

 

 

 

 

 

ko.wikipedia.org/wiki/%EA%B9%80%EC%86%8C%EC%9B%94

 

김소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소월(金素月, 1902년 9월 7일 (음력 8월 6일)[1] ~ 1934년 12월 24일)은 일제 강점기의 시인이다. 본명은 김정식(金廷湜)이지만, 호인 소월(素月)로 더 널리 알려져 있

ko.wikipedia.org

 

 

 

 

kydong77.tistory.com/19444

 

김소월, 往十里 & 바라건대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대일 땅이 있었더면

往十里(왕십리) ㅡ 김소월 비가 온다 오누나 오는 비는 올지라도 한 닷새 왔으면 좋지. 여드레 스무날엔 온다고 하고 초하루 삭망이면 간다고 했지. 가도가도 왕십리 비가 오네. 웬걸, 저 새야 울

kydong77.tistory.com

1924년 이후에 발표한 ‘나무리벌노래’ 외에 연대미상의 작품 ‘봄’, ‘남의 나라 땅’, ‘전망’, ‘물마름’, ‘옷과 밥과 자유’, ‘가을 맘에 있는 말이라고 다 할까보냐’ 등의 시편과 유일한 소설 [함박눈] 등을 보면 민족적 저항의식이 은근히 깔렸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 중 빼앗긴 땅에 대한 회복을 염원하는 ‘바라건대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대일 땅이 있었더면’이 눈에 띈다.

 

바라건대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대일 땅이 있었더면

ㅡ 김 소 월

나는 꿈 꾸었노라, 동무들과 내가 가지런히
벌가의 하루 일을 다 마치고
석양에 마을로 돌아오는 꿈을,
즐거이, 꿈 가운데.

그러나 집 잃은 내 몸이여,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대일 땅이 있었다면!
이처럼 떠돌으랴, 아침에 저물 손에
새라새롭은 탄식을 얻으면서.

동이랴, 남북이랴,
내 몸은 떠가나니, 볼지어다,
희망의 반가임은, 별빛이 아득임은.
물결뿐 떠올라라, 가슴에 팔다리에.

그러나 어쩌면 황송한 이 심정을! 날로 나날이 내 앞에는
자칫 가늘은 길이 이어갈. 나는 나아가리라
한걸음 한걸음. 보이는 산비탈엔
온새벽 동무들 저 혼자 - 산경(山耕)을 김매이는

- ‘바라건대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대일 땅이 있었더면, <개벽>, 1923

 

 

 

 

 

kydong77.tistory.com/17054?category=485565

 

벽파 이창배 동상/ 왕십리역 광장

국가지정무형문화재 제19호 선소리 예능보유자인 벽파 이창배 선생 동상 벽파 이창배 선생의 생애 벽파 이창배 선생은 20대에 소리에 입문하여 최경식 선생에게 가사와 시조를, 원병산 선생에게

kydong77.tistory.com

 

 

 

 

 

ko.wikipedia.org/wiki/%EB%AC%B4%ED%95%99

 

무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주 제조사에 대해서는 무학 (기업)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무학(無學: 1327년 10월 5일(음력 9월 20일)~1405년 10월 3일(음력 9월 11일)[1])은 고려 말기~조선 초기의 승

ko.wikipedia.org

 

 

 

 

 

www.youtube.com/watch?v=NyA-rMOcSr8

 

 

『시경(詩經)』,「주아(周兒)」편에 나오는 ‘기취이주(旣醉以酒) 기포이덕(旣飽以德) 군자만년(君子萬年) 개이경복(介爾景福)’에서 두 자를 따서 경복궁(景福宮)‘이라 지었습니다. ‘이미 술에 취하고 덕에 배부르니 군자만년 그대의 큰 복을 도우리.’라는 구절에서 따온 ‘경복’의 의미는 길이 길이 크게 복을 누린다는 말로 새 왕조의 번영을 기원하는 것입니다.

253 詩經-大雅-生民之什기취(旣醉)-이미 취하여

[대아(大雅) / 생민지십(生民之什) 제3편 기취8장(旣醉八章)]

(1장)

旣醉以酒ㅣ오 旣飽以德호니 (기취이주ㅣ오 기포이덕호니

君子萬年에 介爾景福이로다군자만년에 개이경복이로다 賦也ㅣ라)

이미 술에 취했고, 이미 덕에 배부르니

군자가 만년토록 네 큰 복을 크게 하리로다.

○賦也ㅣ라 德은 恩惠也ㅣ라 君子는 謂王也ㅣ라 爾는 亦指王也ㅣ라

○此는 父兄所以答行葦之詩라 言享其飮食恩意之厚하고 而願其受福이 如此也ㅣ라

○부라. 덕은 은혜라. 군자는 왕을 이름이라. 이는 또한 왕을 가리킴이라.

○이는 부형들이 행위의 시에 답한 것이라. 그 음식과 은의의 두터움을 누리고, 그 복을 받음이 이와 같도록 원함이라.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5023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

 

www.youtube.com/watch?v=by6Ue71y8tU

 

 

 

 

www.youtube.com/watch?v=7DtP8UABKdA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