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ko.wikipedia.org/wiki/%EB%B0%B1%EA%B1%B0%EC%9D%B4

 

백거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백거이(중국어: 白居易, 772년 ~ 846년) 자(字)는 낙천(樂天)이고, 호는 취음선생(醉吟先生), 향산거사(香山居士) 등으로 불리었다. 당나라 때 뤄양(洛陽) 부근의 신정(新鄭)에서 태어났다. 대력(大曆

ko.wikipedia.org

 <백시 장경집> 50권에 그의 시 2,200수가 정리되었으며,

그의 시문집인 <백씨 문집>은 그의 모든 시를 정리한 시집이다.

장편서사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https://kydong77.tistory.com/8149

 

長恨歌 1 -백낙천

[주]작품의 주석번호는 순서대로 1), 2), 3)....으로 볼 것. 長恨歌 -백거이 [白居易, 772~846]字 낙천(樂天). 장한가는 120구 840자. 구섭우편저, 한역당시삼백수, 안병렬역, 계명대출판부, 1991. 김희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8148

 

長恨歌 2 -백낙천

제3단:전란 후 양귀비를 잊지 못하는 현종의 슬픔과 아픔. 天旋地轉廻龍馭 천지가 돌고돌아 천자는 서울 장안으로 돌아오는데38) 到此躊躇不能去 마외역에 이르자 머뭇거리며 차마 가지 못하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8147

 

늙은 창부의 노래, 비파에 붙여 -백낙천

琵琶行 幷序 元和十年, 予左遷九江郡司馬. 明年秋, 送客湓浦口.聞舟中夜彈琵琶者, 聽其音錚錚然有京都聲.問其人, 本長安倡女.嘗學琵琶於穆曹二善才, 年長色衰, 委身爲賈人婦. 遂命酒, 使快彈

kydong77.tistory.com

 

 

 

https://blog.daum.net/domountain/17955917

 

주진촌(朱陳村) - 백거이(白居易)

산과바다 白居易 詩 HOME              주진촌(朱陳村) - 백거이(白居易)              주진촌 徐州古豊縣(서주고풍현) : 서주의 고풍현에 有村曰朱陳(유촌왈주진) : 마을 하나 있는데..

blog.daum.net

 

https://m.blog.daum.net/lee1716508/13452933

 

주진촌시(朱陳村詩)

주진촌시(朱陳村詩)                             백낙천(白樂天) 고을이 멀어 관官의 일이 적고 사는 곳이 깊숙해 풍속이 순후하네 재물이 있어도 장사를 하지 않고 장정이 있어도

blog.daum.net

 

주진촌시(朱陳村詩)

 백낙천(白樂天)

 

고을이 멀어 관(官)의 일이 적고

사는 곳이 깊숙해 풍속이 순후하네

재물이 있어도 장사를 하지 않고

장정이 있어도 군대에 가지 않네

집집마다 농사일을 하면서

머리가 희도록 밖으로 나가지 않네

살아서는 주진촌 사람이요

죽어서도 주진촌 흙이 되네

밭 가운데 있는 노인과 어린이들

서로 쳐다보며 어찌 그리 즐거운가

한 마을에 오직 두 성씨가 살아

대대로 서로 혼안을 한다네

친척은 서로서로 모여서 살고

노인과 젊은이가 함게 노닌다네

황계와 백주(白週)로

열흘이 멀다 하고 모여 즐기네

살아서는 멀리 이별하는 일 없고

시집가고 장가가는 것도 이웃에서 고르네

죽어서도 먼 곳에 장사하지 않아

옹기종기 무덤들이 마을을 둘렀네

이미 삶과 죽음이 편안하고

몸도 마음도 괴롭히지 않네

이런 까닭에 장수하는 사람이 많아

때로는 현손을 보는 사람도 있다네

 

첫째는 중국고사를 살펴보면 당나라 중원 땅에 주(朱)씨 성을 가진 사람들과 진(陳)씨 성을 가진 사람들이 한마을에 수백호가 함께 살고 있었는데 공동묘지도 함께 사용하고 모든 것을 공동으로 사용해도 서로 다툼 없이 살아가는 우애(友愛)가 대단한 군자(君子) 마을이 있었는데, 이 마을을 일컬어 주진촌(朱陳村)이라 하였다. 이들 중 주씨성을 가진 아들과 진씨성을 가진 딸이 한마을에서 혼인(婚姻)을 하게 되었는데 주씨 성을 가진 아들의 이름이 사(査)이고, 진씨 성을 가진 딸의 이름이 돈(頓)이였다. 그래서 사돈(査頓)이란 말이 생겨났다고 하는 고사이다. 

