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 최전 언침(崔澱 彦沈 언침은 자)이 신동(神童)이란 이름이 있었다.

어려서 금강산에 노닌 적이 있었는데 그 길로 영동(嶺東) 산천을 구경하고

경포대에 이르러 다음과 같은 시를 지었다.

蓬壺一入三千年 봉호일입삼천년

銀海茫茫水淸淺 은해망망수청천

鸞笙今日獨飛來 란생금일독비래

碧桃花下無人見 벽도화하무인견

봉래산 한번 들어 삼천 년을

은바다 아득아득 물은 맑고 얕아라

난새 타고 피리 불며 오늘 홀로 날아왔건만

벽도화 꽃그늘에 님은 아니 보이네

중형이 그 시를 매우 칭찬하고 그 운자에 이어 읊기까지 하였는데,

그는 불행히도 일찍 죽었다.

전(澱)의 호는 양포(楊浦)니 해주인(海州人)으로 진사(進士)였다.

양포(楊浦)의 늙은 말[老馬]이란 시는 다음과 같다.

老馬枕松根 노마침송근

夢行千里路 몽행천리로

秋風落葉聲 추풍낙엽성

驚起斜陽暮 경기사양모

늙은 말 솔뿌리 베고 누워

꿈결에 천리길 가네

가을바람 나뭇잎 지는 소리에

놀라 깨니 지는 해가 뉘엿뉘엿

어복등(魚腹燈)에 제한 시는 다음과 같다.

楚水流無極 초수유무극

靈均怨不平 영균원불평

至今魚腹裏 지금어복리

留得寸心明 유득촌심명

멱라수는 흘러 흘러 끝이 없는데

굴원(屈原)은 불평을 원망했네

지금 물고기 뱃속에서도

속마음 밝은 것은 간직했겠지

'한문학 > 학산초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성윤 /학산초담85  (0) 2010.05.15
금각 /학산초담 84  (0) 2010.05.11
송익필 /학산초담 82  (0) 2010.05.06
정지승 /학산초담 81  (0) 2010.05.06
양대박의 련구/ 학산초담 80  (0) 2010.05.01

+ Recent posts