당나라 천재시인 백거이(호 낙천) 선생이 전설 같은 이야기를 듣고 주진촌을 방문하여 보니 과연 현인군자(賢人君子)들이 사는 곳이라 감탄하여 장문(長文)의 5언 고시형 시(詩) 주진촌시를 지어 오늘까지 전하여지고 있다.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20834

 

혼인지(婚姻池)의 수국& 土堀과 三公主追遠祠/ 김종직, 弔義帝文

서귀포의 혼인지의 토굴은 입구 하나에다 토굴 안에다 전방과 좌우에 3개의 공간을 마련했으니, 제주시의 삼성혈이 토굴 입구가 3개인 것과는 차이가 있다. 혼인지는 제주 탐라국의 건국 시조인

kydong77.tistory.com

 

 

增內(아내에게) - 백낙천(白樂天)


生爲同室親

[생위동실친] 살아서는 한 방에서 사랑하고

死爲同穴塵 

[사위동혈진] 죽어서는 한 무덤에 묻히리라

他人尙想勉 

[타인상상면] 다른 사람도 부부의 도를 지키는데

而況我與君 

[이황아여군] 하물며 그대와 나는 더 할 나위 있겠는가?


黔婁固窮士 

[검루고궁사] 검루는 가난한 선비였으나

妻賢忘其貧

 [처현망기빈] 현명한 처는 가난을 잊었고

沂缺一農夫 

[기결일농부] 기결은 한낱 농부였으나

妻敬儼如賓

[처경엄여빈] 처는 그를 귀빈처럼 공경했고


陶潛不營生 

[도잠불영생] 도연명은 생계를 못 꾸렸으나

翟氏自찬薪 

[적씨자찬신] 부인 적씨는 스스로 살림 꾸렸고

梁鴻不肯仕 

[양홍불긍사] 양흥은 벼슬살이 물리쳤으나

孟光甘布裙 

[맹광감포군] 그의 처 맹광은 베옷에 만족했네



君雖不讀書 

[군수불독서] 그대 비록 책은 읽지 못했어도

此事耳亦聞

[차사이역문] 귀로는 들어 알고 있으리라

至此千載後 

[지차천재후] 천년이 지난 오늘에

傳是何如人 

[전시하여인] 그들이 어떠한 사람이라 전하는가를


人生未死間 

[인생미사간] 사람으로 태어나 살아있는 동안은

不能忘其身 

[불능망기신] 육신의 존재를 잊을 수는 없어

所須者衣食 

[소수자의식] 배를 채우고 몸을 가리기 위해

不過飽與溫 

[불과포여온] 먹고 입어야 하지만


蔬食足充饑 

[소식족충기] 배 고픔은 나물로 때우면 그만이지

何必膏梁珍 

[하필고량진] 어찌 기름진 음식만 필요하며,

繒絮足禦寒 

[증서족어한] 거친 솜옷으로 추위만 막으면 되지

何必錦繡文 

[하필금수문] 어찌 비단 옷에 무늬가 필요하겠는가


君家有貽訓 

[군가유이훈] 그대 집에 내려오는 가르침에도

淸白遺子孫 

[청백유자손] 청렴결백을 자손에게 전하라 하였으니

我亦貞苦士 

[아역정고사] 나 또한 고지식한 선비로서

與君新結婚 

[여군신결혼] 그대와 부부가 된 이상에는


庶保貧與素 

[서보빈여소] 모쪼록 가난과 소박함을 지키어

偕老同欣欣 

[해로동흔흔] 기쁜 마음으로 부부 해로하리라

 

對酒

(술을 마주하고)

 

蝸牛角上爭何事

(와우각상쟁하사) 달팽이 뿔 위처럼 좁은 이 세상에서 무슨 일로 다투는가!

石火光中寄此身

(석화광중기차신) 電光石火(전광석화) 같이 짧은 세월 속에 이 몸을 맡겼거늘.

隨富隨貧且歡樂

(수부수빈차환락) 넉넉하면 넉넉한 대로 가난하면 가난한 대로 또한 기쁘하고 즐길지니,

不開口笑是癡人

(불개구소시치인) 입을 벌려 크게 웃지 못하는 사람이 바로 바보라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